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부터 접경지역까지, 우리나라 나무지도 완성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산림청(청장 임상섭)과 한국임업진흥원(원장 최무열)은 지난해 나무지도(임상도)를 현행화하는 산림공간정보 조사구축 사업이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는 2024년 국가공간정보 우수사업으로 뽑혔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평가에서는 산림지도 제작과 빅데이터 분석ㆍ활용을 통해 산림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높이 평가돼 12개 중앙부처 94개 공간정보 사업 중 우수사업으로 뽑혔다. 1972년 종이지도부터 시작한 임상도* 제작 사업은 2006년 대축척(1:5,000) 디지털 임상도를 처음으로 구축했다. 또한 지난해까지 산림사업, 산지전용으로 인한 인위적 변화와 산림생장, 산림재해로 인한 자연적 변화지를 반영하고 그동안 포함되지 않았던 섬 지역과 DMZ 이남 접경지역까지 포함했다. *나무지도 : 산림의 전국적 분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디지털 산림지도로 나무 종류, 숲의 나이ㆍ밀도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공간정보. 올해는 위성영상 등 원격탐사 기술을 활용해 산림에 대한 변화를 신속하게 탐지함으로써 전국의 산림을 현행화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기존 5년에서 1년으로 줄이고, 현장조사 등에 드론 등 다양한 첨단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