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겸 단장 유은선)은 6월 7일(토)부터 6월 14일(토)까지 창극 <베니스의 상인들>을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2023년 초연 당시 객석점유율 99퍼센트를 기록하는 등 뜨거운 호응을 얻은 화제작으로 2년 만에 재공연된다.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대표 희극 『베니스의 상인』을 우리 고유의 소리와 음악으로 풀어내며, 전통과 현대의 공존은 물론 동서양의 조화를 통해 보편적인 공감을 끌어냈다는 호평을 받았다. 창극 <베니스의 상인들>은 연극ㆍ영화ㆍ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로 변주돼 온 셰익스피어의 대표 희극을 현대적으로 재창작한 작품이다. 인문학적 성찰을 기반으로 밀도 높은 작품을 선보여 온 이성열이 연출을, 고전의 현대화 작업에 일가견이 있는 극작가 김은성이 극본을 맡았다. 주인공 안토니오가 고리대금업자 샤일록에게 돈을 빌리고 갚지 못하며 벌어지는 원작 중심 서사는 따라가되, 종교적ㆍ인종적 편견은 걷어내고 현대 자본주의를 중첩해 동시대 관객이 공감할 수 있도록 각색했다. 베니스 무역업자 안토니오는 소상인 조합의 젊은 지도자로, 유대인 고리대금업자 샤일록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서울돈화문국악당은 오는 11월 다양한 기획ㆍ공동공연을 선보인다. 정가부터 판소리 완창, 남도소리 등 풍성한 무대를 통해 관객들에게 국악의 깊이와 온전한 매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밖에도 11.2(토)부터 11.10(일)까지 오늘날의 서울소리를 조명할 수 있는 <서울소리:잡가(雜歌)>와 11.15(금) 영어 해설로 진행되는 무용 공연 <진찬(Jinchan)>까지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다. 11월 12일 서울돈화문국악당과 김윤서의 공동기획 <받은 노래 전한 노래Ⅱ>가 무대에 오른다. <받은 노래 전한 노래Ⅱ>는 가객 김윤서가 고 김월하에게 노래를 배우고 그 노래를 널리 전하고자 하는 의미를 담은 공연이다. 입장권은 전석 20,000원으로, 김월하의 수양손녀이자 마지막 이수자로 활동하는 김윤서가 독특한 성음과 시김새가 깃든 김월하의 정가를 선보일 예정이다. 11월 24일 <유태평양의 미산제 수궁가 완창>에서는 국립창극단 창악부 부수석 유태평양이 판소리 수궁가 완창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유태평양이 선보일 미산제 수궁가는 미산 박초월 명창이 발전시킨 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범피중류 둥덩둥덩 떠나간다 망망한 창해이며 탕탕한 물결이로구나 백빈주 갈매기는 홍요안으로 날아들고 삼강의 기러기는 한수로만 돌아든다 판소리 <수궁가>의 백미로 꼽히는 ‘범피중류’를 유태평양이 혼신을 다해 소리한다. 어제 4월 27일 저녁 7시 30분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는 김준수ㆍ유태평양의 국립창극단 <절창Ⅰ> 공연이 열렸다. 객석에 빈자리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귀명창들은 달오름극장을 꽉 메웠다. 젊은 소리꾼의 참신한 소리판을 표방한 국립창극단 기획 시리즈인데다 요즘 소리판을 들었다 놨다 하는 김준수ㆍ유태평양의 공연이기에 사람들의 큰 관심을 끌은 모양이다. 28일(금요일) 공연은 일찍 매진될 정도였다는 국립극장 관계자의 전언이다. 전통의 판소리 무대를 생각하던 사람들은 이 공연에 깜짝 놀란다. 소리ㆍ아니리ㆍ발림을 적절히 섞어 고수의 반주에 맞춰 홀로 소리를 하던 모습이 아니기에 말이다. 두 소리꾼이 역할에 따라 소리를 나눠 부르는 분창(分唱)만이 아니라 판소리 장단에 맞춰 가사를 주고받는 등 입체창의 다양한 방식으로 합을 맞춘다. 입담 좋기로 소문난 두 소리꾼의 재담, 창극 배우로서 쌓아온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창작음악의 선도적 오케스트라로 창단 31년을 맞는 세종국악관현악단에 창단 지휘자 박호성의 역동적인 지휘가 돋보이는 공연이 열린다. 오는 2월 4일(토) 저녁 7시 군포문화예술회관 수리홀에서 열리는 2023 정월대보름 <달달한 콘서트>가 그것이다. 이번 공연은 눈에 띄는 것이 더 있다. 사물놀이 김덕수 명인, 증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승교육사 김혜란 명창, 한양대 교수며, 해금 명인 김성아, 국악 신동에서 국민 소리꾼으로 우뚝 선 국립창극단의 주역 유태평양 등이 무대에 오르기 때문이다. 공연 프로그램은 먼저 김덕수패가 나서서 한해의 안녕을 기원하는 사물놀이 협주곡 박범훈 작곡의 <신모듬>을 연주한다. 장구에 김덕수, 징에 송동운, 꽹과리에 진승훈, 북에 문도연이 함께 한다. 이어서 경기민요 명창 김혜란 외 5인이 무대에 올라 구희서 작사, 이준호 작곡의 <우리 비나리>를 소리하고, 해금 김성아 명인이 김영재 작곡의 방아타령 주제에 의한 <해금협주곡>을 연주하며, 국립창극단의 주역 유태평양 명창이 <장타령>과 <아름다운 강산>을 부른다. 그리고 마지막엔 강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