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40여 년 전, 나는 오사카시 이쿠노구에 위치하는 ‘이카이노’라고 하는 동네를 다니면서 사진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거기는 재일교포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일본인인 나와는 다른 문화를 가진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었습니다. 때마침 교포 2세 3세 젊은이들이 남북 입장 차이를 넘어 하나가 되어 민족 문화와 마음을 지켜가자고 '이쿠노 민족문화 축제'를 개최하려고 했었고, 이카이노에는 그 준비에 분주한 그들의 열기가 소용돌이치고 있었습니다. 2년이 지난 1985년 여름, 나는 그들의 부모님, 조부모님이 태어난 ‘고국’이 어떤 곳인지 궁금해서 한국을 찾았습니다. 대도시 서울을 피해 첫 목적지로 택한 곳은 경주와 부산이었습니다. 불과 1주일간의 짧은 여행이었지만, 나에게는 처음 접하는 외국이었고, 무척 긴장하면서 혼자 거리를 헤매면서 커다란 문화 충격을 마음껏 겪었습니다. 낯선 곳을 찾아 거기 사람들 사이에 끼어들 때, 나에게는 ‘통행 어음’과 같은 사진기가 있었습니다. 나는 떠나기 전 벼락공부로 외운 한국어 “사진을 찍어도 좋습니까?”를 반복하면서 셔터를 눌렀습니다." -오오타 준이치- 오는 9월 12일부터 인천관동갤러리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지난 8월 26일(화), 일본 치바현 야치요시 다카츠 (千葉県八千代市高津)에 있는 일본 조동종사원 (曹洞宗寺院)인 관음사(観音寺)에서는 한일 두 나라 시민이 참석한 가운데 아주 뜻깊은 행사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을 틈타 8일(5명), 9일(1명) 조선인이 일본의 자경단(自警團)에 의해 학살되었는데 이들을 위무하기 1985년 세운 종각의 개보수가 필요하여 한일 양국의 시민들이 합심하여 개보수를 마친 기념으로 <조선인 희생자 위령 종루 '보화종루' 개수완공기념식(朝鮮人犠牲者慰霊の鐘楼 「普化鐘楼」 改修完工記念式)>을 연 것이다. 26일 오후 3시부터 관음사 경내의 보화종루(普化鍾樓) 앞에서 거행된 이날 행사는 2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는데 1부의 시작은 관음사 세키 타쿠마(関琢磨) 주지가 보화종루에 꽃을 바치는 개안공양(開眼供養)을 시작으로 조화선 선생의 살풀이춤으로 이어졌다. 이어서 관음사가 자리한 야치요시(八千代市)의 시장 및 다카츠 특별위원회 위원장(高津特別委員会委員長) 등의 인사가 있었고, 한국측 대표로 유라시아문화연대 신이영 이사장의 축사가 이어졌다. 곧이어 개보수된 보화종루 안에 있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화가 이무성 화백께서 어제(8월 28일 14시) 영면하셨습니다. 이무성 화백께서는 일평생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삶을 그려오셨으며, 18년 동안 문화 특화 신문인 <우리문화신문>의 삽화 등을 맡아 정갈하고도 맛깔스러운 한국전통문화의 아름답고 해학적인 그림을 독자들에게 선사하셨습니다. 이무성 화백은 2012년부터 인사동 갤러리 올에서 항일여성독립운동가 시화전을 시작으로 일본 도쿄, 호주 등에서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한편, 지난해 3월에는 서울에서 <105주년 3.1절기념 나는 여성독립운동가다>를 열었고, 올해(2025년) 3월 25일에도 백범기념관에서 <광복 80주년 여성독립운동가 시화전>을 여는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독립운동가를 세상에 알리는 작업에 매진해 오셨습니다. 한편, 이무성 화백은 이 밖에도 공주아리랑제 무대화(2011), 동두천아리랑제 무대화(舞臺書)(2024), ‘한글새소식', ‘여성독립운동가 도록’ 등 각 도서와 무대 영상 예술에도 뛰어난 예술적 감각을 표출하였으며 2022년부터는 (주)국악신문에 '춤새'를 연재하여 국악계와 일반 독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는 등 예술과 기록, 역사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수형자카드)에 남아있는 독립운동가들의 흑백사진을 보고 있을라치면 울컥 목이 메인다. 일제침략이 없었더라면 감옥에 갇혀 굴곡진 삶을 살아갈 까닭이 없었던 선열들의 인생노정은 그래서 더욱 가슴아프고 애절하기 조차하다. 통탄스러운 일은 온몸으로 독립운동을 하다 감옥살이를 했지만 아직도 이분들이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사실이다. 