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섶길: 풀과 섶이 우거진 길 보기월) 요즘도 푸섶길을 좋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곧 빗방울이 떨어질 것 하늘을 보고 들어왔는데 밖을 보니 비가 내리는가 봅니다. 곳에 따라 많은 비가 내리는 곳도 있을 거라고 하네요. 살면서 보거나 듣지 못한 말을 만났을 때 아주 반가워하는 분을 만나곤 합니다. 앞서 알려드린 '남새'를 보시고 어렸을 때가 생각나 좋았다는 분도 계셨습니다. 오늘 알려드리는 말을 보시고 반가워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푸'는 '풀'이라는 것을 아실 것이고 '섶'은 '잎나무, 풋나무, 물거리 따위의 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랍니다. "섶을 지고 불로 들어가려 한다"는 옛말에 들어 있는 말이죠. 이처럼 풀과 나무가 우거진 길을 '푸섶길'이라고 합니다. '푸섶길'이 무서워서 가고 싶지 않은 분도 계실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요즘도 푸섶길을 좋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푸나무를 스치며 지나갈 때 나는 푸나무 내음이 좋다며 말이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성귀: 사람이 가꾼 남새와 저절로 난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보기월) 몸에 좋은 푸성귀를 많이 먹어야겠습니다. 제가 토박이말을 알려드리다 보니 졸가리가 서지 않는 말을 갈무리해 주면 좋겠다고 하시더라구요. 풀과 푸새, 나물, 남새, 푸성귀를 좀 가려 달라고 말이죠. '풀'과 '푸새'는 같은 말입니다. '푸새'의 '새'는 '억새'의 '새'와 같은 걸로 보시면 됩니다. 뫼와 들에 저절로 난 것이 '풀', '푸새'라면 '풀', '푸새' 가운데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것은 '나물'이라고 합니다. '나물'에는 뫼와 들에서 저절로 난 것도 있지만 사람이 심어 가꾼 '남새'도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남새와 나물을 싸잡아 '푸성귀'라고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야채'는 '나물'로 '채소'는 '남새'로 갈음해 쓰면 좋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새: 밭에 심어 기르는 무, 배추, 오이 따위를 이르는 말 보기월)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이라고 합니다. 배곳 텃밭에 심은 씨앗이 제대로 싹이 트지 않아서 새로 모를 사서 심기로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밭에 남새를 심어 가꾸는 것을 즐기곤 합니다. 밭에 심어 기르는 무, 배추, 오이 따위를 이르는 말이 '남새'입니다. 그리고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이라고 합니다. 앞서 알게 된 '푸새'가 저절로 난 것이고 '남새'는 사람이 일부러 심어 기르는 것이 다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남새를 가꾸는 사람들에게 푸새를 뽑는 일은 작은 일이 아니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푸새 푸새: 뫼(산)와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보기월) '푸새'는 '잡초'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비가 내린 뒤라 그런지 오늘 아침 하늘도 숨씨(공기)가 참 맑습니다. 깊게 숨을 들이 쉬었더니 힘이 나는 것 같았습니다. 빗물을 먹어서 그런지 뫼와 들에 난 푸새들도 훌쩍 자라 보였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그렇게 시나브로 자라고 있겠지요? '푸새'는 '잡초(雜草)'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흔히 '풀'이라고도 하지만 '푸새'라는 말도 알맞게 써 보시면 말맛과 글맛을 새롭게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른먹이: 마르지 않아서 푸른 채로 있는 싱싱한 먹이 보기월) 푸나무가 잘 자라 짐승들도 푸른먹이를 많이 먹을 수 있겠지요? 새벽부터 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지난 어린이날이자 부처님오신날이 들여름(입하)이었으니 이 비도 여름을 재촉하는 비일 것입니다. 날씨를 알려 주는 분이 모레부터 더울 거라는 말을 해 주지 않았어도 그런 느낌이 왔습니다. 온 나라 곳곳에 안 오는 곳이 없이 많이 내릴 거라고 하더라구요. 곳에 따라 메말랐던 땅을 비가 넉넉하게 적셔 줄 것입니다. 푸나무가 잘 자라 짐승들도 푸른먹이를 많이 먹을 수 있겠지요? 텃밭에 심어 놓은 푸성귀도 무럭무럭 잘 자랄 거라 믿습니다. '푸른먹이'를 어려운 말로는 '청사료(靑飼料)'라고 한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푸둥지 푸둥지: 아직 깃이 나지 아니한 어린 새의 날갯죽지 보기월) 푸둥지로 파닥거리는 어린 새가 참 귀여웠습니다. 여러 날을 이어서 잘 쉬셨는지요? 짙은 안개가 걷힌 푸나무 잎이 비가 내린 듯 이슬로 함초롬하게 젖어있었습니다. 햇빛을 받아 더욱 빛이 나는 이슬 방울이 구슬처럼 예쁘게 보였지요. 