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2월 19일 낮 2시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캄보디아 앙코르유적 보존ㆍ관리를 전담하는 캄보디아 정부기구인 압사라청(APSARA National Authority, 청장 행 뽀우(Hang Peou)), 앙코르와트 보존복원사업 수행기관인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대한민국-캄보디아 문화유산 분야 고위급 회담을 갖고, 문화유산 분야 교류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번 양해각서는 작년 2월 캄보디아 시엠립에서 발표한 「대한민국 문화재청과 캄보디아왕국 압사라청 간 공동 보도문」의 후속 조치로, 올해부터 착수 예정인 캄보디아 앙코르와트 보수정비 사업에 대한 협력을 비롯해 ▲ 문화유산 보존ㆍ관리ㆍ활용ㆍ디지털화 등 축적된 기술ㆍ경험ㆍ정보 공유 ▲ 연수회(워크숍) 등 행사 개최, ▲ 초청연수 등 인력 개발, ▲ 공동조사ㆍ연구와 전시회 개최, ▲ 문화유산 정책ㆍ제도ㆍ관리 등을 내용으로 한다. 특히, 캄보디아 앙코르와트는 캄보디아 국기에도 새겨진 상징적인 유적으로, 문화재청은 이번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앙코르와트 보존복원사업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번 사업은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 동안, 앙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영월 분덕재동굴」과 「영광 불갑사 산지 일원」을 각각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 명승으로 지정하고, 「고흥 팔영산」을 명승으로 지정예고 하였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영월 분덕재동굴」은 전체 연장길이 약 1.8㎞의 석회암동굴로, 석회암동굴로는 국내 3번째로 큰 규모에 해당한다. 내부 전체 구간 천장에서 떨어진 물방울로 만들어진 종유관과 동굴 바닥에서 만들어진 석순, 돌기둥(석주), 비틀린 모양의 곡석, 종유석 등의 동굴생성물과 종 모양 구멍(용식공), 포트홀, 건열 등 규모가 작고 미세한 기복을 가진 지형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보존상태가 우수하여 학술적, 교육적 값어치가 크다. 명승으로 지정된 「영광 불갑사 산지 일원」은 오랜 발자취를 간직한 천년고찰 불갑사와 불갑사 주변의 빼어난 산세 경관이 조화롭고 아름다운 명승지로 잘 알려져 있다. 절 가운데 으뜸이 된다는 불갑사(佛甲寺)의 이름이 주는 상징성과 수많은 불교문화유산은 역사적, 인문학적 값어치를 더해주며, 지는 해를 공경히 보낸다는 의미의 전일암(餞日庵)과 바다를 배경으로 지는 해를 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해불암(海佛庵)은 아름다운 서해낙조를 조망하는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오는 23일 낮 2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체육관(충남 부여군)에서 열리는 2023학년도 학위수여식에서 국가무형유산 ‘자수장’ 최유현 보유자에게 개교 이래 처음으로 명예미술학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최유현 보유자는 1951년 자수에 입문한 뒤, 1996년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로 인정되어 전승자 육성과 무형유산 보급을 위해 오랫동안 헌신해왔다. 또한, 전통자수를 혁신시키고 주제의식이 뚜렷한 불교자수를 제작하는 등 전통장인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는 동시에 작가정신과 조형세계를 발현시켜 한국 현대 섬유미술사에도 크게 이바지하였다. 이에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전통문화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하여 2000년 개교 이후 처음으로 최유현 보유자에게 명예박사학위를 수여하기로 의결하였다. 최유현 보유자는 “이번 명예박사학위를 받음을 계기로 전통문화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완주 송광사 금강문」 등 8건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금강문(金剛門)과 천왕문(天王門)은 조선시대 절의 삼문(三門) 체계가 성립되면서 나타나는 절 진입부의 두 번째와 세 번째 건축물이다. * 첫 번째 건축물은 일주문 금강문은 부처님의 가람과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역사(金剛力士)를 모신 문이며, 천왕문은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봉안하여 가람을 수호하고, 절에 출입하는 사람들이 모든 악귀가 물러난 청정도량으로 인식하게끔 하려는 뜻에서 세워진 건물이다. * 금강역사: 5백의 야차신을 거느리고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함. 