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나주박물관(관장 은화수)과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는 오는 10월 8일(화)부터 2020년 1월 5일(일)까지 특별전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마한사람들, 큰 무덤에 함께 잠들다>를 국립나주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연다.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은 1,500년 전 마한문화를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고분으로, 용머리가 장식된 금동신발이 출토되어 널리 알려진 무덤이다. 처음으로 이 지역에 소개되는 무령왕릉 연화문 은제탁잔과 식리총 금동신발 이번 특별전에서는 ‘나주 복암리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모든 유물들을 한자리에 모아 그 당시의 문화사적 흐름을 소개한다. 정촌고분은 영산강에서 가장 큰 돌방무덤을 비롯하여 대형독널ㆍ돌덧널ㆍ나무널 등 모두 14기의 무덤이 하나의 고분 안에 잠들어 있는 영산강유역 마한무덤의 특징인 ‘아파트식 고분’이다. 이 무덤들에서 출토된 200여점의 문화재들을 선보인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백제문화의 정수인 무령왕릉 은제탁잔과 고창 봉덕리 고분 금동신발, 신라의 금동신발 가운데 가장 화려한 ‘식리총 금동신발’이 출품된다. 5년 전 발굴 당시 상황을 재현한 영산강유역 최대크기의 돌방무덤 ‘용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조선후기 우국지사 황현이 사용하였던 「매천 황현 문방구류」, 「매천 황현 생활유물」 등 2건을 문화재로 등록하고, 「목포 경동성당」, 「전북대학교 구 본관」, 「전북대학교 구 문리과대학」, 「전북대학교 구 중앙도서관」등 4건을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된 문화재는 항일독립 문화유산인 「매천 황현 문방구류」, 「매천 황현 생활유물」 등 2건이다. 등록문화재 제761-1호 「매천 황현 문방구류」는 1910년 일제에 의한 국권피탈에 항거하여 순절(殉節)한 우국지사 황현(黃玹, 1855-1910)이 사용한 유물이다. 벼루(3점)에는 그가 직접 지은 벼루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벼루집ㆍ필통ㆍ인장 등 모두 19점에 이르는 다양한 문방구류가 원형을 잘 유지하며 보존되어 있다. 또한, 지구의는 황현이 세계정세에도 깊은 관심을 가진 근대 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해당 유물들은 역사가이자 시인인 황현을 비롯한 당대 선비들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역사적ㆍ학술적 가치가 크다. 등록문화재 제761-2호 「매천 황현 생활유물」은 황현이 일상에서 사용한 유물로써 호패, 합죽선, 향로 등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와 서울특별시(시장 박원순)가 공동 주최하고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이사장 정성숙)과 한국민속예술축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하는 ‘제6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와 ‘제26회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가 10월 2일(수)부터 4일(금)까지 서울 송파나루공원 서울놀이마당에서 열린다. 1958년 서울 대한민국 수립 10주년 기념행사로 출발한 ‘한국민속예술축제’는 전국에 전래되어 온 민속예술을 발굴하며 우리 민족 고유의 문화 형질을 지키는데 앞장서 왔다. 1994년부터는 대한민국의 미래인 청소년들에게 민속예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전승을 위해 ‘전국청소년민속예술제’를 병행하며 나라 안 가장 큰 민속축제로 성장했다. 그 결과 700여 종목의 민속예술이 발굴, 재현되었으며 그 중 고성오광대놀이ㆍ남사당풍물놀이 등 37종목은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동래학춤ㆍ멸치후리는 노래 등 101종목은 시ㆍ도무형문화재로, 줄다리기ㆍ해녀놀이 등 12종목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며 명실공히 무형문화재 산실 역할을 담당했다. 올해는 특히 60주년을 맞아 1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하회별신굿탈놀이’를 비롯해 역대 국무총리상 이상을 수상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장수 동촌리 고분군(東村里 古墳群)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52호로 지정하고, 전라북도 장수군(군수 장영수)과 함께 사적지정 기념행사를 한다. 