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단지 하늘만이 조화(造化)를 만들고 선악(善惡)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하늘이 덕(德)을 주셨다면, 마땅히 수명(壽命)도 주셔야 하거늘 덕(德)과 수(壽)가 일치하지 않고, 그 이치 또한 알기가 어렵네. 조선 개국(開國) 이후에 성자(聖子)와 신손(神孫)이 계승하여 왔고 훌륭한 왕족은 많았다. 그러나 월산대군처럼 재주와 덕을 겸비하였더란 말인가? 진실로 대군이었다. 몸가짐이 성결하였다. 근면 검소하였으며, 경적(經籍)과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읽고, 문장(文章))을 지으면、옥을 꿰고 구슬을 이은 듯 솜씨가 대단했다. ▲ 고양시 신원동의 아담한 사당 이는 월산대군 신도비에 있는 글의 일부이다. 월산대군 이정(李婷1454~1488)은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의 친형으로 두 분의 우애는 남달리 돈독했다고 전해진다. 성종은 예종이 즉위 1년 만인 1467년에 세상을 떠나자 왕위에 오르게 되는데 성종 나이 13살 때 일이다. 나이도 어리고 장자도 아닌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실세인 한명회 때문이다. ▲ 월산대군 사당 표지석 흔히 왕이 되지 못한 형제들은 역적이 될 가능성이 많아 죽임을 당하곤
[그린경제=이윤옥 기자] 아버지에게 밥사발을 던지면 죄가 될까, 안 될까? 조선 중종 임금 때 아버지께 밥사발을 던진 백성이 있었다. 중종 13년인 1518년 사재 김정국이 황해감사로 나갔을 때 아비에게 밥사발을 던진 아들이 관가에 잡혀 온 일이 있어 시끄러웠다. 황해감사이던 김정국(金正國, 14851541)의 이야기를 더 들어보자. 내가 황해감사로 가 있을 때 연안(延安)에 백성 이동(李同)이라는 자가 있었다. 그 자는 밥을 먹으면서 아버지와 말다툼이 일었는데 그만 아비에게 밥사발을 던져버렸다. 이웃사람이 이를 보고 아들을 잡아서 내가 있는 감영(監營)으로 보내왔다. 그런데 이 자가 추국을 하지도 않았는데 자신의 죄를 자백한 것이다. 나는 죄수에게 너의 죄는 사형이 마땅하다. 너는 부자간이 하늘과 땅의 위치요 임금과 신하의 자리란 것을 모르느냐? 아비가 없으면 어찌 네 몸뚱이가 있겠느냐? 따라서 부모를 잘 모시면 효자가 되고 욕하거나 구타하면 악역이 되는 것이다. 너는 밥사발로 아비를 때렸으니 땅이 하늘을 범한 것이나 다름없고 신하가 임금을 범한 것과 같다. 법에 비추어 사형이 당연한 고로 내가 너를 사형에 처하고자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자 죄인이 말했
[그린경제=이윤옥 기자] 청정 (加藤淸正 임진왜란 때 조선침략에 앞장선 가토기요마사를 말함)의 일에 대해 승지의 의견은 어떠한가? 선조의 질문에 홍이상이 답하길, 오랑캐들이란 짐승과 같습니다. 그들의 세력이 당당하면 절대로 애걸할 리가 만무합니다. 그리고 지금 그들이 말한 것을 보면 너무나 흉악스럽습니다. 우리나라로서는 그들이 중국군과 서로 버티고 있는 틈을 이용하여 무슨 조처가 있었으면 합니다. 그러나 강화만은 반드시 이루어서는 안 됩니다. 대의(大義)로 말하면, 중국의 입장에서는 혹 그렇게 할 수 있을지라도 우리나라로서는 만세토록 기필코 갚아야 할 원수들인데 어떻게 그들과 강화를 할 수 있겠습니까. 중국 조정에서 그렇게 하라고 하더라도 따를 수 없는 일입니다. 라는 기록이 있다. (선조실록 27년(1594) 4월 1일) ▲ 모당 홍이상 무덤 모당 홍이상(洪履祥,1549-1615)은 선조임금으로부터 신임이 컸던 인물로 고양 8현(8賢) 가운데 한 분이다. 고양시 성석동에는 선생의 무덤과 신도비가 서있는데 신도비에 비친 모당 선생의 인품을 살펴보기로 한다. 공은 성품이 순수하고 아름다우며 효도와 우애는 천성에서 우러났다. 자식의 분분을 지켜 하나같이 성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