이번에 지정 예고하는 금강문과 천왕문은 17~18세기에 걸쳐 세우거나 중창(重創)된 것으로 특히, 「완주 송광사 금강문」, 「보은 법주사 천왕문」,「순천 송광사 사천왕문」, 「구례 화엄사 천왕문」은 임진왜란(壬辰倭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을 거치면서 폐허(廢墟)가 된 절 문화유산을 벽암각성(碧巖覺性)과 그 문파가 직ㆍ간접적으로 관여하거나 건축적 영향을 준 것으로 조선후기 절 가람배치(伽藍配置)와 건축사적 의미가 크다. *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1660)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디젤난방차 905호」를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등록하였다. 「디젤난방차 905호」는 1964년 10월 인천공작창에서 처음 제작한 난방차 10량(901~910호) 가운데 하나로 1987년까지 운행되었다. 1950년대에 여객열차가 증기기관차에서 디젤기관차로 바뀌면서 겨울철 여객열차에 연결하여 객실에 증기난방을 공급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유일한 증기난방 체계의 디젤난방차로, 근현대기의 철도교통 난방 체계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뛰어난 상징적 의미와 생활문화사적 값어치를 지닌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설 연휴가 시작된 9일,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있는 계양산성(사적556호)엘 올랐다. 산성이라고 하면 언뜻 도심 외곽에 자리하고 있을 듯한데 계양산성은 도심과 맞닿아 있어 접근성이 좋아서인지 찾는 이들이 제법 많았다. 아니, 도심에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예전엔 도심 외곽이었을 산성 주변으로 도시가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게 적절한 표현일 듯하다. 입춘(2월4일)이 지나서인지 산성에 부는 바람이 겨울 느낌이라기 보다는 봄 느낌이 컸다. “계양산 일대는 고려시대 때까지만 해도 지금과 같은 육지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의 문인 이규보(1168~1241)의 문집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계양망해지(桂陽望海志)>에는 ‘계양군에서 나가는 길은 오직 한 길이 육지에 통할 뿐, 세 면이 모두 물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물가였던 계양산 주변은 조선 중, 후기에 이르러 모두 개간되어 육지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주변이 물가였을 정도로 지대가 낮았던 부평 지역에 솟은 계양산은 인근 지역이 한눈에 조망되는 지리적 조건 때문에 인천의 북부와 한강 하류 지역을 통제할 수 있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2월 5일(현지시간) 최응천 문화재청장과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이하 조계종) 문화부장 혜공 스님이 미국 보스턴미술관(관장 테이틀바움, 이하 미술관)을 방문하여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사리와 사리구의 국내 반입을 위해 미술관 관장 등 주요 관계자와 협상을 추진하였다. 보스턴미술관 소장 사리와 사리구 관련 논의는 지난 2009년부터 약 15년 동안 지속돼 온 현안이다. 이번 협상에서는 ▲ 사리는 사리구와 별개로 불교의 성물로서 2024년 부처님오신날(음력 4.8./양력 5.15.) 이전에 조계종에 기증되고, ▲ 사리구는 상호 교류 전시와 보존처리 등을 위해, 미술관 내부 검토를 거쳐 일정 기간 임시 대여하는 것을 조속히 추진하기로 미술관 측과 합의했다. 해당 사리구의 정식 명칭은 「은제도금라마탑형 사리구(銀製鍍金喇嘛塔形 舍利具)」로, 원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였던 14세기 고려시대 불교문화의 정수를 담은 불교공예로 평가받고 있다. 