「장수 동촌리 고분군」은 장수군 장수읍 마봉산(해발 723.9m) 산줄기에 지름 20~30m 안팎의 중대형 고총을 포함한 83기가 분포한 고분군이다. 다양한 유구와 유물의 특성을 근거로 5세기 초엽부터 6세기 초엽에 걸쳐 형성된 가야세력의 수장층 고분군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2015년 발굴조사에서는 가야계 고분 최초로 징(釘)이 박힌 ‘편자(蹄鐵)’가 말뼈와 함께 출토되었고, 2017년 조사에서는 고령, 합천, 함안 등의 지역 수장층 무덤에서만 출토된 것과 같은 재갈이 출토된 바 있다. 그밖에 고분들에서 둥근고리자루칼, 은제귀걸이, 휴대용 화살통 등 그동안 대가야와 소가야계 수장층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도 확인되어 동촌리 고분군이 수장층의 무덤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 편자(蹄鐵): 말발굽을 보호하기 위해 덧대어 붙이는 쇳조각 * 수장층: 윗자리에 위치해 집단이나 단체를 통솔하는 사람들 1호분의 평면은 타원형으로, 주변에 호석(護石)을 두르지 않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각각의 보물로 지정되어 있는 경상북도 예천군의 보물 제145호 ‘예천 용문사 대장전(醴泉 龍門寺 大藏殿)과 보물 제684호 윤장대(輪藏臺)’를 통합해 한 건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로 승격 예고하였다. 문화재위원회(건축ㆍ동산분과)는 용문사 대장전(건축물)과 윤장대(동산)의 건립시기, 의미, 특징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때 두 보물이 각각이 아닌 일체성을 갖는 문화재이고,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 한 건의 통합한 국보로 승격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였다. 예천 용문사는 신라 경문왕대 두운선사(杜雲禪師)가 당나라에서 돌아와 초암을 짓고 정진한데서부터 비롯되었으며, 후삼국 쟁탈기에 왕건과 관계를 맺으며 사찰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고려 명종 3년(1173년) 국난(김보당의 난) 극복을 위해 조응대선사(祖膺大禪師)가 발원하고 조성한 것으로, 고대 건축물로는 매우 드물게 발원자와 지은 때, 지은 목적이 분명하게(重修龍門寺記/1185년) 드러나 있다. 대장전과 윤장대는 초창 이래 여러 차례 수리된 것으로 확인되는데, 최근 동(오른쪽) 윤장대에서 확인된 천계오년(天啓五年,1625)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은 강원도 정선군에 있는「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旌善 鳳陽里 쥐라기礫岩)」을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556호로 지정하였다. 「정선 봉양리 쥐라기역암」은 중생대 쥐라기 시대에 만들어진 바위다. 한반도의 옛 환경을 이해하는 데에도 매우 유용한 자료이며, 역암 퇴적층의 단면에서는 퇴적환경, 지질, 기후 등의 퇴적학적 특성을 입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국내 역암들을 대표할만한 자료이자 표본으로서 값어치가 크다. * 쥐라기: 지질시대에서 중생대를 3기로 나눌 때 두 번째시기로 약 2억 년 전부터 약 1억 4,500만 년 전까지의 시기 * 역암(礫岩): 운반작용을 통해 퇴적된 암석 중에 크기 2mm 이상인 입자가 많은 암석 정선 봉양리 쥐라기 역암은 자갈을 이루는 바위의 종류, 자갈의 모양과 크기, 고르기 등이 다양하게 관찰되며, 같은 시기에 생성된 우리나라의 역암 중 단연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또한, 흐르는 물과의 마찰 때문에 모양들이 매우 아름답고 도로변에 가까이 분포해 누구나 쉽게 관찰할 수 있어 역암의 야외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국내의 대표적인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선 후기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화천군(군수 최문순)과 (재)강원고고문화연구원(원장 지현병)이 시행한 화천 추정 계성리사지 유적 발굴조사에서 국내 처음 육각형 모양의 건물터가 확인되어 10월 1일 오후 2시에 현장이 공개된다. * 발굴현장: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595번지 일원 추정 계성리절터는 고려 전기에서 조선 후기까지 운영된 산지가람의 절로, 신라 말 고려 초의 일반적인 평지가람 배치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곳이다. 