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3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청계천변 3‧1아파트로 본 60년대 이후 ‘도시의 변화상’

청계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6월 30일까지 운영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역사박물관 분관인 청계천박물관(관장 사종민)은 2019년 상반기 기획전 ‘천변호텔, 3·1아파트’를 오는 6월 30일(일)까지 청계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3·1시민아파트가 건립된 1960년대 이후 서울 도심의 도시화, 변화상을 다룬다.

 

 

3·1아파트는 1969년 당시 급증하던 서울의 인구문제와 주택난 해결을 위한 서울시 시민아파트 건립정책의 하나로 지었다. 1969년은 3·1운동 50주년이자 김현옥 시장 시기 추진되었던 시민아파트 건립의 해이다. 고가도로를 중심으로 남북 모두 24동 규모의 3·1아파트는 당시 삼일빌딩, 삼일고가도로와 함께 현대도시 서울을 대표하는 건축물로서 각종 홍보물과 매체에서 다루어졌다. 사람들의 기억 속에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던 3·1아파트의 각종 자료들을 통해 서울 도심의 변천에 대해 확인해보는 자리다.

 

무허가 불량주택을 철거하면서 지어진 서울시민의 시민아파트 건립배경과 그 특징을 사진과 도면 등으로 살펴보고, 3·1아파트에 실제 거주했던 최인기 작가의 인터뷰 영상으로 당시의 삶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시민아파트에서의 삶을 엿볼 수 있는 1960~70년대의 세면용품와 부엌용품 등 각종 생활 도구를 통해 당시 서민들의 생활을 만나볼 수 있다. 2003년 청계천이 복원되기 시작하면서 3·1아파트 일대는 노후화된 건물 자체의 문제도 결부되어 철거와 개발의 현장이 되었다. 전체 7층의 규모였던 2003년 당시 진효숙 작가의 아파트 외부와 복도, 계단 등 내부 사진을 이번 전시를 통해 최초 공개한다.

 

뿐만 아니라 3·1아파트를 다룬 예술작품도 이번 전시를 통해 선보인다. 전시에서는 3․1아파트를 소재로 한 작가들의 작품도 관람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미술관 소장 정재호 작가의 회화 ‘천변호텔, 삼일아파트’, 서울시립미술관 소장 안세권 작가의 사진 ‘서울 청계천 2004’, 이상엽 사진작가의 ‘청계천변 삼일아파트’ 등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6월 30일(일)까지 청계천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열린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시간은 아침 9시부터 저녁 7시까지이다. 공휴일을 뺀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역사박물관 누리집(http://www.museum.seoul.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람문의: 02-2286-3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