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람선이 지나가는 한강변 ▲ 노을진 여의도의 마천루 [그린경제=최우성 기자]노을진 한강변의 아름다운 모습들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ㅗㅗㅗㅗㅗ
▲ 양떼와 뭉개구름 ▲ 한가로이 풀을 뜯는 양떼들 ▲ 대관령 양떼목장 ▲ 양떼를 찾은 사람들 [그린경제=최우성 기자]대관령 양떼목장의 가을풍경. 고원의 양떼목장은 도시에 살고 있는 많은 사람들의 체험장겸 휴식처로이용되고 있습니다. 강원도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에 있습니다.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파란 창공을 날으는 매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첫 비행이 죽음이 될 수 있으니 어린 송골매는 절벽의 꽃을 따는 것으로 비행 연습을 한다 근육은 날자마자 고독으로 옴므라든다 날개 밑에 부풀어 오르는 하늘과 전율 사이 꽃이 거기 있어서 (박형준의 시 춤에서)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인라인 스케이트를 즐기는 남자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빨간 꽃기린 ▲ 노란 꽃기린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일산 호수공원 선인장 전시관에는 예쁜 꽃기린 꽃이많다. 가시달린 선인장이지만 녹색 잎도 앙증맞고빨강, 노랑 꽃도 어여쁘다.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더 이상 갈 수 없는 경계선 ▲ 자유의 다리 [그린경제=최우성 기자]서울에서 자유로로 1시간이면 이르는 곳. 하지만가다가더 이상은 갈 수없는 우리의 땅. 많은 사람들이 아쉬움을 염원에 담아 매달아 놓았습니다. 더 이상 갈 수 없는 자유의 다리 앞에서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임진각에 전시된 철마 [그린경제=최우성 기자]멈춘지 어언 63년 분단된 한국의 상징으로 남아 임진각을 찾는온 국민의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저 철마가 다시달릴 수는 없겠지만, 속히 통일되어 저 철마대신고속열차를 타고 대륙횡단도 할 날이 언젠가 올날을 손꼽아 기다려 봅니다. 저 유모차에 탄 아이가 어른이 되기 전에는 통일이 될까요?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한울광장 ▲ 등나무 그늘아래 ▲ 호수주변 산책 ▲ 반려동물과 함께 ▲ 산책길 ▲ 메타세콰이어길 ▲ 애수교에서 [그린경제=최우성 기자] 수도권 주민들의 휴식처 고양시 일산호수공원은 휴일이면 가족나들이 명소로 많은 사람들이 즐겨찾는 곳이다. ** 최우성 (건축사.문화재수리기술자. 한겨레건축사사무소 대표) 문화재수리기술사로 한국인의 삶을 담아온 전통건축의 소중한 가치를 찾아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을 하고 있다. 파주 화석정, 파산서원 등과 영주 소수서원의 정밀실측설계, 불국사 일주문, 안동하회마을, 제주성읍마을, 영주 무섬마을 등 문화재보수설계 일을 맡아했다. 포천시민의 종 종각설계, 용마산 고구려정, 도피안사 대웅전, 봉선사 종각 등을 설계하였다. 현재 사진활동은 한국불교사진협회 회원, 해리티지채널사진기자, 포토클럽 회원으로 활동 중
▲ 강릉 굴산사지 당간지주 원경 ▲ 당간지주의 규모비교 ▲ 사람의 크기와 비교해 볼때사람의 키보다 3배이상임. ▲ 다듬은 흔적이 별로 없어 더욱 힘차게 보이는 굴산사 당간지주 [그린경제=최우성 기자]굴산사지 당간지주 보물제86호 당간지주(幢竿支柱)는 큰 절의 들머리에 세워져 법회나 재일 등 절의 행사가 있을 때 그 행사가 무슨행사인지를 알려주는 당을당간의 꼭대기에걸었던 지주석이다. 당(幢)은 그날 행사성격을 말해주는 깃발로 먼 발치에서도 그 당의 깃발을 보면 오늘 무슨 일이 있을 것인지 주변 사람들은 다 알 수있도록 하였다. 굴산사는 없어졌지만 거대한 당간지주로 볼 때 그 당간의 높이는 적어도 40m 이상이었을 것으로 보인다.거대한 당간지주로만 보아도 신라말 굴산사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지금은 주변이 모두 논이 되어 벼농사를 짓고 있는 저 들판은 굴산사의 경내였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신라말기 선종의 번창으로 이루어진 구산선문의 하나인 굴산사의 옛 모습이 궁금하기만 하다. 굴산사는 강릉을 중심으로 한 지역의 구심체로서 그 규모는 당시강릉 호족의 중심에 있었던 강릉김씨의 위상을 나타내 보인다고도 볼 수있다. 그 중심인물은 굴산사를 개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