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조선청년독립단(朝鮮靑年獨立團)은 우리 이천만 겨레를 대표하여 정의와 자유와 승리를 얻은 세계 여러 나라 앞에 우리가 독립할 것임을 선언하노라.” 100년전 오늘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동경에서 유학생 중심으로 독립선언서를 전 세계에 당당히 알린 날이다. 그날의 함성으로부터 어느새 100년의 시간이 흘렀다. 해마다 이곳에서는 재일본 한국YMCA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공동주최로 ‘2.8 독립기념식’을 열고 있는데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는 특별히 그 의미가 깊다. 기념식이 열리는 재일본 한국YMCA 건물 입구에는 2.8 독립선언 돌 기념비가 서있다. 2·8 독립선언(二八獨立宣言) 기념비는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 재일 유학생이 중심이 되어 적지에서 불굴의 의지를 만천하에 선포한 장한 행동을 기리고자 1982년 세웠다. 동경 유학생들이 주축으로 일어난 2.8 독립선언 선포식은 삽시간에 절망에 빠져있는 고국에 전해졌고 급기야 3.1운동의 활화산을 뿜어내게 한 원동력이 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1919년 1월 유학생들은 “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를 중심으로 동경 기독교청년회관에서 웅변대회를 열었다. 이때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그제(2월 4일)는 입춘이었지만 설날 연휴 중인 한국에서는 입춘을 별로 의식하지 않고 지나버린 느낌이다. 설날 연휴가 아니었더라도 특별한 입춘 행사가 없는 게 우리 풍습이긴 하지만 건양다경(建陽多慶)과 같은 입춘축을 붙이는 모습 정도는 텔레비전 화면에서 볼 수 있다. 일본은 어떠한가? 일본에서는 입춘에 대한 풍습이 남아있어 곳곳에서 입춘 행사를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입춘을 절분(세츠분, 節分)이라 해서 사악한 귀신을 몰아내기 위한 콩 뿌리기(마메마키) 행사를 전국의 절이나 신사(神社)에서 행한다. “복은 들어오고 귀신은 물러가라(후쿠와 우치, 오니와 소토, 福は內、鬼は外)”라고 하면서 콩을 뿌리고 볶은 콩을 자기 나이 수만큼 먹으면 한 해 동안 아프지 않고 감기도 안 걸리며 모든 악귀에서 보호 받는다는 믿음이 있다. 절분(세츠분, 節分)은 보통 입춘 전날을 말하는데 이때는 새로운 계절이 돌아와 추운 겨울이 끝나고 사람들이 활동하기도 좋지만 귀신도 슬슬 활동하기 좋은 때라고 여겨서인지 이날 사악한 귀신을 물리치기 위한 콩 뿌리기(마메마키) 행사를 오래전부터 해오고 있는 것이다. 절분행사는 예전에 궁중에서 시작했는데 《연희식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김마리아(1892. 6. 18. ~ 1944. 3. 13.) 선생을 2019년 2월의 독립운동가로 뽑았다. 김마리아 선생은 1892년 6월 18일 황해도에서 태어났으며, 마리아는 개신교의 세례명인데 독실한 개신교신자였던 아버지가 지어주신 것이다. 1918년 1월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이 발표되고, 이듬해 1월부터 파리강화회의가 열린다는 소식이 알려지게 되자, 재일 동경 유학생들은 이를 한국 독립의 절호의 기회로 이용하고자 독립선언을 준비하였다. 이것이 바로 동경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 계획이었는데, 여기에 김마리아라 선생을 비롯한 여자 유학생들도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선생은 2·8독립선언문 10여 장을 미농지에 복사하여 옷 속에 감추고는 현해탄을 건너 부산에 도착하였다. 이어 교육계ㆍ기독교계ㆍ천도교계의 지도자들을 만나 재일 동경 남녀 유학생들의 독립운동에 대해 보고하면서 국내에서의 거족적인 독립운동을 촉구하였다. 3·1운동이 일어난 날에도 선생은 여성들에게 독립운동 참여를 촉구하였고 선생은 그 배후 지도자로 지목되어 학생들과 함께 체포되었다. 출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광활한 중국대륙 여자 광복군 맏언니 ‘오광심’, 백범이 인정한 여자광복군 1호 ‘신정숙’ 핏덩이 안고 광복군으로 뛴 ‘유순희’, 중국 군인도 무서워 벌벌 떤 여자 광복군 ‘이월봉’ ..... 이는 필자가 여자광복군들의 삶을 추적하여 쓴 시 제목이다. 일제강점기 때 여자광복군은 씩씩했고 늠름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대일항쟁을 위한 준비로 1940년 9월 17일 중경에서 광복군 총사령부를 창설하였다. 광복군은 창설 직후 총사령부와 3개지대를 편성하였으며 총사령부는 지청천 장군을 총사령으로, 참모장으로는 이범석, 제1지대장 이준식, 제2지대장 공진원, 제3지대장 김학규 등이 임명되어 단위 부대 편제를 갖추었다. 