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악귀를 쫒기 위해 썼던 방상씨탈을 아십니까?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41]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탈은 사람이나 짐승귀신 따위의 모양을 본떠서 종이나 나무, 또는 흙으로 만든 것을 일컫습니다. 이러한 탈은 귀신을 물리치거나 놀이 또는 연극을 하며 분장을 하기 위해 주로 만들어 썼는데 각 지방의 탈놀이에 따라 제각기 다른 표정의 탈을 사용하고 있으며 탈 모양도 참으로 다양합니다. 하회탈의 경우 선비양반각시백정 따위의 탈이 있으며 한국인의 해학적인 표정과 골격이 잘 나타나 있다는 평을 받습니다.

 

우리나라 탈놀음의 시작은 선사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부산 동삼동에서 출토된 패면(貝面)과 강원도 양구에서 출토된 토면(土面)과 같은 신석기시대의 가면 유물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특히 1946년 경주 노서리(路西里) 고분인 호우총(壺杅塚)에서 출토된 유물 가면으로 그 구조는 나무로 만든 탈에 옻칠을 한 것인데, 눈알은 유리이고 두 눈에는 황금으로 된 고리()가 둘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이 탈을 방상시탈(方相氏)로 보고 있습니다. 방상시탈은 궁중에서 나례나 장례 때 악귀를 쫓기 위해 사용했던 탈로 궁중에서는 임금의 행차나 사신의 영접 행사 때 쓰였는데 붉은 옷에 가면을 쓴 방상시 4명과 각종 가면을 쓴 사람들이 때리기도 하고 불이나 색깔 따위로 위협하여 악귀를 쫓았지요.


 

 

장례 때에는 발인 행렬의 맨 앞에서 길을 안내하고, 무덤에 도착하면 시신이 들어갈 자리의 잡귀를 쫓는데 이 때 사용한 탈은 종이와 나무로 만들어 한 번 쓴 탈은 시신과 함께 묻거나 태워버립니다. 국가민속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된 방상시탈(1970.3.24)1970년 창덕궁 창고에서 장례용구와 함께 발견된 것으로 길이 78, 너비 73의 대형 탈로 소나무에 얼굴모양을 파고 4개의 눈과 코, , 눈썹 등을 새긴 모습입니다. 이 탈은 현존하는 유일한 조선시대 유물로 장례 연구와 민속 연희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