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박삼득)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임병극(1885~미상) 선생을 2020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 선생은 1885년 평안도에서 출생하였으며 1917년 고향을 떠나 북간도(北間島)로 망명하여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일원으로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대한국민회가 만든 항일무장활동 기관인 국민회군의 제2중대장에 임명되어 독립전쟁의 맨 앞에서 활동했다. 국민회군과 함께 북간도에 근거지를 구축하고 항일무장활동을 펼치던 독립군단들은 효과적인 항일전을 위해 1920년 5월 22일 북간도 독립군 연합체인 대한북로독군부(大韓北路督軍府)를 탄생시켰으며, 북간도의 여러 독립군단 소속의 독립군 유격대는 수시로 국내진입 전쟁을 펼쳐 일제 침략자들을 응징했다. 1920년 6월 4일 독립군 유격대는 국내로 진입하여 일본군 헌병 순찰대를 격파하는 큰 전공을 세운 뒤, 6월 6일 대한북로독군부 주력부대가 주둔해 있는 왕청현(汪淸縣) 봉오동(鳳梧洞)으로 향했다. 봉오동은 마치 삿갓을 뒤집어 놓은 모양의 지형으로 들어올 수 있는 입구가 하나였고, 나머지는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외부의 공격을 방어하기에는 최적의 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바야흐로 일본은 아지사이(수국)꽃이 흐드러지는 계절이다. 우리나라보다 장마가 한 달 빠른 일본에서는 6월부터 장마철로 들어서는데 이 무렵 시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 아지사이다. 푸른빛, 붉은분홍빛 등 은은한 색이 마치 파스텔화 같아 시민들로부터 사랑받는 이 꽃은 오래된 절의 뜰이나 공원 등에 대규모로 심어 관상용으로 즐기고 있다. 도쿄 인근 가마쿠라시 장곡사(鎌倉市 長谷寺)에도 활짝 핀 아지사이를 구경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늘고 있다. 절 입장료는 400엔이지만 올해는 특별관람표로 1,000엔을 받아 절반은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후원금으로 쓰인다고 한다. 아지사이꽃은 푸른빛과 붉은분홍빛이 주종을 이루는데 이것은 꽃의 품종 때문이 아니라 토양이 산성이면 파란색의 꽃을 피우고, 알카리성이면 붉은분홍꽃을 피우는 것이다. 일본은 전국적으로 아지사이꽃을 심고 가꾸는 곳이 많은데 누리집 쟈랑뉴스(https://www.jalan.net/news/article/153341/)에서는 이맘때쯤 전국 아지사이 명소 30선(選)을 소개하는 등 발 빠르게 꽃소식을 전한다. 2019년 아지사이 30선(選) 명소 몇 곳을 살펴보면, 시즈오카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문지문학상과 젊은작가상 대상을 수상하며 한국문학의 주목받는 작가로 자리매김한 정지돈의 짧은 소설집이 출간되었다. 그동안 『내가 싸우듯이』『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기억에서 살 것이다』『작은 겁쟁이 겁쟁이 새로운 파티』『야간 경비원의 일기』 등을 선보이며 탄탄하게 기대에 부응해온 정지돈은, 『농담을 싫어하는 사람들』을 통해 짧은 소설에서도 그 재능을 어김없이 드러낸다. 짧은 소설을 두고 “써보지 않은 형식이라 부담스러웠는데 쓰다 보니 즐거워졌다”고 말하는 정지돈은, “친밀한 사이에서 오간 실없지만 웃긴 대화 같은, 그런 글을 생각하고 쓴 건 아닌데 써놓고 보니 그렇게 됐다”고 덧붙인다. 정지돈은 짧은 소설을 통해 독특하고 위트 있는 농담의 세계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실존 인물인 폴 오스터와 에드워드 사이드, 장 주네를 엮어 사실과 상상력을 절묘하게 결합하고, 영화감독 장 팽르베를 등장시키며 역시나 ‘어디까지 허구이고, 어디까지 사실일까?’ 생각하게 만든다. 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여행을 하고 책을 읽으며 동시에 일상 속에서 끊임없이 기이한 일들을 마주하기도 한다. 소설의 모든 농담과 독특한 낯섦은, 재치 있는 문장에 담겨 독자들의 마음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군위안부 문제는 조직적인 국가 범죄다. 