총사령부는 약 30여명 안팎의 인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초기 여자광복군으로 지원한 사람은 오광심, 김정숙, 지복영, 조순옥, 민영주, 신순호 등이었다. 이들은 주로 사령부의 비서 사무 및 선전 사업 분야에서 활약하였다. 광복군은 각지에 흩어져 활동하던 한인 항일군사조직을 흡수하여 통합하는 데에 힘을 쏟았다. 1941년 1월에 한국청년전지공작대가 편입되었으며, 1942년 7월에는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의 일부가 흡수되었다. 그렇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옛날 히에이산에 있던 가난한 승려가 부처님의 계시를 꿈속에서라도 보기 위해 구라마사(鞍馬寺)에 기도하러 갔다. 그러나 7일간 정성껏 기도를 해도 답이 없자 다시 7일을 연장하고 또 다시 100일 동안 기도 정진에 들었다. 그러나 그렇게 원하던 부처님은 나타나지 않고 사자(使者)가 나타나 기요미즈사(淸水寺), 가모신사(賀茂神社) 등으로 자꾸 기도처를 옮기라고 해서 히에이산 승려는 기대를 걸고 사자의 지시를 따른다. 그러다 꿈에도 그리던 계시를 받는데(작품에서는 계시자가 부처라는 이야기는 없다) 승려에게 흰종이와 쌀을 내려주겠다는 소리를 들은 승려는 ‘그렇게 힘들게 기도를 했는데 고작 흰종이와 쌀이 무엇이냐 싶어 원망스런 마음’이 가득했다. 하지만 이 흰종이와 쌀은 생각과 달리 써도써도 줄어들지 않는 화수분이었다.” 이는 일본 중세의 설화집 《우지습유모노가타리(宇治拾遺物語)》, 제6권 제6화 ‘가모신으로부터 신전에 바치는 흰종이와 쌀 등을 받은 이야기’의 요약이다. 이야기 끝에는 ‘신과 부처에게는 조급한 마음을 버리고 느긋하게 기도 정진해야 한다’는 교훈적인 말이 붙어 있다. 이와 같은 설화가 197화 수록되어 있는 일본 중세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말모이'(엄유나 감독, 유해진ㆍ윤계상 주연)라는 영화가 장안의 화제다. 처음에 이 제목을 들었을 때 ‘말에게 주는 먹이?’인가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순간 ‘모이’는 닭이나 새 따위 날짐승의 먹이인데 싶어 알아보니 ‘사전’의 우리말임을 알고 부끄러운 생각이 들었다. 그동안 ‘사전’이라는 말에 절어 ‘말모이’라는 말이 사전이라는 뜻임을 미처 헤아리지 못한 것이다. 영화 ‘말모이’의 핵심은, 일제강점기 조선말 말살에 눈이 벌겋던 일제의 눈을 피해 우리말을 ‘사전’으로 지켜내려한 사람들의 눈물겨운 이야기다. 실제로는 주시경 선생 등이 1910년 무렵에 조선 광문회에서 편찬하다 끝내지 못한 우리말 사전을 주제로 만든 영화로 새삼 우리말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영화다. 지금 쓰고 있는 우리말글은 그렇게 해서 지켜진 것이라 그 소중함이 크다. 한 가지 아쉬운 것은 토박이 우리말의 다양한 표기를 말모이(사전)에 넣으려는 노력이 돋보일 뿐, 쓰라린 일제침략기를 겪으면서 우리말 속에 유입된 일본말 찌꺼기라든지 그 이전 중국으로부터 유입된 어려운 한자말이 우리 고유의 말을 몰아낸 사례 등도 말모이를 만드는학자들은머리속에 두었을텐데 그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가 3·1만세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독립유공자를 시작으로 <국가유공자 명패> 달아드리기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국가유공자 명패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6월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국가유공자를 존경하는 마음을 이웃들과 함께 나누기 위해 통일된 ‘국가유공자 명패’ 사업을 지시한 후 본격화됐다. 이에 따라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은 25일(금) 오전 11시, 서울 동작구에 있는 독립유공자 임우철 애국지사 자택을 방문해 새해 첫 ‘독립유공자 명패’를 직접 달아드리는 행사를 가진다. 임우철 애국지사는 1941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 공옥사고등학교 토목과 재학 중 동급생들과 함께 내선일체*(內鮮一體)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궁성요배**(宮城遙拜)의 부당함을 주장하는 등 민족의식을 드높이다 1942년 12월 체포돼 치안유지법 위반과 불경죄로 징역 2년 6월을 받았다. 임우철 애국지사는 2001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 받았다. *내선일체(內鮮一體) : 조선과 일본은 하나라는 뜻으로 1937년 일제가 전쟁협력 강화를 위해 취한 정책 **궁성요배(宮城遙拜) : 식민지 주민들이 도쿄(궁성)를 향해 절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3.1만세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이하여 국립묘지에 있지 않은 독립유공자 무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한다. 