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고려 말 명나라로부터 수입한 대통력을 세종 때 우리의 지리에 맞게 개편하여 ‘칠정산(七政算)’이라 했고 정조 때 다시 ‘천세력(千歲曆)’으로 개편, 그리고 조선 말 고종 때 ‘만세력(萬歲曆)’으로 다시 보완하였다. 이들 사이에도 여러 역서가 있었으나 중요한 것만 들었다. 이 역서들은 음력에 절기의 역법을 더한 소위, 태양태음력으로 간지와 숫자를 병기하였다. 이 같은 방식으로 한 해를 한 쪽에 담을 수도 있었으니 한 권에 백 년분의 시간도 기술할 수 있었다. 만세력 읽는 법 위 만세력의 오른쪽 그림은 순조 27년 책력 가운데 필요한 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① 큰 글씨로 순조 27년을 ‘정해년’이라 하였다. 순조는 1800년 즉위, 1801년이 원년이니 순조 27년은 1827년이다. ② ‘正月大’란 음력 정월이 큰 달이라 30일까지 있다는 것이고 ③그 밑에 ‘丁/酉亥丑’은 1월 1일은 정축일(오른쪽부터 읽음), 11일은 정해일, 21일은 정유일이라는 것이다. ④ 이어서 확인할 사항은 절기다. ‘十一日 丁亥 丑正三刻 立春’이라 표기되어 있는데 1월 11일 정해일 *‘丑正三刻’에 입춘 절입이 있다는 말이다. 절기의 역법으로 새해는 입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동양사회가 고대 이래로 사용해 온 태음력은 농사력으로 적합지 않았기에 일찍이 황허강 유역의 농민집단이 태양력의 일종인 “절기의 역법”을 그간 사용해 온 음력에 추가해 사용하게 된다. 이 역법은 일 년, 365.24일을 춘분과 추분을 분기점으로 24절(節:마디)로 나누되 절기 서이 평균 일수가 15,22일임을 참고하여 절의 실제 일수는 15일이나 16일로 하였다. 각 절에는 그 시기에 해야 하는 농사일을 연상시키는 이름을 붙였으며 한 절에는 같은 기(氣)가 지속된다는 뜻으로 절기라고 불렀다. 절기의 역법은 태양력이라 역법에 표시된 시간으로 계절을 정확히 가름할 수 있어서 농사력으로 적합하였다. 절기는 일정한 기간을 말하는 것이니 시작하는 시점이 있을 것이다. 이 시점을 절입시점 또는 절입이라고 한다. 어느 절입이든 그때의 태양을 기준으로 한 지구의 천문상 위치는 항상 같다. 그러나 지구 표면에서 볼 때 해 뜨는 시각은 그 경도에 따라 달라진다. 곧 태양계의 천문 상 지구 위치가 같은 때라도 지구 표면상 경도에 따라 절입시점이 달라진다. 또한 한 해가 365.242196일이니 같은 경도라 해도 해마다 대략 6시간가량 늦어진다. 이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역(曆)은 “시간의 흐름 곧 절기의 변화”를 뜻하며 역법(曆法)은 “역을 표시하는 법“이다. 역법에 따라 연월일시와 절기를 기술한 책을 달력, 역서, 책력(冊曆) 또는 calendar라고 한다. 명리학은 태양 지구 등, 천체의 주기적인 움직임이 천기(天氣- 하늘의 에너지)의 실체이고 천기가 시간을 흐르게 하며 우주를 오행의 기운으로 가득 차게 한다고 믿었으며 출생시점의 오행 기운이 개개인의 운명 에너지를 유인한다는 관념을 정립(定立)하게 된다. 이 관념이 오행론의 시초(始礎)다. 그리고 선천에서 받은 운명이 유인하는 대로 성별 성품이나 지능지수(I.Q.)와 같은 에너지를 타고나며 이 에너지가 역서에서 유도해 낸 간지(천간과 지지)들에 상징되어 있으므로 이 간지들을 제대로 감정하면 후천의 길흉을 예측할 수 있다고 보았다. 과거의 역서는 음력이 기본인 달력에 양력의 일종인 ”절기의 역법“을 덧입힌 것이다. 아래에서 우선 역법의 기본인 음력과 양력이 무엇이 다른지 알아보고 다음절에서는 절기의 역법을 살펴보고 이후 위에 언급한 근세 이전에 사용한 역서에 대해 알아보자. 음력과 양력 우리는 달력이란 말을 통상 역법을 서술한 책의 의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