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14.4℃
  • 맑음서울 11.1℃
  • 맑음대전 11.5℃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3.9℃
  • 맑음광주 11.6℃
  • 맑음부산 13.7℃
  • 맑음고창 6.4℃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11.3℃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8.4℃
  • 맑음강진군 11.7℃
  • 맑음경주시 14.5℃
  • 맑음거제 12.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비자림숲, 솔이 좀 있었으면 더 좋았겠다

아버지의 마지막 여행 11

[우리문화신문=김동하 작가]  

 

아버지는 소나무를 참 좋아하셨다.

사계절 푸르른 솔이 산에 빼곡하게 있어야

정말 산(山이)라 할 수 있다고 늘 주장 하셨다.

 

소나무가 많지 않은 바위산이나 삭막한 가지만 있는 겨울산은

산도 아니라고 늘 얘기하셨다.

그래서 나는 아버지에게 금강산의 일만 이천 봉우리는

그저 돌덩어리일 뿐일 것 같다고 늘 말씀드렸다.

 

 

아버지는 제주의 유명한 <비자림 숲>을 산책하고 오시면서도

비자나무만 가득한 숲을 가리켜,

“솔이 좀 있었으면 더 좋았겠다.” 하셨다.

 

그래서 내가 딸아이의 이름을 ‘솔’이라 지었을 때,

여자 아이 이름에는 ‘희’ 자나 ‘숙’자가 들어가야 하지 않느냐며 하시다가도

곧, “그래도 ‘솔’이 항상 푸르니 좋다.”라고 하셨다.

 

내가 아버지에게 가장 잘한 일 하나가 있다면

바로 딸아이 ‘솔’을 아버지의 손녀로 안겨드린 일,

그것뿐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