이를 위해 국가보훈처는 지속적인 독립유공자 무덤 실태 조사를 하고 있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모두 5,360명의 독립유공자 무덤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3,399개 무덤 소재지를 확인하였으며, 실태조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모든 포상자 15,180명 가운데 7,761명(51.5%)의 무덤 소재를 확인하였고, 7,307명(48.5%)의 무덤이 미확인 되었다. 앞으로 소재가 미확인된 무덤에 대해서는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사업 등과 연계하여 무덤 소재지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흩어져 있는 무덤 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할 계획이다. *산골 : 주검을 화장하여 묻거나 산이나 강, 바다 따위에 뿌림 모든 포상자 15,180명 가운데 7,761명(51.5%)의 무덤 소재를 확인하였고, 7,307명(48.5%)의 무덤이 미확인 되었다. 앞으로 소재가 미확인된 무덤에 대해서는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 사업 등과 연계하여 무덤 소재지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흩어져 있는 무덤 실태조사를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우리들은 이 책을 동시대를 살아가는 여성들 특히 차세대 여성들이 읽어주었으면 합니다. 젊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주석을 달았으며, 책 끝에는 재일조선인, 피차별부락, 아이누, 오키나와, 아시아(필리핀, 스리랑카, 베트남)의 역사와 개인사를 하나의 연표로 정리해두었습니다. 이것은 기존의 일본사 연표와는 달리 일본사회에서 살아가는 다양한 뿌리를 가진 ‘우리들의 역사’인 것입니다.” 이는 한 장의 흑백사진으로 재일(在日)의 역사를 말해주는 책 《가족사진을 둘러싼 우리들의 역사(家族写真をめぐる私たちの歴史:在日朝鮮人・被差別部落・アイヌ・沖縄・外国人女性2017, 도쿄출간)》에 나오는 머리말의 일부다. 이 책을 쓴 사람들은 모두 여성들로 24명이 집필자다. 집필자들은 황보경자, 김리화, 이전미와 같은 재일조선인과 일본인이면서 피차별부락 출신자들도 함께 이 책을 썼다. 피차별부락이란 과거 일본에서 ‘에타(エタ, 穢多)’라 불리는 천민, 전염병 보균자, 전쟁포로 등의 집단거주지를 얘기했으나 현재는 일본의 천민집단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나쁜 의미로 쓰이고 있다. 책을 집필하게 된 동기는 지금으로부터 17년 전인 재일조선인여성 단체인 ‘미리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제강점기 당시 독립운동과 관련해 옥살이를 했던 수형자 5천 3백여 명이 확인됐다.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17일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일제강점기 수형인명부’에 대한 전국 시(군)ㆍ읍ㆍ면 전수조사를 통해 독립운동 관련 수형자 5천 323명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특히, 이 가운데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지 않은 수형자는 2,487명으로, 국가보훈처는 3·1만세운동 100돌인 올해 독립유공자 포상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수형인(범죄인)명부는 형(刑)을 받은 사람의 ‘성명, 본적, 주소, 죄명, 재판일자, 형명형기, 처형도수(재범여부)’ 등을 적은 간결하고 중요한 인적정보이자 독립운동 활동을 입증하는 핵심 기초자료로 독립유공자 발굴ㆍ포상에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하지만, 이 같은 수형인명부는 국가기록원에 이관되지 않고 아직도 수형인의 본적지에 산재해 있는 경우가 많아 오래전부터 학계 등에서 전수조사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에 국가보훈처는 국정과제인 ‘국가를 위한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는 나라’의 2018년도 세부실천과제로 ‘일제강점기 수형인명부 전수조사’를 선정, 3·1만세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