이렇게 강요된 성 착취의 시작은 언제부터였을까? 그 근거를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학술심포지엄이 지난해(2019) 12월 14일, 도쿄외국어대학에서 열렸다. 이날 학술심포지엄의 주제는 일본ㆍ조선ㆍ중국 동북에서 본 만주의 기억과 흔적이었다. 이날 발표에서 경북대학교 이동진 교수는 ’만주국의 조선인 ‘성매매자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그 내용의 일부를 살펴보면, “일본의 성매매제도인 유곽(遊廓) 시설의 공창제(公娼制)는 1872년에 <창기해방령(娼妓解放令)>을 공포하여 막부시대부터 내려오던 공창제를 폐지한 이듬해인 1873년 도쿄부령 제 145호로 <유곽규칙>과 <창기도세규칙娼妓渡世規則>을 공포함으로 성립되었다. 이러한 제도가 일본인의 해외 거류지 가운데 가장 먼저 나타난 곳이 조선이었다. 조선에서는 1881년 부산과 원산에서 일본영사관령으로 <유곽영업규칙> 등을 공포하여 유곽 영업을 허가하였다. 중국의 대련에서도 일본의 공창제가 실시되었다. 현지 군 당국은 1905년 12월에 대련 봉판정에 유곽을 설치하여 군의 관리하에 기루(妓樓)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온천지가 초록빛이다. 나무도 푸르고 아무렇게나 난 풀들도 온통 초록빛이다. 그 초록 풀밭 속에 붉게 핀 꽃양귀비는 그래서 더욱 또렷한 색의 조화를 이룬다. 절묘하다고나 할까? 아침에 내린 비로 초록은 더욱 푸르고 붉음 또한 더욱 붉다. 꽃양귀비는 한송이씩 봐야 예쁘다. 무리진 모습은 그다지 예쁘지 않다. 일산 호수공원안의 메타세콰이어 길 옆에 끝없이 펼쳐진 꽃양귀비꽃이 5월의 장미가 부럽지 않다는 듯 고혹적인 빛으로 사람들을 유혹한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천일홍, 꽃양비, 매발톱, 채송화, 맨드라미, 비아, 마가렛, 일일초, 멜란포디움, 백묘국 ,사휘니아, 임파첸스 등 헤아릴수 없이 많은꽃들이 봄꽃시장 마당을 가득메우고 있다. 채송화 같은 우리의 낯익은 꽃 보다는 낯선 외래종들이 더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봄꽃시장이 열리고 있는 곳은 고양시 농협하나로마트(일산서구 대화로 362) 시장이다. 5월 31일까지 열리는 봄꽃시장에는 꽃 말고도 고추, 상추, 마토, 수수, 지 등 텃밭에서 소소하게 키울 수 있는 푸성귀 모종도 없는 게 없다. 판매 단위는 꽃마다 다르지만 일일초의 경우 12개 한판에 8000원, 맨드라미의 경우는 12개 1판에 7000원 선이며 낱개로도 판매한다. 10판 단위로 살때는 10% 할인도 해준다. "코로나19로 바깥 출입을 거의 안하다가 주말을 맞아 초등학생 딸내미와 꽃시장에 나왔습니다. 아파트 베란다에서 키울 꽃 모종을 둘러보고 있는데 심을 공간만 있으면 많이 사가고 싶네요." 라며 처 주엽동에 산다는 최선화(43살) 씨는 초등학생 딸이 더 좋아한다며 모처럼 밝은 표정을 지었다. 이번 고양하나로 농협 봄꽃시장은 5월 31일까지 열린다. 농협하나로마트 고양점 꽃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겨울엔 눈의 왕국, 여름엔 꽃의 왕국이라 불리는 일본의 북단 홋카이도(北海道)는 일본 안에서 공장이 없는 유일한 청정지역이다. 푸르른 신록과 함께 파란 하늘 아래 보랏빛 라벤더가 끝없이 펼쳐져 있는 5월의 풍경은 그야말로 한 폭의 수채화다. 한번 보면 누구나 반하는 꽃의 계절, 홋카이도는 꽃의 천국이다. 세계적인 감염병인 코로나19만 없었다면 지금 홋카이도 후라노(富良野), 비에이(美暎) 지역 등에는 관광객을 실어 나르는 관광버스 행렬이 꼬리에 꼬리를 물것이지만 올해는 사정이 좀 다르다. 홋카이도 보건당국에 따르면 지난 18일(월)에도 코로나19(일본에서는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라 함)로 90대 여성이 사망했다고 발표했다. 이 여성의 사망으로 18일 현재, 홋카이도의 감염병 사망자 수는 모두 76명이며 감염자수는 1,006명, 퇴원자수는 589명이다. 후라노(富良野), 비에이(美暎) 지역의 라벤더 꽃밭은 일본 안에서도 아름답기로 손꼽힌다. 끝없이 펼쳐진 홋카이도 대자연을 많은 꽃으로 가꾼 사람들 덕에 이곳에는 봄부터 여름에 걸쳐 수많은 관광객이 꽃향기에 취해 찾아든다. 지금 같은 5월에는 무스카리, 히야신스, 튤립 등이 볼만하고 6월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 사례를 통해 핵심행정부, 즉 청와대, 대통령비서실, 문화체육부와 산하기관, 시민단체 등의 의사결정의 다면성을 살핀 책이다. 