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9 (수)

  • 구름조금동두천 20.8℃
  • 구름많음강릉 20.1℃
  • 구름조금서울 21.2℃
  • 구름조금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1.0℃
  • 구름많음울산 20.3℃
  • 구름많음광주 21.5℃
  • 흐림부산 21.2℃
  • 구름많음고창 22.1℃
  • 흐림제주 19.8℃
  • 구름조금강화 19.9℃
  • 구름조금보은 19.0℃
  • 구름많음금산 21.0℃
  • 구름많음강진군 22.1℃
  • 구름많음경주시 21.2℃
  • 구름많음거제 21.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안승열의 명리학 다가가기

전체기사 보기


맛으로 오행을 구분하기

1편 입문 3장 오행 4절 오행과 맛 1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예로부터 음식을 그 맛에 따라 다섯 기운으로 구별하여 인체에 작용하는 기의 불균형을 해소하며, 건강을 도모하고 질병도 다스리려 했던바, 이는 명리학의 중요한 실용 중 하나였다. 그러나 같은 맛이라도 그 기가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삼과 도라지는 모두 쓰지만 인삼은 화기, 도라지 금기로 분류되는 에너지를 갖고 있다. 또한 한 음식에 여러 가지 맛이 복합되어 있기도 하다. 예컨대, 양파는 화기, 토기에 금기까지 혼합된 식품이다. 이 같은 구별법은 화학적 물리적 분석에 의존하는 현대과학의 측면에서 보면 그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는 방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이 같은 방법의 원론적인 부분만 다루기로 하였다. 지난 절에서 공부한 음양의 맛을 떠올리며 이 들이 다양한 비로 혼합된 오행의 맛을 알아보자. 음양이 1:2인 토기는 오행의 중심에서 그들을 조절하고 중화로 이끌고 있다. 요약 음양이 1:2인 토기는 오행의 중심에서 그들을 조절하고 중화로 이끌고 있다. 상 세 목(木) 3양 8음. 매운맛 3과 씁쓸한 맛 또는 신맛 8의 조화 목기는 처음 상승 발산 확장 소모하는 양기로 초록의 성장과 발육을 주도한다. 목기 맛은 식물

오행을 수량으로 논하다

1편 입문 3장 오행 3절 하도낙서(河圖洛書)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하도낙서가 주역에 근거한다거나 심지어 그 전설들이 실재했던 사실이라는 등 이설(異說)이 분분하나 오늘날 우리가 학습하는 하도낙서는 12세기 후반 남송의 대유학자로 음양오행에도 조예가 깊었던 주희(朱熹)가 그간의 이론과 자신의 궁리를 종합하여 완성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정설이다. 아무튼, 명리학이 하도낙서를 중히 여기는 이유는 오행을 수량(數量)으로 정의하여 많은 학인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으며 오행을 사상적 근거로 하는 명리학을 차원 높은 철학으로 거듭나게 하였다는 데 있다. 주희는 행별 음기와 양기의 양을 수량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고려했을 것이다. ➀ 짝수는 음기로 홀수는 양기로 구별하기 ➁ 오행으로 구별한 삼라만상의 음기ㆍ양기를 추론하여 그 *대푯값을 정하기 ➂ ➁에서 얻은 음기ㆍ양기의 구성비를 1~10의 숫자로 단순화하기 *대푯값- 자료 전체의 성격을 대표하는 값. 현상계는 극단적일 수 있어서 전체 자료 모두를 참고하는 것이 대표성을 띠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는 극단적인 값은 버리고 일정 범위의 중앙값들로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론이지만, 상기 구성비를 ‘수화목금토’의 순으로 나열해 보면 그

