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할아버지들이 들려주시는 용암리 이야기
용암리는 어떤 곳일까? 마을 할아버지들께서 들려주시는 생생한 마을 이야기를 통해 용암리의 역사와 모습을 알아본다. 할아버지들과 함께 용암저수지(고복저수지)를 걸으며 저수지에 잠긴 옛 마을이야기를 듣고, 용이 살다 승천했다는 용바위, 병을 고쳐주던 참샘 등에 얽힌 재미난 전설들도 찾아본다.
정월 열엿새의 마을 민속, 용암 강다리기 체험
강다리는 충청도 지방에서 줄다리기를 이르는 말이다. 풍년과 복을 바라는 일반적인 마을 줄다리기는 정월대보름에 이루어지지만, 용암리의 강다리는 다음날인 열엿새에 이루어진다. 또한 그 모양도 수많은 가지가 방사형으로 퍼져있는 형태로 독특하다. 이러한 용암 강다리기는 세종시의 대표 민속으로 ‘2016 세종민속문화의 해’ 엠블럼의 모티브가 되기도 하였다. 이번 교육에는 마을 주민과 함께 직접 강줄을 꼬아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마을에서 사용하는 커다란 강줄로 강다리기를 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비암사, 강다리기의 유래를 찾아서
마지막으로 용암 강다리기의 유래를 따라 가까운 절 비암사(碑巖寺)를 찾는다. 비암사는 삼국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오래된 절로, 국보 제106호인 ‘계유명전씨아미타삼존석상(癸酉銘全氏阿彌陀三尊石像)’이 발견되기도 한 곳이다.
8월까지 매월 넷째 주 토요일에 이루어지는 이 교육은 앞으로 2번의 참여 기회가 남아있다(7.23, 8.27). 교육신청은 국립민속박물관 어린이박물관 우리집(http://www.kidsnfm.go.kr)를 통해 가능하며, 초등학생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