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2024-2025 한국-이탈리아 상호 문화교류의 해’를 맞이하여 2월 25일부터 5월 20일까지(현지 시각) 주이탈리아한국문화원(이탈리아 로마 소재)에서 열리는 우나영 작가의 <한복 입은 서양 동화> 전(展)에서 ‘화협옹주 도자 한정상품(백자청화 화장품 합)’ 등 한국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선보인다. * 주이탈리아 한국문화원: (주소) Via Nomentana 12 T / (누리집) https://italia.korean-culture.org/ko 국가유산 홍보대사로서 국가유산청과 활발하게 협력 중인 우나영 작가와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조선의 화장(化粧)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통해 조선 왕실 여성들의 아름다움과 생활 문화를 조명하는 자리로, 지난달 주아랍에미리트한국문화원에서 성황리에 개막한 <화협옹주의 방>(1.29.~) 전시에 이어 이탈리아에서도 우리 전통문화의 값어치를 알리기 위해 마련되었다. 전시에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와 국립고궁박물관, 코스맥스(주) 그룹이 협업해 조선시대 궁중 여성들이 사용했던 도자기 화장 용기를 복원ㆍ재해석한 ‘화협옹주 도자 한정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2월 21일 낮 2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체육관(충남 부여군)에서 2024학년도 학위수여식을 연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이론과 실제적 응용력을 갖춘 전통문화 인재 양성을 위해 2000년 국가유산청에서 설립한 4년제 특수목적 국립대학교이다. 졸업생들은 국가유산수리기술자ㆍ기능자를 비롯해 국가유산 관련 공공ㆍ민간 기관 등 다양한 국가유산 전문 분야에서 영역을 확대하며 활발히 활동해 오고 있다. 올해로 22번째를 맞은 2024학년도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학위 9명, 석사학위 91명, 학사학위 139명까지 모두 239명의 졸업생이 전통문화 전문가로서 첫발을 내딛게 된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학업 우수 졸업생 7명에게 상장을 주며, 학교발전과 명예에 이바지하고 모범적으로 학생활동을 한 18명에게는 총장상, 연안옛길 전통문화상, 총동문회장상, 국가유산진흥원장상, 한국유교문화진흥원장상,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상,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상,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이사장상,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이사장상, 부여군수상을 준다. * 학업 우수 졸업생(7명): ▲ 전통건축학과 김태연(문화체육관광부장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아랍에미리트 소재 주아랍에미리트 한국문화원(원장 이용희)에서 조선 영조의 딸인 화협옹주(和協翁主, 1733~1752)의 생활 공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왕실 여성의 화장 문화를 조명하는 ‘화협옹주의 방’ 상설 전시를 연다. * 주아랍에미리트 한국문화원: C40, Podium 2 Yas Creative Hub Yas West - Abu Dhabi - (Entrance 13) * 주아랍에미리트 한국문화원 누리집: https://uae.korean-culture.org/ko 지난 1월 29일 개막한 이번 전시는 ‘2024년 봄 궁중문화축전’에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가 운영했던 전시와 체험 행사를 나라 밖에서 확장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미적 감각을 느껴볼 수 있도록 조성된 공간인 ‘화협옹주의 방’에서 전통공예품, 한복, 규방 문화를 반영한 소품 등을 통해 관람객들이 직접 조선 여성의 생활을 엿볼 수 있도록 마련된다. 특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 이정용 교수진의 ‘화협옹주 도자 에디션(백자청화 화장품 합)’, 전통문화교육원 학생들이 교육성과품으로 제작한 ‘경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오는 8월 10일(목)부터 13일(일)까지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코엑스 D홀에서 열리는 ‘2023 한복상점’에서 전통미술공예학과 전통섬유전공 교수진과 학생들이 참여하는 ‘한국의 여름옷’ 특별전을 선보인다. * 한복상점: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이 주관하는 한복 박람회 이번 행사에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심연옥ㆍ금종숙 전통섬유전공 교수의 지도 아래 학생들이 직조한 직물과 모시로 만든 전통 복식을 선보이며, 특히 한국인에게 여름 옷감으로 오랫동안 사랑 받아온 ‘모시’와 ‘춘포’ 등이 지닌 본연의 기품과 새로운 적용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 모시 : 쐐기풀과에 속하는 모시풀의 인피섬유로 제직한 직물로, 저마(苧麻)라고도 함 * 춘포 : 견사(실크)와 모시실을 섞어 짠 교직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미술공예학과는 전통 모시의 멸실 위기에 대비하여 ‘모시짜기’ 기술을 계승하고 활용하기 위한 교육과 연구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으며, 2008년부터 모시를 활용한 전통 직조 실습을 정규 교과목에 편성해왔다. 또한, 2017년 ‘한산모시짜기’ 종목의 전수교육학교로 뽑혀 무형문화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