오행은 원운동으로 순환한다

1편 명리 입문 3장 오행 2절 오행의 순환력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원운동에 작용하는 물리적인 힘 오행론의 핵심인 오행의 조화로운 원운동 순환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 원운동에 어떤 물리적인 힘이 작용하는지부터 알아보자. 아래 왼쪽 그림과 같은 종이 접시 위를 원운동 하던 구슬이 접시가 잘린 부분을 통과하면서 직선운동 하게 되는데 이 운동에 작용하는 힘을 직각력이라고 하면 원운동에는 구심력, 원심력 그리고 직각력이라는 세 가지 물리적인 힘 작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생력과 극력으로 원운동 하는 오행 오행론은 원운동을 물리학과는 달리 두 가지 힘의 작용으로 서술하였다. 각 행이 자신의 기를 키우며 동시에 바로 이웃한 행을 돕는 생력(生力) 그리고 생력과 같은 방향으로 두 번째 이웃한 행을 끌어당겨서 약화하는 극력(剋力)이 그것이다. 생력은 목이 화를 생하는 목생화와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의 힘이며 극력은 목이 토를 극하는 목극토와 화극금, 토극수, 금극목, 수극화의 힘을 말한다. 위 오른쪽 그림에서 목행에 작용하는 생력과 극력을 분석해 보자. ①목의 생력은 직각력에 다름 아니고 ②목이 토를 끌어 당기는 목극토의 힘은 벡터적으로 분해하면 목행의 원심력과 토행의 구심력이 되며 같은 방식으로

왜 오기론이 아니고 오행론인가

1편 명리 입문 3장 오행 1절 삼라만상의 오행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삼라만상의 씨앗에서 분화된 개개의 존재 속에는 음양이 존재하며 그들의 함량비가 제각각 다양하다. 이들 만상의 에너지를 음양만으로 분별하기보다 좀 더 현실적으로 그들의 구성비도 살펴 다섯 종의 에너지(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로 “생기고 머물다 변하며 사라지는” 세상의 뭇 존재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니 이 같은 이론적 체계를 ‘오행론’이라 하였다. 그런데 왜 오기라 하지 않고 오행이라 했을까. 행(行)에는 “돌아다닌다”라는 뜻이 있어서 기의 순환을 표현하기 적당한 말이다. 행을 순환하는 가상의 공간이라고 생각하고 여기에 힘(목, 화, 토, 금, 수)이 실리고 그 힘이 원운동 순환(거리 이동)하여 에너지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가 된다고 3자의 관계를 정립하자. 자연계의 오행 인간계의 오행 간지의 오행 음기, 양기라는 표현과 별개로 영역이라는 표현을 쓸 때 목행ㆍ화행에 속하는 간지는 양의 영역에 있다하고 토행은 중의 영역, 금행ㆍ수행은 음의 영역에 있다고 말한다. 또한 같은 행에 속하는 천간과 지지를 좀 더 양적인 양간/양지와 음적인 음간/음지로 구별하기도 한다. 천간 지지가 상징하는 바는 고정불변이 아니다. 시

만성 병증은 기의 분리로 실체를 알 수 있다

1편 입문 2장 음양 6절 ‘병증의 음양’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병증에도 음양이 있다. 음과 양이 같은 힘으로 맞물리지 못하고 어느 한 편으로 치우칠 때 병이 난다. *음액(陰液 한의학에서 인체를 순환하는 정, 혈, 진액 등의 체액을 음기로 보고 한꺼번에 음액이라고 부른다. 양의학적으로는 혈액, 림프액, 정액 등에 해당한다. 영양제나 한의가 쓰는 보약은 음액을 보강하는 약이다. 음액이 고갈되면 음액으로 활동하는 양이 허해지고 양의 허한 상태가 지속되면 음액을 생성하지 못하니 결국 음과 양이 모두 허해진다. 따라서 음병이 지나치면 양병이 되고, 양병이 더 세지면 음병이 된다. 그 시작이 음양 어느 것인지를 가려서 부족한 것부터 채우는 것이 음양병 치료의 대원칙이다. 일반 증세 겉으로 보이는 몸의 위쪽 (윗입술~등~항문전)에 나타나는 것은 양증이고 아래쪽 (아랫입술~ 배~항문)에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 두통, 감기, 해소, 각혈 등은 양증이고, *각기, 설사, 탈핵 등은 음증이다. 열이 위로 올라와 가슴이 답답하고 눈이 붉어지고 귀가 울리는 것은 양증이고 열이 부족하여 복통 설사 요통 등 아래쪽에 증세가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 급성 만성 급성병은 대부분 양병이라 밖으로 증세가 드러난다. 오