필자 역시 아침부터 밤까지 미서훈자들의 발굴 작업에 매달리면서 매순간 '미서훈자들포상 작업이 늦어지고 있는 현실의 벽'에 아득함을 느낀다. 올해는 일제 침략의 쇠사슬에서 벗어나 조국의 빛을 찾은지 80돌이 되는 해로 나라 안팎에서 크고 작은 행사들이 즐비하지만 내 개인적인 생각은 '독립운동가 미서훈자를 발굴하는 작업' 만큼 값어치가 있는 일도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어제(27) 낮 2시, 서울시청 3층 회의실에서는 조촐하지만 아주 의미깊은 행사가 있었다. 바로 미서훈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하여 이들을 세상에 알리는 행사였다. 행사 이름은 ‘제14차 독립유공자 230명 포상신청설명회’로 광복회(회장 이종찬)ㆍ국립인천대학교(총장 이인재)ㆍ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가 공동주최였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존경하는 대통령님께 ! 광복 80주년이라는 뜻깊은 해를 맞아, 대한민국 공군의 초청으로 조국을 다시 찾을 수 있게 된 이번 방문은 저희 후손들에게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깊은 감격과 감사의 시간이 되고 있습니다. 저희는 윌로스 비행학교 독립운동가의 후손이자, 그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고자 설립된 Korean Independence Legacy (KIL, 길)의 구성원으로서, 한 가지 특별한 선물을 준비해왔습니다. 이는 바로, 100여 년 전 조국의 독립을 위해 쌀농사 수익을 기꺼이 헌납하셨던 이재수 선생께서 직접 일구셨던 땅에서 오늘날 후손들이 수확한 쌀 5파운드입니다. 이 쌀은 단순한 곡식이 아니라, 조국을 향한 간절한 염원, 낯선 땅에서 자유를 꿈꾸며 흘린 땀방울, 그리고 선조들의 뜻을 잊지 않으려는 후손들의 조용한 다짐이 담긴 세대 간의 연결고리입니다. 이재수 선생께서는 묵묵한 실천과 헌신으로 미국 땅에서 독립운동의 불씨를 지켜내셨고, 그 후손들은 오늘날까지 같은 땅을 일구며 그분의 뜻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 작은 선물이 대통령님께, 그리고 대한민국에 자유를 향한 굳은 믿음, 역사를 이어가는 책임감, 그리고 조국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름 없이, 빛도 없이 나라의 독립울 위해 숨진 이른바 '무명독립용사'를 위한 조촐한 기념탑 하나가 광복 80돌을 맞이해서 국회도서관 앞에 들어섰다. 혹시 탑 아래 서 본 사람이 있었다면 '조촐하다'는 말은 맞지 않다고 할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탑은 아래서 올려다 보자니 사람 키 서너배는 되는 듯하지만 탑이 들어선 공간도 조촐한데다가, 광복 80돌을 맞이한 이 시점에 들어선 것들을 볼때 '조촐하다'는 표현이 맞다. 올 여름, 도서관을 드나들면서 그 땡볕에서 인부들이 알 수 없는 공사를 하는 것을 보았다. 뭐지? 싶었다. 하필 서 있기도 어려운 불볕더위 속에 무슨 공사인가 싶었는데, 알고보니 무명독립운동가를 위한 탑이었다. 분명 오래전에 기획한 공사는 아닐듯 싶었다. 공간도 너무 협소하고, 무엇보다도 8.15광복절을 앞두고 부랴부랴 강행된 공사일정이 그러해 보였다. 다행히 8.15 광복절에 맞춰 완공되어 도서관 이용자로서 안도의 한숨을 쉴수 있었다. 오늘, 그 탚 앞에 서서 '무명독립용사'를 위한 묵념을 올렸다. 홍범도 장군 동상을 비롯하여 지난 3년간, 무도한 정권이 들어서서 '숭고한 독립운동가'들의 삶을 존경은 커녕 모멸스럽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경북문화관광콘텐츠활용전시 ‘광복, 어둠을 걷어낸 빛’을 연다. 경북문화관광콘텐츠활용전시는 경북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문화유산을 홍보하고 그 값어치를 더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전시콘텐츠로 가공하여 소개하고자 기획된 것으로, 이번 전시는 광복 80돌을 기려 ‘경북의 독립운동’을 주제로 정하였다. 광복을 향한 여정 이번 전시는 광복 80돌을 맞아 경북지역 독립운동의 여정을 보여준다. 전시는 <1부 : 칼을 든 선비, 죽음으로 지킨 의리>, <2부 : 조국을 위해 걷다, 독립의 발자취>, <3부 : 민족의 외침, 대한민국을 세우다>, <4부 : 다시 찾은 빛, 그날의 감격>으로 구성되었다. 19세기 말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경북지역에서 처음으로 의병이 일어났다. 