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이 우리들의 토지 조선을 훔친 지 무려 40년이다 몸을 던져 피를 흘려보면 그 피에 의해 되찾은 땅의 권리는 영원할 것이다. ....죽자 피를 흘리다 피의 가치에 권리가 있고 사상이 있으며 독립이 있다. 이는 대한성공회 신부 출신의 독립운동가 조광원(1897.10.21. ~ 1972.10.7.) 지사의 기념비에 새겨져 있는 말이다. 며칠 전 조광원 지사의 기념비가 있는 대한성공회온수리성당(성안드레성당)엘 다녀왔다. 한옥의 자태가 그대로 살아있는 이 성당은 지은 지 113년이 되는 건물로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2호(2003.10.27.)로 지정되어 있어 성공회 신자가 아니더라도 강화의 유적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는 곳이다. 이 건물 옆에 조광원 지사의 기념비가 서 있다. 조광원 지사는 어린 시절 이곳 온수리 성공회 성당의 신자였으며 그 뒤 1921년 서울 정동성당에서 열린 제3회 전도구연합회에서 '전도장려부' 설치를 위한 기초위원에 선임됐다. 평신도였던 조광원 지사는 트롤로프(조마가) 주교 명을 받아 미국 성공회 하와이교구로 파송되어 활동하였으며 동포 2세들에게 한국어 교육과 상해임시정부에 독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3·1만세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기념해 여는 ‘독립의 횃불 전국 릴레이’의 국민주자 선발을 위한 온라인 공모를 진행한다. ‘독립의 횃불 전국 릴레이’는 3월 1일부터 4월 11일까지 42일 동안 전국 22개 주요 지역*의 주자 봉송과 78곳의 차량 봉송 등 모두 100곳에서 불을 밝힐 예정이며, 주자 봉송 구간에서는 100돌인 2019년의 의미를 부여해 2019명이 참여하게 된다. * 주자 봉송 22개 지역 : 서울, 인천, 춘천, 고성, 대구, 안동, 영덕, 부산, 울산, 진주, 순천, 제주, 목포, 광주, 전주, 익산, 천안, 대전, 예산, 충주, 청주, 화성 주자는 온라인 국민 공모와 22개 주요 지역 지방보훈관서 추천을 통해 선발되며, 지방보훈관서 추천자는 독립유공자 후손을 포함해 해당지역 특색에 맞는 다양한 계층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국민주자 온라인 공모는 1월 15일부터 2월 10일까지 국가보훈처 누리집(www.mpva.go.kr)과 독립의 횃불 누리 소통망 서비스인 페이스북(www.facebook.com/again1919)을 통해 진행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어제 14일은 일본의 “성인의 날(成人の日)” 이었다. 20살을 맞이하는 젊은이들의 잔치인 성인의 날은 1999년까지는 1월 15일 이던 것이 2000년부터는 1월 둘째 주 월요일로 정해 성인의 날 행사를 하고 있다. 성인의 날의 사전적 뜻은 “새롭게 성인이 되는 미성년자들이 부모님과 주위의 어른들에게 의지하고 보호받던 시절을 마감하고 이제부터 자신이 어른이 되어 자립심을 갖도록 예복을 갖춰 입고 성인식을 치루는 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날 여성들은 하레기(晴れ着)라고 해서 전통 기모노를 입고 털이 보슬한 흰 숄을 목에 두른다. 한편 남성들은 대개 신사복 차림이지만 더러 하카마(袴, 전통 옷)차림으로 성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이날 행사를 위해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단장을 하는데 제법 돈이 든다. 화려한 전통 의상을 입고 성인식을 마친 여성들이 삼삼오오 짝을 지어 시내를 누비고 돌아다니는 모습은 외국인에게는 또 하나의 볼거리다. 일본의 “성인의 날”의 역사는 얼마나 되었을까? 성인의 날은 지금으로부터 73년 전인 1946년 11월 22일 사이타마현 와라비시(埼玉県蕨市)에서 실시한 ‘청년제’가 그 뿌리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대한민국의 나이는 몇 살일까? 올해가 임시정부 100주년이니까 100살이 맞다. 그런데 또다시 해묵은 건국절 시비다. 모두 아는 바와 같이 자유한국당을 중심으로 한 일부 세력은 이승만 정부가 출범한 1948년 8월 15일이 대한민국의 유일한 건국절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2019년 4월 11일을 대한민국 탄생 100주년으로 확정하자 ‘역사에 대한 테러’라며 공세를 멈추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오마이 TV 청년 기자들이 나섰다. 