조선총독부 건물은 중앙청, 국립중앙박물관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해방 이후 50여 년간 철거 여부를 놓고 공론의 대상이었지만, 문민정부를 표방한 김영삼 정부에 들어와 해체되었다. 이곳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청사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해방 직후 잠시 미군정 청사로 활용되었으며, 중앙청, 국립중앙박물관 등 그때그때 상황과 필요에 의해 다양하게 활용되면서 그 정체성을 달리 하였다. 또한 6·25전쟁과 서울 수복, 제헌국회 개원, 대한민국 정부 수립 등 한국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의 현장이기도 하였다. 그런데 조선총독부 건물 철거는 건물 자체의 다면적 정체성보다 더 복잡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결국 건물은 해체되었지만, 당시의 의사결정 맥락은 매우 구체적이었기 때문에 조선총독부 철거 사례는 한 세대가 지난 지금도 정부 정책결정의 본질을 포착하고 국가 의사결정의 다차원적 세계를 경험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 특히 동일한 정책결정임에도 접근방법에 따라 그 사례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아무리 거대한 산도 시간 앞에서는 변한다.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이다. 세대를 거듭하면서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이 달라지는 만큼 생각도 다양해졌다. 그렇다면 1980년 5월의 광주는 2020년 5월의 사람들에게 어떻게 기억되고 있을까? 어떤 이에게는 치열하게 뜨거웠던 열흘이자 생각만으로도 가슴 뜨거워지는 사건으로, 또 어떤 이에게는 성적을 위해 시간순으로 암기해야 하는 한 줄의 역사일지 모른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든 광주의 5월이 간직한 이야기는 세대를 거쳐 끊임없이 이어져왔다. 그리고 그 속에서 도시 광주의 의미와 가치도 조금씩 변화해갔다. 《요즘. 광주. 생각.》은 5·18민주화운동 이후 40년의 시간을 지나, 12명의 밀레니얼 세대에게 광주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인터뷰한 책이다. 승패가 존재하는 토론이 아닌 각자의 솔직한 생각을 나누는 대화를 담았다. 도시 연구가, 역사학자, 교사, 광주 출신 청년, PD, 기자, 페미니즘 서점 주인, 의무경찰, 회사원 등 개성 넘치는 12명에게 ‘요즘, 광주, 생각’을 물었다. 일상적인 광주, 앞으로의 광주 등 그들의 솔직한 언어와 생각으로 그려낸 광주를 들어볼 수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 나라(奈良) 동대사(東大寺, 도다이지)라고 하면 먼저 사슴을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 동대사는 나라공원(奈良公園) 안에 있는데 이곳에서는 방목하는 사슴들이 관광객을 졸졸 따라다니며 먹이(센베, 과자)를 받아먹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절 입구에는 사슴 먹이를 파는 가게가 줄지어 있다. 사슴용 과자는 언뜻 보면 사람이 먹어도 좋을 만큼 맛나 보인다. 나라, 교토, 오사카 지역은 관서여행의 핵심지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정도로 찾는 사람이 많다. 동대사, 법륭사 등 천년고찰도 많고 또한 교토의 3대 마츠리 등 유무형의 볼거리가 많아 인기 만점의 관광지역이기도 하다. 그런데 요즘 코로나19(일본에서는 ‘신형코로나’라고 한다)로 동대사를 찾는 관광객이 줄자 이곳 명물인 사슴들이 시내까지 먹이를 찾아 내려오고 있다는 기사가 심심치 않다. 도쿄스포츠신문 5월 1일 치에는 ‘문 닫은 상점가를 어슬렁거리는 한 마리 사슴’ 사진이 올라와 시선을 끌고 있다. 이날 밤 11시에 상점가를 지나가던 주민은 “야심한 시각에 사슴이 돌아다니다니 안쓰럽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코로나19로 관광객의 발길이 뜸하자 관광객이 던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