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경영의 신(神)! 호암 이병철은 굴지의 대기업 삼성그룹을 일으키고 길러낸 장본인으로, 한국 경영사는 물론이고 세계 경영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이다. ‘크고, 많고, 강한 것’을 뜻하는 ‘삼(三)’과 ‘밝고 높고 영원히 깨끗이 빛난다’라는 뜻의 ‘성(星)’을 합친 ‘삼성’을 창업했을 1938년만 해도, 삼성이 이와 같은 지구촌 대기업이 될 것이라고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병철은 ‘사업보국’을 기치로 이를 차근차근 이뤄냈다. 설탕과 옷 등의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제일제당’과 ‘제일모직’을 세우고, 1960년대는 금융과 전자산업을, 1970년대에는 중화학공업을 일궈냈다. 그리고 1982년 세운 ‘삼성반도체통신’은 오늘날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름잡는 삼성반도체가 되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기획으로 조준상이 글을 쓰고 만화를 그려 호암 이병철의 생애를 재미있게 보여주는 이 책, 《재계의 거목 호암 이병철》은 삼성 창업주의 생애를 짧은 시간에 잘 파악할 수 있는 책이다. 누구나 안다고 생각하면서도 막상 어디서 태어났는지, 어떤 교육을 받았는지, 어떤 실패를 겪고 어떻게 재기했는지는 잘 모를 법한 이병철의 생애를 살펴볼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박물관은 살아있다! 한때 인기를 얻었던 영화 제목처럼, 이 책을 읽노라면 유물 하나하나가 살아서 말을 거는 듯한 느낌이 든다. 먼지가 쌓여 있던, 멀게만 느껴졌던 유물들이 다시금 빛을 얻어 ‘그때 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평 설악면 작은 책방 ‘북유럽’에서 일하는 지은이 이재영이 쓴 책, 《박물관을 걸으며 생각한 것들》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유물 42점을 하나씩 살펴본 감상 수필을 묶어 편집한 책이다. 지은이가 우리 유물을 이리 보고, 저리 보며 나눈 소중한 대화의 기록이다. 책에 소개된 42점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네 가지 유물은 ‘정리자’, ‘청동 투구’, ‘경주 향리 김지원의 딸 묘지명’, ‘김수항, 김창협 간찰첩’이다. 지은이가 길어 올린 이 유물들의 매력을 함께 살펴보자. # 정리자 정조는 궁인들의 단정하지 못한 옷매무새를 지적하기도 하고, 시간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해 잔소리할 만큼 철두철미한 성향이 있었다. 그의 이런 성격을 보여주듯, 을묘년 수원화성에 간 ‘을묘원행’을 기록한 정리의궤를 인쇄하기 위해 만든 금속활자 ‘정리자’는 글씨체가 반듯하고 빈틈없다. (p.72) 조선시대 ‘정리(整理)’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21) 나의 병통이 항상 거칠고 사나운 데 있었으니, 지난날 처분이 이 정도에 지나쳤던 것도 오로지 여기에서 비롯되었던 것이다. 숙종이 스스로 자신의 품성을 평가한 말이다. 숙종은 본인도 자신의 병통이 ‘거칠고 사나운 것’이라 인정할 정도로 거친 면이 있었다. 급한 성정을 다스리지 못해 후회할 때도 많았다. 그래서인지 숙종은 강력한 왕권을 휘둘렀던 철혈군주의 이미지는 있어도 다정다감한 이미지는 별로 없는 편이다. 이런 숙종의 이미지를 바꿔줄 만한 사실이 있다. 실은 숙종이 서책과 예술을 사랑하는 문예군주였다는 점이다. 우리 미술사를 오랫동안 연구한 지은이가 펴낸 이 책, 《어제, 어필을 통해 본 숙종의 문예관》은 숙종이 남긴 글과 서예, 그림에 붙인 시 등을 통해 숙종의 부드러운 면을 새롭게 조명한다. 이를테면 숙종은 어머니 명성대비에게 애정이 담긴 한글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어머니가 출가한 누이동생인 명안공주의 집에 갔다가 하루가 지나도 돌아오지 않자, 사위를 만나서 반가워서 그러시냐며 내일은 부디 들어오라는 애정 섞인 편지를 보냈다. (p.16) 밤사이 평안하셨사옵니까. 나가실 때 “내일 들어오시옵소서” 했더니, 해창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