대한민국은 어디에서 탄생했는지 누가 대한민국을 지켜 나간 것인지, 중국 현장에서 직접 확인했다. 청년 기자들은 지난 6월 18일부터 20박 21일 동안 중국 상하이를 시작으로 자싱, 항저우, 난징, 창사, 광저우, 류저우, 구이린, 충칭까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조선의용대가 걸은 6800킬로를 좇아갔다. 청년기자들은 말한다. 현장에 가니 답이 보인다고 말이다. 언제 어디서 어떻게 대한민국이 탄생했고 대한민국을 지켜나가기 위해 김구와 윤봉길, 안창호와 신규식, 김원봉과 의열단 등이어떤 행동을 했는지 알았다고 했다. 그리고 왜 여전히 건국절 논란이 반복되는지도 확인했다. 이러한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노부의 병이 벚꽃 필 무렵에는 완전히 완치 되도록...” “합격 기원, 고베여학원 중등부” 이는 2018년 12월 24일, 교토 히라노신사(平野神社)서 만난 에마(繪馬) 내용이다. 에마란 일본의 절이나 신사(神社)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손바닥만 한 작은 작은 나무판에 소원을 적어 걸어 두는 것을 말한다. 에마는 개인의 소원을 적어 거는 소형 에마와 여러 사람(단체)의 소원을 거는 대형 에마가 있다. 쉽게 말하면 ‘소원을 적는 판’이라고 해야 할까? 이 소원판은 해당 신사나 절의 종무소 등에서 파는데 우리 돈으로 5000원(500엔) 정도한다. 에마(繪馬)에 적는 내용은 대개 결혼성사, 합격기원, 질병치료, 주택구입, 이사, 안산(安産), 취직 등등으로 보통 사람들의 희망사항이 적혀 있다. 《속일본기(続日本紀)》에 보면 절이나 신사에 살아있는 말을 바쳤다는 기록이 있다. 이를 신메(神馬, しんめ)라고 하는데 말은 비싸기 때문에 보통사람들은 바치기 어려웠다. 한편 절이나 신사에서도 말을 시주로 받는 경우에는 관리가 어려워 말 대신에 나무나 종이 또는 흙으로 빚은 말 형상의 시주를 대신하게 되었다. 지금과 같은 에마(繪馬)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연말에 지인으로부터 《임정로드 4000㎞》(김종훈ㆍ김혜주ㆍ정교진ㆍ최한솔 지음, 필로소픽) 책 한권을 선물 받았다. 부제로는 ‘대한민국 100년, 상하이에서 충칭까지 임시정부 투어 가이드’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이 책은 일제강점기 이웃 중국에서 ‘광복’을 찾기까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피나는 노정을 따라나선 답사기록이다. 이 책을 받아들자 문득, 9년 전 ‘우리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여기서 우리들이란 ‘대한민국임시정부사적지 답사단’을 뜻한다. 그때 우리들은 대한민국임시정부 27년의 노정을 상징하는 27명의 답사단을 꾸려 《임정로드 4000㎞》를 샅샅이 밟아본 적이 있다. 그리고 돌아와 《김구 따라잡기》(대한민국임시정부사적지 답사단 지음, 옹기장이, 2012)라는 책을 냈다. 그 책의 머리말을 쓴 사람은 필자였다. 중국의 현지답사 책, 9년의 시차를 두고 손에 받아 든 《임정로드 4000㎞》 첫 장을 펴면서 필자는 많은 감회에 젖어들었다. 우리가 9년 전에 임정로드(임시정부 피난 길)를 떠나기로 했던 것은 국치 100년을 잊지 않기 위해서였다. 씻을 수 없는 치욕의 1910년은 한일강제병합의 해였고 2010년은 국치(國恥) 100년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의 성(城)은 높고 크다. 그리고 우뚝 서있어 한 참을 올려다보아야 한다. 일본이나 독일처럼 성(城) 문화를 갖고 있는 나라를 여행하다보면 자주 만나게 되는 것이 우뚝 솟은 성인데 그곳은 대개 그 지역 관광의 중심이다. 일본의 대표적인 성으로 꼽히는 오사카성(大坂城)도 오사카를 찾는 이들에게는 필수 관광코스이다. 그렇다면 대관절 일본에는 몇 개의 성이 있는 것일까? 《일본명성도감(日本名城圖鑑)》에 따르면 일본에는 25,000개의 성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숫자 속에는 천수각(天守閣)을 갖춘 근사한 성도 있고 흔적만 남은 곳도 있어 성의 숫자는 큰 의미가 없다. 다만 현실적으로 성다운 성이라 하면 ‘일본100명성(日本100名城)’에 들어 있는 성을 들 수 있다. 현존하는 성 가운데 천수각이 잘 보존되어 있는 성은 효고현의 히메지성, 나가노의 마츠모토성, 시가현의 히코네성 등 12개 성으로 이들 성은 복원이나 수리하지 않은 상태로 천수각이 잘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풍신수길이 축조한 오사카성은 태평양전쟁 때 미군의 오사카대공습으로 초토화 되었다. 