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21) 나의 병통이 항상 거칠고 사나운 데 있었으니, 지난날 처분이 이 정도에 지나쳤던 것도 오로지 여기에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숙종이 스스로 자신의 품성을 평가한 말이다. 숙종은 본인도 자신의 병통이 ‘거칠고 사나운 것’이라 인정할 정도로 거친 면이 있었다. 급한 성정을 다스리지 못해 후회할 때도 많았다. 그래서인지 숙종은 강력한 왕권을 휘둘렀던 철혈군주의 이미지는 있어도 다정다감한 이미지는 별로 없는 편이다. 이런 숙종의 이미지를 바꿔줄 만한 사실이 있다. 실은 숙종이 서책과 예술을 사랑하는 문예군주였다는 점이다. 우리 미술사를 오랫동안 연구한 지은이가 펴낸 이 책, 《어제, 어필을 통해 본 숙종의 문예관》은 숙종이 남긴 글과 서예, 그림에 붙인 시 등을 통해 숙종의 부드러운 면을 새롭게 조명한다. 이를테면 숙종은 어머니 명성대비에게 애정이 담긴 한글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어머니가 출가한 누이동생인 명안공주의 집에 갔다가 하루가 지나도 돌아오지 않자, 사위를 만나서 반가워서 그러시냐며 내일은 부디 들어오라는 애정 섞인 편지를 보냈다. (p.16) 밤사이 평안하셨사옵니까. 나가실 때 “내일 들어오시옵소서” 했더니, 해창위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11월 22일 ‘머니투데이’에는 “경매 올라온 '연애편지' 42통, 9억에 낙찰…누가 썼길래?”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왔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유명 가수이자 작곡가, 시인인 밥 딜런이 고등학생 때 썼던 연애편지가 경매에서 66만 9,875달러(약 9억 원)에 낙찰됐다는 것이다. 우리 세대도 고등학생 시절 연애편지를 썼던 추억이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그런 연애편지가 있을 까닭이 없다. 다만, 부부 사이에 절절한 사랑을 주고받은 흔적인 편지가 지금 우리에게는 유물로 남아있다. 1998년 4월 14일 경북 안동에서는 이장하는 무덤에서 죽은 남편을 향해 애끓는 사랑과 비통함을 토하는 편지가 나왔다. 죽은 사람은 1586년 31살의 나이로 갑자기 죽은 이응태였는데 이응태의 아내 원이엄마가 쓴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하얘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라고 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라는 편지가 나와 조선판 '사랑과 영혼'이라며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유물이 있다. 물론 조선시대에 그런 원이엄마가 쓴 애정편지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전경목이 쓰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