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황준석)과 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창작ㆍ계승되고 있는 여성 가사문학인 내방가사를 대상으로 한 기획전시 <이내말삼 드러보소, 내방가사>를 국립한글박물관 3층 기획전시실에서 12월 23일부터 내년 4월 10일까지 함께 연다. 내방가사는 조선시대 정규 교육을 받지 못한 여성들이 한글로 스스로 표현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삶과 시대를 적극적으로 기록한 문학이다. 그간 조선시대 여성의 문화를 다루는 전시에서 내방가사가 간헐적으로 선보였지만, 여성이 남긴 한글 기록이라는 점을 앞세워 가사의 노랫말을 본격적으로 다룬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다. 한글로 꽃피운 여성의 문화 ‘내방가사’ 이번 전시는 1794년 창작된 <쌍벽가>부터 21세기에도 여전히 창작되고 있는 90여 편의 내방가사와 더불어, 각종 여성 생활사 유물, 여성 잡지, 여성 교과서 등 모두 172건 260점의 자료를 선보인다. 모두 3부로 구성된 전시장은 1부 ‘내방 안에서’, 2부 ‘세상 밖으로’, 3부 ‘소망을 담아’로 조성되었다. 1부에서는 가족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펼쳐지는 여성들의 희로애락을 선보인다. 조선시대 어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임인년 호랑이띠 해를 맞이해 2021년 12월 22일(수)부터 2022년 3월 1일(화)까지 기획전시실 2에서 《호랑이 나라》 특별전을 연다. 이번 특별전은 호랑이에 관한 상징과 문화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오랫동안 우리의 삶과 함께하며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대표 동물로 자리매김한 호랑이에 얽힌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 “조선 사람들은 반년 동안 호랑이 사냥을 하고, 나머지 반년 동안은 호랑이가 조선 사람을 사냥한다”: 방대한 호랑이 흔적 약 120년 전에 출간된 여행기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Korea and Her Neighbors)》(1897)에서 저자 비숍(Isabella Bird Bishop, 1831~1904)은 “조선 사람들은 반년 동안 호랑이 사냥을 하고, 나머지 반년 동안은 호랑이가 조선 사람을 사냥한다.”라고 하며, 조선에는 많은 수의 호랑이가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호랑이와 관련해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는 1,000건 이상의 설화를,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는 700건 이상의 기사를 확인할 수 있다. 구술과 기록으로 대표되는 두 문헌에 나타난 방대한 호랑이 흔적은 오랫동안 호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임인년 호랑이띠 해를 맞이해 2021년 12월 22일(수)부터 2022년 3월 1일(화)까지 기획전시실 2에서 《호랑이 나라》 특별전을 연다. 이번 특별전은 호랑이에 관한 상징과 문화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오랫동안 우리의 삶과 함께하며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대표 동물로 자리매김한 호랑이에 얽힌 이야기를 펼쳐 보인다. “조선 사람들은 반년 동안 호랑이 사냥을 하고, 나머지 반년 동안은 호랑이가 조선 사람을 사냥한다”: 방대한 호랑이 흔적 약 120년 전에 출간된 여행기 《조선과 그 이웃나라들(Korea and Her Neighbors)》(1897)에서 저자 비숍(Isabella Bird Bishop, 1831~1904)은 “조선 사람들은 반년 동안 호랑이 사냥을 하고, 나머지 반년 동안은 호랑이가 조선 사람을 사냥한다.”라고 하며, 조선에는 많은 수의 호랑이가 있다는 기록을 남겼다. 호랑이와 관련해 《한국구비문학대계》에서는 1,000건 이상의 설화를,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는 700건 이상의 기사를 확인할 수 있다. 구술과 기록으로 대표되는 두 문헌에 나타난 방대한 호랑이 흔적은 오랫동안 호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한글박물관(관장 황준석)은 겨울방학을 맞이한 어린이 자녀와 부모가 집에서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가족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2022년 1월 3일(월)부터 1월 28일(금)까지 4주간 모두 32회 운영한다. 