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지원의 우리문화책방

조선시대 ‘시집살이’,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옹주의 결혼식》, 최나미, 푸른숲주니어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파원군 윤평이

숙신옹주를 친히 맞아 가니,

본국에서의 친영(親迎)이

이로부터 비롯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 17년 3월 4일

 

세종 17년인 1435년 3월, 윤평과 숙신옹주가 혼인을 올렸다. 이 혼인은 무척 특별했다. 조선 왕실에서 친영례를 널리 보급하기 위해 처음으로 왕가의 혼인을 친영례로 치른 것이다. 친할 친(嚫), 맞을 영(迎)으로 된 말 ‘친영’은, 신랑이 신부를 데리고 신랑 집으로 와서 혼례를 치른 뒤 곧바로 시집에서 사는 것을 말한다.

 

이런 친영례는 명나라의 풍속이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신랑이 혼례를 치른 뒤 일정 기간 처가에서 지내는 ‘처가살이’ 전통이 강했다. 그래서 명나라에서는 줄곧 조선의 혼인 풍속을 문제 삼았고, 조선 왕실에서는 성리학에 따라 생활 예법을 중국식으로 바꾸며 친영례를 본격적으로 도입해 명나라의 환심을 사고자 했다.

 

그러나 숙신옹주가 혼인을 올린 뒤에도 친영례는 한참 동안 일반화되지 않았다가, 무려 200년이 지난 17세기에 가서야 자리 잡게 되었다. 그러니까 17세기 때까지만 해도 ‘시집간’ 여인보다는 ‘장가간’ 남성이 훨씬 많았던 것이다.

 

이 책, 《옹주의 결혼식》은 조선 첫 친영례의 주인공인 숙신옹주의 어린 시절부터 시집간 뒤의 삶을 보여주는 책이다. 물론 숙신옹주에 대한 기록이 많지 않기에 대부분은 작가의 상상력에 의존한 것이지만, 숙신옹주의 성장과정과 혼례 과정에서 나오는 이야기들이 퍽 흥미롭다.

 

 

숙신옹주가 선왕 태종의 후궁이었던 어머니를 일찍 떠나보내고 가슴 깊이 외로움을 품고 살다가, 조선왕조 역사상 처음으로 ‘시집을 가서’ 겪게 되는 고부갈등과 만만찮은 시집살이는 옹주의 고단한 신세에 연민을 느끼게 한다. 조정에서 하필 그 시점에 친영례를 실시하기로 한 뜻은, 사실 세자와 관련되어 있었다.

 

명나라 사신이 새 황제 즉위식에 세자가 사절로 참석하기를 요구하자, 조정의 대신들은 명나라에 몸 상태가 좋지 않은 세자를 보내지 않기 위한 묘안이 없을까 궁리하였다. 그래서 마침내 즉위식쯤에 옹주의 혼례식을 친영례로 치르고, 처음으로 왕실에서 솔선하여 대대적으로 치르는 친영례이니 세자도 그 혼례식에 참석해야 한다고 둘러댄 것이다.

 

개국 이후 처음 치르는 왕가의 친영례에 왕실이 시끌시끌했고, 옹주를 친자식처럼 키웠던 명선당 숙의가 옹주는 시집에서 적응하기 크게 힘들 것이라며 기존에 했던 것처럼 ‘하가례’로 혼례를 치르게 해달라고 간청했지만, 세종의 결정은 흔들림이 없었다.

 

(p.138)

심각한 왕과 왕비, 그리고 숙의의 얼굴을 보니 운휘는 이 자리에서 무슨 말을 해야 할지가 더욱 명확해졌다.

“전하, 전교 내려 주십시오. 친영례로 혼사를 치르겠습니다.” 운휘가 왕에게 청했다.

“옹주!” 숙의가 내전이라는 것을 잊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하께서는 친영례의 모범을 왕가에서 먼저 보여야 한다고 결정하셨습니다. 이 자리에서 번복할 사항이 아니라고 들었습니다. 앞으로 계속될 친영례라면 제가 먼저 하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전하께서 말씀하셨듯이 저는 호기심도 많고 궁금한 건 꼭 해 봐야 직성이 풀립니다. 모르는 사람들과 가족이 되어 함께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용기 있게 시작한 시집살이에서 옹주는 여러 가지 갈등을 겪는다. 남편은 근엄하고 과묵하기만 했고 시어머니는 냉정하고 독단적이었다. 그러나 옹주는 기죽지 않고 자신을 믿으며 힘껏 운명을 헤쳐 나간다.

 

옹주는 그 뒤로 어떻게 되었을까?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숙신옹주는 남편 윤평과의 사이에 딸 하나를 두었고, 남편이 죽고 난 뒤에는 딸과 함께 살았다. 숙신옹주는 시집살이했지만, 그 딸은 친정살이를 한 셈이다.

 

지금이야 시집살이가 많이 없어졌다지만, 성리학적 예법을 중시하던 조선시대에 여인들이 치르던 친영례는 알 수 없는 혼인 생활의 불안한 서막이기도 했을 것이다. 이런 숨 막히는 긴장감과 불편함 때문에 친영례가 자리 잡기까지 거의 200년이 넘는 세월이 걸리지 않았을까.

 

이 책은 《조선왕조실록》에 나온 단 몇 줄의 기록을 되살려 조선왕조 첫 친영례의 주인공을 역사 밖으로 생생하게 끄집어냈다. 지은이의 역사적 상상력에 박수를 보내며, 숙신옹주의 이야기가 궁금한 독자들에게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