심리와 체질로 음인과 양인을 구별한다

1편 입문 2장 음양 5절 인체의 음양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심리의 음양 체질의 음양 인체 부위별 음양 인체의 상부, 표면, 오른쪽은 양이고 하부, 내부, 왼쪽은 음이다. 하늘을 향한 등은 양이니 식히고 땅을 향한 배는 음이니 따뜻하게 한다. 등이건 배건 한 점을 기점으로 음기는 올리고 양기는 내려야 한다. 양인은 머리는 차갑게 식히고, 음인은 발은 따뜻하게 해야 전체적으로 순환이 잘 된다. 따뜻한 음식으로 먼저 아래를 채우고 찬 음식을 먹어야 순환이 바르게 된다. 장기의 음양 인체 부위의 음양에 상관없이 명리학은 장기의 음양을 아래와 같이 분류하여 왔다. 장(臟): 음 장기. 인체의 생명활동에 필요한 각종 물질을 저장하며 속이 채워진 공통점이 있다. 간장, 심장, 지라(비장), 이자(췌장), 폐장, 콩팥(신장) 부(腑): 양 장기. 음식물을 수납, 전달한다. 곧 소화와 찌꺼기 배설을 주관하고 속을 비우는 공통점이 있다. 쓸개(담낭), 작은창자(소장), 위, 큰창자(대장), 방광 기항지부(奇恒之府): 형태는 부(腑)와 비슷하고 기능은 기를 저장하되 배출하지 않는 장과 비슷하다. 질병 치료에는 오장육부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뇌, 뼈, 골수, 맥박, 자궁 ※ 다음 연재는 ‘2장

어떤 맛에 음기가 들었을까, 양기가 든 맛은?

1편 입문 2장 음양 4절 음기ㆍ양기의 맛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자] 명리학이 맛을 탐구하는 이유는 맛으로 음식의 음양이나 오행을 구분하여 모자라는 기운은 더하고 남는 기운은 감하여 병의 치료나 체질 개선에 활용하자 함이다. 물론, 음식은 치료 약보다 효과가 작지만, 손쉽고 약보다 부작용이 덜하고 비용의 가성비도 높아서 특히 재활이나 회복기의 환자에게 약보다 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미 각 인간의 오감 가운데는 우리를 가장 행복하게 할 수 있는 감각은 미각(味覺: 맛에 대한 감각적 인식)이다. 미각의 첫 단계는 음식의 맛 물질이 혀 표면 유두의 맛봉오리(미뢰) 속에 존재하는 미세포를 화학적으로 자극하는 것이다. 따라서 맛 물질은 물에 잘 녹는 것이라야 한다. 맛 물질이 물에 녹아 전도성 이온이 되고 이것이 미세포 속으로 유입되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며 이 에너지는 척수를 통해 뇌신경 세포에 전달되어 미각으로 인식된다. 순수한 맛의 종류 미뢰가 느끼는 순수한 맛은 단맛(감미)ㆍ신맛(산미)ㆍ짠맛(함미)ㆍ쓴맛(고미)으로 알려져 왔으나 근자에 감칠맛(umami)이라는 제5의 맛이 추가 되었다. 흔히 음식에는 이 맛들이 혼합되어 있어서 미뢰는 다양한 맛으로 느끼게 되는데 미뢰는 최대 200가지로 맛

생명체의 기는 ATP에 저장된 생화학적 에너지다

1편 입문 2장 음양 3절 기의 생물학적 실체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인체는 자연계보다 복합적이고 정교하여 지난 절에 살펴본 음기, 양기의 물리적 의미는 인체의 진실에 잘 부합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려면 우선 인체에 작용하는 음기와 양기의 근본이 되는 기(氣)의 참모습을 알아야 한다. ATP와 ATP 합성효소 동식물 간의 에너지 순환을 정리하면, 동물은 식물이 광 합성하는 탄수화물을 우선 포도당으로 분해하고, 계속 산화하여 탄산가스(CO2)와 물 그리고 에너지를 얻으며 식물은 이 탄산가스와 물 그리고 태양 에너지로 다시 탄수화물을 합성하여 자원의 재활용을 이어간다. 동물이 탄수화물을 소화하여 만든 포도당은 그 에너지 단위가 너무 커서 동물세포가 곧바로 사용할 수 없다. 잘게 나누어야 하는데 이 일에 RNA(유전암호의 운반체)를 구성하는 단위체인 ATP라는 화합물이 개입된다. 곧 포도당 한 분자의 에너지는 30~40개의 ATP에 나뉘어 내재(內在)되며 이렇게 나누어져야 세포가 활용하기 적당한 크기의 에너지가 된다. ATP를 만들기 위해서는 포도당은 물론 모종의 장치도 있어야 하는데 유기물 복합체인 이 장치를 그 역할에 따라 “ATP 합성 효소”라고 부른다. 이는 일종의 나노머신(n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