이번 겨울방학 교육 프로그램은 실시간으로 소통이 가능한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는데 아이와 부모가 함께 쉽고 재미있게 한글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하면서 가족 간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한글 옛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다양한 성격 및 모습을 탐구하는“신비한 이야기꾼”, “전설의 이야기꾼”, ▲인쇄술과 한글 대중소설의 발달 과정을 살펴보는 “소설로 온 한글 이야기”, ▲한글 광고를 통해 시대에 따라 달라진 한글의 모습을 이해하는 “예술로 온 한글 이야기” 모두 4종의 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며, 접수는 국립한글박물관 누리집(www.hangeul.go.kr)에서 진행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다양한 대면 체험 활동이 어려워진 상황에서 진행되는 국립한글박물관의 겨울방학 프로그램은 한글을 매개로 하여 가족 구성원 간의 소통을 강화하고 어린이들이 자신의 생각을 확장해 나가는 기회가 될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한글박물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ㅇ 전 시 명: ‘漆’, 아시아를 칠하다 ㅇ 기 간: 2021. 12. 21.(화) ~ 2022. 3. 20.(일) ㅇ 전시장소: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ㅇ 전 시 품: <나전 칠 국화 넝쿨무늬 합> 등 263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오는 12월 21일(화)부터 2022년 3월 20일(일)까지 특별전시실에서 아시아의 옻칠과 칠공예 문화를 보여주는 특별전 ‘漆, 아시아를 칠하다’를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아시아 각지에서 발전한 다양한 칠공예 기법을 살펴볼 수 있는 263점의 칠기를 선보인다. 옻나무의 수액인 옻칠은 예로부터 아시아 각지에서 사용해 온 천연도료로서 방수ㆍ방충 등 물건의 내구성을 높이고, 광택을 더하여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특성이 있다. 이처럼 내구성과 장식성을 높이는 옻칠은 옻나무가 자생하는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요한 공예품 제작 기술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고, 각 지역의 특성에 기반하여 다양한 칠공예로 피어났다. 전시는 모두 4부로 구성된다. 1부 ‘칠기를 만나다’에서는 칠기와 옻칠이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모자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상남도 창원시 경남도립미술관에서는 오는 2022년 2월 6일까지 재난이 일상이 되어버린 오늘날 삶의 지속을 추구하는 한 가지 방법으로서 ‘돌봄’을 제안하는 프로젝트 《돌봄사회》를 전시한다. 돌봄이라는 단어를 머릿속에 떠올려보자. ‘유아 돌봄 교실’, ‘장애인 돌봄 센터’,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돌봄은 어쩐지 ‘특정한’ 대상을 위한 것인듯하다. 그런데 다시 한번 생각해보자. 누군가에게 돌봄을 주고받는 경험 없이 살아갈 수 있는 인간이 있을까? 사실 누구나 태어나 죽음에 이르기까지 돌봄을 경험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은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개체라기보다 서로를 필요로 하는 불완전한 존재이며 상호의존은 본질적인 우리 삶의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본 중심의 근대 사회에서 수익으로 환원될 수 없었던 돌봄은 가치 절하 되어 가족 내 보이지 않는 사적 활동으로 여겨졌다. 이후 시장에 던져진 돌봄은 외주화, 상품화를 거쳐 저임금 노동으로 재생산되었고 취약계층, 이주자, 제3세계 빈곤층 등의 몫이 되었다. 돌봄은 무관심의 역사 속에서 배제되어온 존재들의 아픈 현실을 공유한다. 최근 전 세계적 돌림병 창궐은 돌봄의 위기를 극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황희,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 이하 국어원)이 어려운 외국어를 우리말로 다듬어 꼽은 말 가운데 국민이 고른 가장 적절하게 다듬은 말은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 상실 증후군’은 반려동물의 실종이나 죽음으로 상실감, 슬픔, 우울감, 절망감 등을 느끼는 현상으로, ‘펫 로스 증후군’을 알기 쉽게 바꾼 말이다. 