이번 발굴조사는 보물 제496호 화천 계성리 석등 정비사업의 하나로 시행되었으며, 중심사역으로 확인된 구역에서는 정밀발굴조사가, 외곽지역에는 시굴조사가 있었다. 조사결과, 중심사역은 남북축선을 기준으로 중문터, 석탑터, 동ㆍ서 석등터, 금당 추정 육각형 건물터가 있는 1탑 1금당의 가람배치가 뚜렷했다. * 가람배치: 사찰 건물의 배치 * 축선: 건물이나 건축 배치 등 구성의 중심선 * 금당(金堂): 절의 본당으로 본존불을 모신 건물 특히, 국내 절터에서 처음 확인된 평면 육각형의 건물터는 이번 발굴조사에서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되고 있다. 고려 전기에 조성된 건물터는 가람배치상으로 볼 때 본존불을 모신 금당으로 추정되는데, 육각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10월 공개행사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의 진행으로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국가무형문화재의 대중화와 전승 활성화를 위해 해마다 종목별로 열고 있다. 오는 10월에는「2019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합동 공개행사」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모두 37종목 41건의 공개행사가 예정되어 있어 여느 때보다 다채롭고 풍성한 행사로 가득하다. 먼저, 경상도 지역에서는 ▲ 「제24호 안동차전놀이」(10.2./경상북도 안동시 안동탈춤공원), ▲ 「제45호 대금산조」(보유자 김동표/10.5./부산광역시 동래구 동래민속예술관), ▲ 「제69호 하회별신굿탈놀이」(10.19./경상북도 안동시 하회별신굿탈놀이전수교육관)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안동차전놀이」는 정월 대보름을 전후로 안동지방에서 행해지는 민속놀이로 안동 지방 특유의 상무 정신과 농경민의 풍년 기원을 바탕으로 한 농경의례놀이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님에게 마을의 평화와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굿과 더불어 행해지는 안동 하회 마을 전통의 가면극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나명하)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은 「경복궁 자경전 다례체험」과 창경궁 창작극 「복사꽃, 생각하니 슬프다」 행사를 진행한다. 경복궁 자경전 다례체험은 10월 9일(수)부터 20일(일)까지(하루 2회 13:00·14:30, 월ㆍ화 휴무) 경복궁 자경전에서 운영되며, 창경궁 창작극 공연은 10월 17(목)부터 27(일)까지(18:30~19:20, 월요일 휴무) 창경궁 일원에서 열린다. 궁(宮)에서 즐기는 특별한 차(茶) 한잔의 여유 2019년 ‘경복궁 자경전 다례체험’은 평소 관람객 입장이 허가되지 않는 자경전 대청마루에서 한국의 전통다례 예절과 차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배울 수 있는 행사로, 수년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1부(낮 1시)에서는 다례체험 사전 신청자(20명)를 대상으로 다례에 대한 이론과 기본예절을 배우고, 차를 시음하면서 한국의 차 문화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진다. 2부(낮 2시 30분)는 사전 신청자(10명)뿐 아니라 현장 참가자(10명)를 선착순으로 신청 받을 예정으로, 고궁 관람객들을 위한 참여의 폭을 넓혔다. 영어통역사도 함께해, 외국인 참가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2015년부터 전국에 전하고 있는 조선 시대 개인일기 현황을 조사하면서, 올해는 그 가운데서 이제까지 소개되지 않았던 8편을 선별하여 《조선시대 개인일기 국역총서》를 펴냈다. 조선 시대를 이해할 수 있는 기록으로는 조선왕조실록 등 공식기록 이외에 문집, 편지, 일기 등의 민간기록이 있다. 특히, 일기는 독자를 염두에 두지 않았기에 솔직하고 생생한 현장감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개인일기는 대다수가 행서와 초서로 쓰인 필사본이기 때문에 일반인이 읽기가 어렵다. * 행서(行書): 약간 흘려 쓴 한자 서체 * 초서(草書): 중국 한나라 초기부터 쓰인 서체로 곡선 위주의 흘림체인 서체 이번에 국립문화재연구소가 펴낸 8편의 조선시대 개인일기는 초서 또는 행초서로 쓰여 읽기가 어려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던 일기들을 선별하여 사진, 탈초(脫草), 국역(國譯), 해제(解題)를 붙여놓았기 때문에 일반 국민부터 전문 연구자까지 필요에 따라 쉽게 읽을 수 있게 한 것이 특징이다. * 탈초(脫草): 흘려 쓴 글씨를 읽기 쉽게 바꿈 * 해제(解題): 책의 저자‧내용‧체재‧출판 연월일 등을 설명 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