오사카성은 1945년 8월 14일 1톤짜리 폭탄이 천수각을 쑥밭으로 만들어 버린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헤이안쿄(平安京, 교토를 말함)는 도래인(渡來人, 주로 고대 한국인을 이름)들의 힘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본문화의 기초는 모두 이들에 의해 구축된 것이다. 그럼에도 일본에서는 메이지(明治) 이후 조선침략을 계기로 전후(戰後, 1945년 이후) 조선을 경시하는 경향이 짙다. 도래문화가 화려하게 꽃핀 헤이안시대(794-1192)는 백제출신 어머니를 둔 간무왕(桓武天皇) 때부터 비롯되었다. 간무왕의 어머니인 백제여인 고야신립(다카노노 니이가사, 高野新笠)는 자신이 맛보지 않았던 민족 차별(오늘날)의 실상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이는 일본의 저명한 수필가 오카베 이츠코(岡部 伊都子, 1923–2008) 씨가 《여인의 경(女人の京), 일본도쿄 후지와라서점 출판, 2005》에서 한 말이다. 그는 또 말한다. “간무왕(桓武天皇)의 어머니 고야신립(高野新笠)은 백제 왕족으로 제49대 고닌왕(光仁天皇)의 황후가 되었다. 틀림없이 희고 고운 조선의 피부를 가진 꽤 아름다운 미녀였을 것이다.” 생전에 수필집을 비롯한 책, 90권을 쓴 오카베 이츠코 씨의 말이 아니더라도 백제여인 고야신립의 일본 쪽 기록은 차고 넘친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1월 유관순, 2월 김마리아, 3월 손병희, 4월 안창호, 5월 김규식ㆍ김순애, 6월 한용운, 7월 이동휘, 8월 김구, 9월 지청천, 10월 안중근, 11월 박은식, 12월 윤봉길 등 13명 뽑아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내년 3·1만세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2019년 ‘이달의 독립운동가’ 13인을 선정ㆍ발표했다. 2019년 이달의 독립운동가는 1월 유관순 열사, 3월 손병희 선생, 4월 안창호 선생, 5월 가정의 달은 부부독립운동가인 김규식ㆍ김순애 선생을 포함해 모두 13명의 독립운동가가 뽑혔다. 국가보훈처는 “이번에 뽑힌 인물은 국민이 참여한 온라인 인지도 조사결과를 비롯해 포상 훈격, 월별 특성(탄신, 순국, 의거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근현대사 전공학자 등으로 구성된 「이달의 독립운동가 선정위원회」에서 뽑았다.”라고 밝혔다. 특히, 내년 31만세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지난 1992년부터 뽑혔던 314명 가운데 31만세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공로가 큰 인물을 재선정했다고 보훈처는 설명했다. 2019년 이달의 독립운동가의 13인의 주요 공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리문화신문= 나라 이윤옥 기자] “구다라지(백제사, 百済寺)는 《일본서기》 죠메이왕(舒明天皇) 11년(639) 7월조에 이르길 ‘올해 대궁 및 대사를 조영하였다(今年大宮及び大寺を造作らしむ)'는 기록에서 보듯 백제대궁 및 백제대사의 전승지입니다. 백제대사의 구중탑은 고베신사(子部神社)의 나무를 베어 지었기에 신이 노해 탑과 금당(대웅전)이 불탔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 뒤 이 절은 아스카(飛鳥)의 대관대사(大官大寺)로 이름이 바뀌었고 이후 대안사(大安寺)로 바뀌었습니다. 구다라지가 황폐해진 뒤 홍인연간(弘仁年間, 810-824)에 홍법대사(弘法大師)가 이곳에 머물면서 3중탑을 건립하고 불상을 안치하였으며 범자못(梵字池)을 팠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나라현 기타가츠라기군 고료쵸(奈良県北葛城郡広陵町)에 있는 구다라지(百濟寺)의 연기(緣起)에 나와 있는 절의 유래 가운데 일부이다. 절 경내에 있는 3중탑은 가마쿠라(1185-1333) 시대 중기에 건립된 목탑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국가중요문화재이다. 어제(25일), 나라현에 있는 구다라지(百濟寺)를 가기 위해 오사카역을 출발하여 열차를 네번 갈아타고 2시간 만에 도착한 마츠자카(松塚) 역은 역무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