지난해 1월부터 문체부와 국어원은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우리 사회에 들어온 낯선 외국 말을 대신할 알기 쉬운 다듬은 말을 꼽아 왔다. 올해 다듬은 말은 모두 71개로, 언론사에서 배포한 기사와 공공기관의 보도 자료를 날마다 검토해 낯선 외국말을 발굴하고 이들 가운데 공공성이 높거나 국민 생활과 밀접한 말을 중심으로 새말모임*에서 논의한 뒤, ‘어려운 외국어에 대한 우리말 대체어 국민 수용도 조사(이하 국민 수용도 조사)’를 거쳐 마지막으로 꼽았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국어 신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제공하기 위해 국어학계, 언론계, 통번역계, 한글 단체 등 국어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이 땅에서 사라져가는 풍경과 사물, 사람살이의 ‘오늘’을 사진가들이 각자의 시선으로 기록해 후대에 전하는 <팔도여담>. 해마다 한 지역을 정해서 사진으로 기록하고 연말이면 전시와 책으로 선보이는 닷클럽의 이 장기프로젝트가 어느새 6년째를 맞았다. 2016년 ‘팔도여담-경북’을 처음 발표했을 때만 해도 안팎에서 그 지속가능성을 우려했는데, 이듬해 ‘팔도여담-강원〮·제주’, 2018년 ‘팔도여담-전라북도’, 2019년 ‘팔도여담-충청북도’, 2020년 ‘팔도여담 – 대전ㆍ세종ㆍ충남’이 한 해도 거름 없이 이어졌다. 코로나19 상황이 계속되며 촬영의 진행을 힘겹게 했지만, 팔도여담 10년의 기록을 실현코자 하는 닷클럽 사진가들의 의지를 막지는 못하였다. 2021년 광주ㆍ전남 편을 위해 올해도 해당 지역을 찾아가 10명의 사진가가 각자의 주제별로 촬영을 진행하였다. 참여 작가는 김현수, 백낙길, 석정, 손원곤, 심선아, 윤길중, 이순자, 임경희, 지수연, 황임규 모두 10명이다. 김현수는 홀로 남은 노인이나 노부부 곁을 지키며 농촌 지역의 한 풍경을 이루는 ‘반려동물’들을, 백낙길은 칠이 벗겨지고 넝쿨식물에 점령당했을망정 아직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민속박물관(관장 김종대)은 임인년 범띠 해를 맞이해 <용맹함과 해학, 두려움의 상징: 호랑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강연은 코로나19의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라, 2021년 12월 22일 수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국립민속박물관 대강당과 국립민속박물관 공식 유튜브 채널ㆍ줌으로 동시에 진행한다. 이번 학술강연회는 이창식(세명대학 교수), 윤열수(가회민화박물관 관장), 정연식(서울여대 교수) 등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한국의 생활문화 속에서 호랑이와 관련된 이야기를 전달할 예정이다. 십이지의 세 번째 동물인 호랑이는 달[月]로는 음력 1월, 오행으로는 ‘목(木)’을 상징하고, 시간으로는 새벽 3시부터 5시, 방위로는 동북동(東北東)에 해당한다. 2022년 임인년은 검정색에 해당하는 천간 ‘임(壬)’과 호랑이에 해당하는 지지 ‘인(寅)’이 만나는 ‘검은 호랑이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학술강연회를 통해 호랑이에 대한 한국인의 전통적 인식과 문화적 의미를 짚어볼 수 있는 강연회가 될 것이다. 용맹함과 해학의 상징, 민속문화 속 호랑이에 대한 상징과 의미를 낱낱이 밝혀 호랑이는 한국인의 민속문화와 밀접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제주도는 나비들의 천국이다. 천연기념물 산굴뚝나비를 비롯해 가락지나비, 왕나비, 산꼬마부전나비, 꽃팔랑나비, 청띠제비나비 등 희귀한 나비들이 산다. 제주도에는 얼마나 많은 나비가 어떻게 분포하고 있을까? 제주특별자치도 민속자연사박물관(관장 노정래)은 도내에 서식하는 나비의 분포 실태를 조사해 《제주도 나비와 문화》 학술 조사보고서를 펴냈다. 환경변화에 민감한 나비는 기후변화를 예측하거나 환경변화를 추적하는 지표종으로 활용된다. 특히 산굴뚝나비는 한라산국립공원 깃대종(한 지역의 생태계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동ㆍ식물)이다.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산굴뚝나비는 앞으로 한라산 아고산대 지대의 기후와 식생변화에 따라 분포범위와 서식밀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보고서 제1부 『제주도 나비의 생태와 표본』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93종의 나비에 대한 분포, 습성, 변이 등의 정보가 수록됐다. 도내 곳곳에서 촬영한 생태사진도 함께 담겼다. 제2부 『제주도 나비 연구의 발자취』에선 제주학의 선구자인 석주명의 나비연구를 비롯해 나비 표본 만들기, 나비 기르기, 나비 관련 문화 이야기, 나비 보호 방안 등을 실었다. 학술보고서 대표 저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