사리구 내부에는 「은제도금팔각당형 사리구(銀製鍍金八角堂形 舍利具)」 5기가 안치되어 있으며, 사리구에 적혀있는 글씨에 따르면 각각 석가모니불 5과, 가섭불 2과, 정광불 5과,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2023년 한 해 동안 지역학 연구 사업의 하나로 수행한 학술조사ㆍ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출판물 2종을 펴냈다. 지난 2021년 1월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박동춘 소장은 정통 다도(茶道)를 중흥시켰던 조선의 승려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 관련 중요 문헌 자료를 포함한 모두 169건 364점의 문화유산을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박물관은 박동춘 소장이 기증한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첫 결과물로, 《박동춘 기증 초의선사 유묵 번역집1-가련유사(迦蓮幽詞)》를 펴냈다. 《가련유사》는 초의선사를 비롯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제자들이 1818년, 1819년 2차례에 걸쳐 연 시회(詩會)의 내용을 엮은 아회록(雅會錄)이다. 참석자는 모두 호남의 유학자이거나 대흥사 승려들로, 조선 후기 호남 지역 인물들이 종교와 사상을 넘어 모두 300수의 시와 차를 나누며 격의없이 교유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이번 번역집은 조선 후기 문화사는 물론 우리 차 문화의 원형 확보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립광주박물관은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보고서도 펴냈는데 박물관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푸른 용의 해인 갑진년(甲辰年) 설을 맞아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를 연다.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는 무형유산의 대중화와 보전ㆍ전승 활성화를 위해 전승자들이 자신의 기량을 실연하는 행사로서 매월 온 나라 곳곳에서 연다. 설날 연휴를 포함한 2월에는 부산, 광주, 강원, 전북, 전남, 경남에서 모두 8건의 행사가 펼쳐질 예정이다. 올해 첫 공개행사로는, 전북 부안군 위도면 대리마을 일원에서 띠로 만든 배를 띄우며 마을의 평안과 장수, 어촌지역의 풍어를 기원하는 ▲「위도띠뱃놀이」(2.12.)와 전남 구례군에서 새해를 맞이하여 마을의 액을 물리치고 풍요와 복을 기원하는 ▲「구례잔수농악」(2.12.), 경남 거제시 죽림마을 일원에서 대규모 공동 제의인 ▲「남해안별신굿」(2.14.~2.15.)이 열릴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정월대보름에는 광주광역시 고싸움놀이테마파크에서 마을의 풍요와 마을 사람들의 협동심을 기원하는 대규모 집단 민속놀이인 ▲「광주칠석고싸움놀이」(2.23.~2.25.)를 비롯하여 ▲「강릉농악」(2.24./ 강릉 경포벚꽃축제행사장), ▲「임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오랜 세월 마을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해 온 성황제, 당산제, 동제 등 지역의 자연유산에서 이뤄지는 민속행사 69건을 올해 지원한다. 우리나라에는 예로부터 큰 나무나 숲 등의 자연물을 마을의 명물로 신성하게 여기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마을과 주민들의 풍요와 안녕을 비는 풍습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문화재청은 산업화, 도시화 등으로 인한 지역 인구 감소와 지역 편중화 등 위기 속에서 지역의 자연유산이 지닌 민속성, 향토성 등의 가치를 높이고 지역의 자랑거리가 될 수 있도록 2003년부터 마을 고유의 자연유산 민속행사를 지원해 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는 주민 스스로가 지역 자연유산 보존의 최일선 관리자로 앞장설 수 있도록 지역의 자연유산 ‘당산나무 할아버지’들이 직접 마을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민속행사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 자연유산 당산나무 할아버지: 문화재청이 지역에 있는 자연유산을 보존ㆍ관리ㆍ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마을 대표에게 수여하는 명예활동 자격 올해에는 ▲ 2월 5일(월), 영풍 단촌리 느티나무 저술동제 등 3곳의 민속행사를 시작으로, ▲ 설 연휴기간,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