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김슬옹 교수] 세종 5년인 1423년은 세종이 임금으로서 본격적으로 나라를 다스리기 시작한 때다. 상왕인 태종이 1422년에 죽기까지 아버지 영향력 아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세종 5년은 세종의 재능을 시험이나 하듯 극심한 천재지변에 시달려야 했다. 극심한 가뭄으로 굶주리는 백성이 온 나라에 넘쳐났다. 함길도에서는 밀과 비슷한 흙으로 떡과 죽을 만들어 먹을 정도로 참혹했다(세종실록 1423/03/13). 함길도의 화주에 흙이 있는데, 빛깔과 성질이 밀과 같았다. 굶주린 백성들이 이 흙을 파서 떡과 죽을 만들어 먹으매, 굶주림을 면하게 되었는데, 그 맛은 메밀 음식과 비슷하였다._세종실록 1423/03/13 즉위 때부터 몇 년째 이어지는 가뭄이었다. 세종은 이 위기를 어떻게 이겨냈을까? ▲ 세종 5년 먹을 것이 없어 흙으로 떡을 해먹는 백성이 있었다. 이에 세종은 모두 자신의 탓이라 여겼다(그림 이무성 한국 화가) 첫째는 위기 상황을 총체적으로 보고 거기에 맞게 적절하게 대응하였다. 1월 9일 충청도에서는 농사에 실패한 각 고을 사람들이 구걸하려고 다른 지방으로 떠돌았다. 그런데 각 지역의 관리들은 떠돌아다니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 고
[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교수] 세종은 어느 날 이렇게 말했다. 사형 집행에 대한 법 판결문을 이두문자로 쓴다면, 글의 뜻을 알지 못하는 백성이 한 글자의 착오로도 원통함을 당할 수도 있으나, 이제 그 말을 언문(훈민정음)으로 직접 써서 읽거나 정확히 듣게 하면, 비록 지극히 어리석은 사람일지라도 모두 다 쉽게 알아들어서 억울함을 품을 자가 없을 것이다. 세종이 이 말을 정확히 언제 얘기했는지 모르지만 1444년 2월 20일에 최만리 등이 올린 갑자 상소문에서 세종의 말이라고 인용되어 있다. 실제로 가장 중요한 훈민정음 창제의 핵심 동기가 바로 이러한 소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였다. 세종은 자신이 직접 쓴 《훈민정음(해례본)》서문에서 그런 점을 밝히기도 했다.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통하지 않으므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끝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으니라.라고 하였는데 바로 재판 과정에서 한자 사용으로 인한 불소통 문제를 정곡으로 찌른 것이다. ▲ 훈민정음 언해본 어제 서문 통치자가 죄인과 관련된 문서나 판결문에 쓰인 문자까지 고민하고 배려한 사례는 세계사적으로도 없는 일이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
[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교수] 1418년 세종이 임금 자리에 오른 지 네 달 정도밖에 안 된 12월 25일(음력) 어느 날이었다. 신하들과 함께 경연을 하다가 세종이 이렇게 말했다. 《고려사》를 보니 공민왕 때부터의 역사 기록은 정도전이 들은 바에 많이 의존하다보니 어떤 것은 더 쓰고 어떤 것은 줄이고 하여, 역사 기록을 맡은 사관들의 처음 원고와 같지 않은 곳이 매우 많으니, 어찌 뒷세상에 기쁘게 전할 수 있으랴. 차라리 이런 역사책은 없는 것만 같지 못하니라. 라고 말하였다. 고려 공민왕 이하의 역사 기록이 정도전 등 개국공신들로 말미암아 왜곡되어 실제 기록과 다름을 알고 지적한 것이다. 변계량과 정초도 임금의 말에 공감하여 함께 아뢰기를 만약 역사의 진실을 기록하여 세상에 전하지 않는다면, 뒷세상에서 누가 전하께서 정도전의 역사 기록을 바로잡고자 하는 뜻을 알 수 있겠습니까. 원컨대 문신에게 명하여 고쳐 짓도록 하소서.라고 하였다. ▲ 그림 오수민 그 다음 해인 1419년 9월 20일에 세종은 변계량 등에게 《고려사》를 고쳐 쓰도록 지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고려사를 바로 쓰는 대사업이 시작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세종이 임금이 되자마자 역사바로잡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