의와 도덕을 중시하던 영남지역의 선비들은 책상 앞을 떠나 칼을 들고 일본의 억압에 앞장섰다. 안동지역의 이만도, 권세연, 김도화 등과 영천의 산남의진, 영덕의 신돌석 부대, 영양의 김도현, 문경의 이강년 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경북지역에서는 일제에 항거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어 저항 의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선생님으로부터 ‘알고있는 여성독립운동가를 말해 보라’라는 질문을 듣고 한동안 멈칫했습니다. 돌아보니 저 자신이 알고 있는 여성독립운동가는 유관순 열사 외에 정확히 떠오르는 분이 없었습니다. 노원중앙도서관에서 광복 80돌 기념 기획으로 ‘독립운동 속 숨겨진 이름’에 대한 강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오늘 참여했는데 오기를 잘했다는 생각입니다. 강연을 통해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해 공부를 해야 하겠다는 각오가 섰습니다." - 김효정(상계8동)- 이는 그제 8월 9일(토) 낮 2시부터 노원구중앙도서관 1층 <다인정담>에서 있었던 여성독립운동가 강연에 참석했던 김효정 씨의 말이다. 그제 행사를 주관한 곳은 노원문화재단 노원휴먼라이브러리(관장 김성민)로 행사의 정식 이름은 <서간도에 들꽃 피다: 독립운동 속 숨겨진 이름들>이라는 주제였고 강사는 필자였다. 이번 행사를 앞두고 한 달 전쯤 노원휴먼라이브러리 사서라고 자신을 밝힌 이선희 씨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았다. 광복절을 앞두고 휴먼북(사람책)을 초대해서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마련하고 싶다는 이야기였다. 이선희 사서는 “들꽃처럼 피었다 진 우리 여성독립운동가의 삶과 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광복 80돌을 맞아 일제강점기 강제 창씨개명으로 일본식 이름을 사용해야 했던 한국 첫 식물분류학자 정태현(鄭台鉉, 1882–1971) 선생의 본명을 학술적으로 복원하는 작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 동화 정책으로 인해 왜곡된 학술 기록을 바로잡고, 한국 식물학의 역사를 정확하게 되돌리기 위한 역사적 의미가 있다. 정태현 선생은 구한말부터 해방 이후까지 우리나라 전역을 답사하며 수천 점의 식물 표본을 채집하고, 새로운 종을 발견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특히, 광복 이후에는 우리말로 펴낸 첫 식물도감인 《한국식물도감》(1957)을 펴내, 한국 식물학 연구의 초석을 놓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지 동화 정책으로 말미암아, 그는 ‘가와모토 다이겐(河本台鉉, Kawamoto Taigen)’이라는 일본식 가명을 강제로 사용해야 했으며, 이 이름으로 학술지에 인용됨으로써 학문적 정체성이 왜곡되었다. 예컨대, 그가 직접 채집한 식물 표본에는 ‘鄭台鉉’(정태현)이라는 본명이 분명히 기록되어 있었지만, 일본 식물학자 나카이 다케노신(中井猛之進)은 그의 표본을 신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더워도 너무 덥다. 여름은 원래 더운 것이지만, 지구온난화인가 뭔가로 더위도 추위도 극심할뿐더러 비가 내리면 물폭탄 수준이다. 올 여름들어 한낮의 수은주는 낮과밤 가리지 않고 섭씨 40도에 육박하는 날이 연일 계속되고 있다. 들리는 말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동남아보다 더 덥다고들 한다. 시원한 곳이라고 하면 에어컨이 빵빵 돌아가는 집이나 사무실이 최고겠지만, 옛 선조들은 전기도 없던 시절에 여름을 어떻게 견뎠을까 싶다. 이열치열(以熱治熱)이란 말은 말 그대로 열로써 열을 다스린다는 말이다. 이무성 화백의 위 그림을 감상해보자. 한무리의 사람들이 물가에 솥을 걸고 불을 때고 있다. 솥에 불이 꺼지지 않도록 장작을 나르는 사람도 있다. 이 사람들은 왜 이 무더위에 가마솥에 불을 때는 것일까? 고것이 바로 이열치열과 관계가 있는 것이다. 더울지라도 한솥 가득 물고기를 잡아 매운탕을 끓여 먹는다면 구슬땀을 흘리는 가운데서도 무더위쯤 날려보낼 수 있다고 옛 사람들은 믿었던 것이다. 이런 것을 천엽(철렵)이라고 들었다. 천렵(川獵)이란 내 천(川)자와 사냥할 엽(獵)자를 쓰는 낱말로, 물가에서 사냥한다는 뜻이다. '물가에서 물고기를 잡아 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