[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원앙은 몸무게 500g 정도되는 오리과의 작은 새다. 원앙은 수컷에게 아름다운 장식 깃이 있는데, 이는 이른 봄 번식기에만 뺨에 생기는 것으로, 번식기가 끝나면 깃이나 뺨의 장식 깃도 떨어져 버려서, 암컷과 비슷한 모양이 된다. 번식기에는 부리도 붉은 색이 되어 확실하게 다르다. 반면 암컷은 늘 회갈색이고, 가슴과 옆구리에 굵은 회색얼룩이 줄로 그려져 있다. 원앙은 동아시아가 원산으로 텃새가 되어서 사람들이 매우 좋아하는 새로, 한국인은 그 아름다운 모습을 사람과 연관지어 신혼부부와 빗대어 부부금슬이 좋은 사람들을 원앙같다고 하였다. 이런 까닭에 옛사람들은 혼인식 때 원앙조각상을 갖추어 두고 행복한 부부가 되길 축복하였다. 사계절이 뚜렷한 한국은 이른 봄이 되면 깨끗한 못이나 개울에 원앙들이 함께 즐기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오늘 올리는 사진은 창경궁의 연못에서 본 모습이다.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금슬(琴瑟)은 거문고와 비파를 뜻합니다. 두 악기는 소리가 아주 잘 어울려서 듣기 좋습니다. 그러니 부부가 어울려 백년해로하는 것을 “금슬이 좋다.”라고 표현하지요. 일부일처제를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혼례식 때 금슬이 좋다고 알려진 동물을 주고받습니다. 기러기가 그것인데요. 실제로 기러기는 금슬이 좋기로 유명합니다. 습성상 짝짓기를 처음으로 한 암수는 한쪽이 죽어도 다른 기러기와 짝짓기를 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고 알려졌는데 실제로 기러기는 일부일처제긴 하지만 배우자가 죽으면 짝을 바꿉니다. 원앙도 부부금슬의 상징입니다. 일단 예쁘기도 하거니와 원앙금침이란 용어도 있으니, 부부지간에 사이가 좋음을 상징하지요. 그러나 실제로 수컷 원앙은 여러 마리의 암컷과 짝짓기를 합니다. 새끼를 키우는 것은 오로지 암컷의 몫이지요. 그러니 부부금슬과는 거리가 멉니다. 수컷이 바람둥이인 것은 삵 같은 무서운 포식자들 사이에 자손을 남겨야 하는 절대적 이유가 있기도 합니다. 원앙 수컷은 특유의 밝고 색채가 풍부한 장식깃 덕분에 유명합니다. 그런데 장식깃은 번식기에만 일시적으로 나타나고 번식기가 지나면 다 빠져서 암컷과 똑같은 모습으로 바뀝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