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아름다운 한글’ 새김전

세계가 인정한 우리 한글, 훈민정음(訓民正音)

[‘아름다운 한글’ 새김전 4]

[그린경제/얼레빗 = 손현목 작가] 

   
▲ 훈민정음 언해본’인출본(도경 박웅서 작)

목판 작품 <훈민정음 언해본>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세종대왕께서 창제반포하신 글자의 공식 명칭이면서 동시에 새로 창제된 훈민정음(한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글을 만든 원리와 글자 쓰는 방법 등)한 책의 이름이다.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는 세종 28(1446)에 나온 초간본인 원본으로 한문해설서의 성격인훈민정음 해례본이 있고, 이를 한글로 풀이한훈민정음 언해본이 있다 

위에 소개된 도경 선생의 작품은 훈민정음 언해본목판과 인출본이다. 이렇게 책을 인쇄하기 위한 목판을 책판이라고 한다. 이 책판의 재료는 벚나무이고, 인출 용지는 안동 한지이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하는 인쇄는 먹을 잘 갈아서 쓴다. 그러다 보니 위의 사진처럼 먹칠이 되어 새김질한 글씨가 잘 보이지 않는다. 자세히 보면 뒤집어 새김질(반각) 한 것을 알 수 있다. 네이버에서 훈민정음을 검색하면 원본 사진을 찾아 볼 수 있다. 도경 선생의 작품과 견주어볼 만 하다. 

작가 <도경 박웅서> 

도경 박웅서님은 함께 작업하는 한국목판각협회 회원들 중에서도 유별나게 전통각을 고집한다. 우리 한글의 원형을 되살리는 작업에 대한 지나친 집착이라고 할 만큼. 어쩌면 아집이나 똥고집이라고 쓴 소리를 할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한글 원형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형태의 작품을 창작하려는 박 작가의 마음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와 경북 고령에서 처음 만난 이후 새김질을 통해 계속 인연을 이어온 지도 벌써 12년의 세월을 넘겼으니…… 

그 동안 직장에 나가면서도 끊임없는 판각 작업을 통해 쌓은 박 작가의 내공은 실로 엄청나다. 최근 2년간의 대외 활동만으로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대상’, ‘대한민국 신미술대전 특선’, ‘대구미술대전 특선을 하고, ‘대한민국 현대미술대전 추천작가가 되다니. 참 존경스럽다. 

   
▲ ‘훈민정음 언해본의 앞부분 1~2쪽’ 목판 (도경 박웅서 작)

박웅서 작가의 <소망> 

현재 우리나라는 훈민정음을 포함해서 11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우리 민족은 역사상 온갖 역경을 겪으면서도 아직 수많은 기록 유산을 갖고 있는 문헌 대국이다. 우리는 이런 유산과 그 가치를 영구히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의 소홀함으로 인해 그 동안 사라져 버린 우리 판각문화와 한글의 원형을 복원하고, 꾸준한 자기개발로 전문성을 강화해서 우리 민족혼이 살아있는 전통을 계승하는 일에 작은 보탬이 되고 싶다. 그래서 우리의 목판각과 관련된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는 시설이나 단체에 도움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 이것이 나의 작은 소망이다. 

<훈민정음, 그 위대함 > 

전 세계가 인정한 우리 한글인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이런 뜻을 가진 훈민정음 창제는 분명 백성들을 위해 당연한 일인데도, 그 당시의 많은 관리들은 이것을 극렬하게 반대를 하였다. 특히 최만리는 '한자를 사용하지 않고 새 문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짓'이라며 반대에 앞장 썼다. 그러나 세종은 이러한 주장을 물리치고 훈민정음을 반포하였다. '민이 나라의 근본이니, 민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것', 이것이 군주의 도리하고 생각한 것이다.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2012.4.9., 휴머니스트)  

세종대왕의 이런 마음과 확고한 결단력이 세계에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과학적인 문자인 한글이 태어나게 했다. 세종대왕과 한글의 위대함은 유네스코(UNESCO)에서 제정한 '세종 대왕상'(해마다 글을 읽거나 쓸 줄 모르는 사람을 줄이는 데 공이 큰 사람이나 단체에게 주는 상)과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4410일 목요일 

                                                                                 손현목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