아침에 마실을 나갔다가 새 둥지 하나를 보았습니다. 푸둥지로 파닥거리는 어린 새가 참 귀여웠습니다. 어미새는 먹이를 찾아 둥지를 떠난 듯하였습니다. 사람들 눈에 많이 띄지 않는 곳이라서 마음이 놓였습니다. 다가온 어버이날 하늘 나라에 계신 어머니 생각이 절로 났습니다. 튼튼하게 잘 자라기를 빌어 주고 제 갈 길을 갔습니다. '푸둥지'가 들어간 옛말에 "푸둥지도 안 난 것이 날려고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쉽고 작은 일도 해낼 수 없으면서 어렵고 큰 일을 하려고 나섬을 이르는 말'이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나무: 풀과 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보기월) 비가 내려서 푸나무가 더 무럭무럭 자랄 것입니다. 하늘이 유난히 더 맑아 보이는 아침입니다. 숨을 쉬기도 한결 나은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빗방울인지 이슬인지 모를 듯한 물방울을 얹고 있는 풀잎, 꽃잎도 짜장 밝아 보였습니다. 어제 많이 내릴 것 같지 않았던 비가 제법 많이 내렸습니다. 메말라 있던 온 나라에 단비가 되었을 거라 믿습니다. 비가 내려서 푸나무가 더 무럭무럭 자랄 것입니다. 아시다시피 '푸나무'는 '푸+나무'의 짜임으로 된 말이고 '푸'는 '풀'에서 'ㄹ'이 떨어진 말로 '초목(草木)'을 갈음해 쓸 수 있는 말입니다. '푸나무'가 들어간 말로 '푸나무서리'가 있는데 '풀과 나무가 많이 자라서 (무성하게) 우거진 사이'를 뜻하는 말이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꽃잠 꽃잠: 깊이 든 잠≒귀잠, 속잠 보기월)'꽃잠'은 '숙면'을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여러분 꽃잠 주무셨는지요? 저는 요즘 꽃잠을 자는 것 같습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개운한 느낌이 드는 것을 보면 말이지요.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 모두 날마다 꽃잠을 주무시기를 바라고 빕니다. '꽂잠'은 깊이 든 잠을 뜻하는 말로 '귀잠', '속잠'과 비슷한 말입니다. 그리고 '꽃잠'은 '숙면(熟眠)'을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또 '꽃잠'은 '결혼한 신랑 신부가 처음으로 함께 자는 잠'을 가리킬 때도 쓴다는 것을 덤으로 알려드립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촉석회(회장 강해중)와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가 운힘다짐풀이(협약식)를 했다. 더위달 여드레(7월 8일) 6시 더하우스 갑을에서 촉석회 강해중 회장과 토박이말바라기 강병환 으뜸빛이 운힘다짐글(협약서)에 이름을 쓴 뒤 서로 주고받았다. 두 모임이 앞으로 토박이말 갈배움과 놀배움을 가운데 두고 토박이말 살리기에 뜻을 같이하는 마음으로 여러 가지 도움을 주고받기로 글다짐을 한 뒤 손을 맞잡았다. 이 자리에서 강해중 회장은 해마다 회원들과 정기적으로 열고 있는 작품전을 올해는 뭔가 좀 새롭게 해 봤으면 하는 의견들이 있었는데 ‘토박이말’과 함께하는 첫 작품전이 벌써 기다려진다고 했다. 이에 강병환 으뜸빛은 그림을 가르치시는 분들의 모임인 촉석회 모람님들의 아름다운 작품들과 토박이말이 잘 어우러져 멋진 전시회가 될 수 있도록 함께 힘과 슬기를 모으자고 했다. 두 모임의 운힘다짐으로 앞으로 토박이말 갈배움과 놀배움을 위해 서로 돕고 토박이말을 살리는 일에 함께하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토박이말바라기는 촉석회 작품 전시회를 토박이말과 이어지게 하도록 힘껏 도울 것이고 촉석회 회원들은 토박이말 놀배움 풀그림(프로그램)을 새롭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는 무지개달 열사흘(4월 13일)은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에서 만든 ‘토박이말날’이 다섯 돌을 맞는 날이다. ‘토박이말날’은 우리 겨레의 삶과 얼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토박이말이 갈수록 설 자리를 잃어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서 온 나라 사람들이 함께 토박이말을 살려 일으키는 일에 힘과 슬기를 모으자는 뜻으로 2017년에 ‘토박이말바라기’에서 처음 만들었다. 4월 13일을 토박이말날로 삼은 것은 주시경 선생의 《말의 소리》라는 책을 펴낸 날과 이어진다. 《말의 소리》는 우리말의 소리를 짜임새 있게 밝힌 책이면서 덧붙임(부록)을 빼고는 모두 토박이말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한글로 되어 있어서 ‘토박이말을 한글로 적기’를 바람직한 말글살이라고 여기는 ‘토박이말바라기’의 뜻과 같아서 책을 펴낸 날을 토박이말날로 삼았다. ‘토박이말바라기’는 올해 다섯 돌 토박이말날을 맞아 네 가지 잔치를 마련했으니 마음이 있는 분들이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잔치 1> 토박이말 한뜰 여는 잔치(토박이말 공원 개장 행사) 토박이말 살리기 운동을 처음으로 비롯한 진주에 그 일을 기리는 곳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제안을 받은 진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