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옥호정도(玉壺亭圖)>는 순조(純祖, 재위 1800~1834)의 장인이자 안동 김씨 세도정치의 서막을 연 김조순(金祖淳, 1765~1832)의 별장인 옥호정(玉壺亭)을 그린 그림입니다. 네 장의 도련지(擣鍊紙, 다듬이질을 하여 반드럽게 한 종이)를 붙인 세로 150.3cm, 가로 193.0cm의 큰 크기로 꾸미지 않은 옛 형태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옥호정은 삼청동 9길(삼청동 133번지)에 있었는데, 그림 뒷면에 한글로 ‘삼쳥동’이라는 붓글씨가 쓰여 있습니다. 지금 옥호정 건물은 모두 사라지고, 그 터에 표석만 남아 있어 그림의 값어치가 더욱 소중합니다. 이 그림을 간직한 역사학자 이병도(李丙燾, 1896~1989)는 1960년 《서지(書誌)》를 통해 그림의 값어치를 세상에 알렸습니다. 이후 우리나라 초대 농학자이자 서울대 명예교수로 전통 조경에 큰 관심이 있었던 아들 이춘녕(李春寧, 1917~2016)에게 그림이 전해집니다. 2017년 이춘녕의 아들인 전 서울대학교 총장 이장무와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이건무 등 유족은 부친의 뜻을 받들어 이 그림을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했습니다. 삼청(三淸)과 함께 한 계산풍류(溪山風流)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국학진흥협의체의 첫걸음으로 2월 17일, 각 지역에 분산된 민간기록자료들을 한 번에 살펴볼 수 있는 민간기록문화 통합검색 승강장 「시대의 풍경, 지역의 기록」(record.or.kr)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각 지역을 대표하는 국학진흥기관의 연합, 국학진흥협의체 ‘민간기록자료’란 《조선왕조실록》ㆍ《승정원일기》와 같은 공적 자료와 달리 민간과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된 자료를 의미한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방대하고 찬란한 기록유산의 근간에는 민간의 영역에서 당시의 삶과 문화를 기록하고 전달하려고 했던 노력이 있었다. 지금껏 각 지역에 있는 국학진흥기관은 해당권역의 민간기록자료를 수집ㆍ보존하고 조사ㆍ연구하는데 많은 성과를 거두었으며, 국학진흥기관의 통합발전이라는 시대적 요구 아래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으로 ‘국학진흥협의체’를 발족하였다. 국학진흥협의체는 영남권을 대표하는 국학진흥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 호남권역의 한국학호남진흥원, 충청권역의 한국유교문화진흥원, 그리고 강원권역을 대표하는 율곡연구원이 함께한다. 이들은 저마다 해당 권역의 유ㆍ무형 유산을 조사ㆍ수집ㆍ보존ㆍ관리ㆍ연구하며 괄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2월 21일 낮 2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체육관(충남 부여군)에서 2024학년도 학위수여식을 연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이론과 실제적 응용력을 갖춘 전통문화 인재 양성을 위해 2000년 국가유산청에서 설립한 4년제 특수목적 국립대학교이다. 졸업생들은 국가유산수리기술자ㆍ기능자를 비롯해 국가유산 관련 공공ㆍ민간 기관 등 다양한 국가유산 전문 분야에서 영역을 확대하며 활발히 활동해 오고 있다. 올해로 22번째를 맞은 2024학년도 학위수여식에서는 박사학위 9명, 석사학위 91명, 학사학위 139명까지 모두 239명의 졸업생이 전통문화 전문가로서 첫발을 내딛게 된다. 이번 학위수여식에서는 학업 우수 졸업생 7명에게 상장을 주며, 학교발전과 명예에 이바지하고 모범적으로 학생활동을 한 18명에게는 총장상, 연안옛길 전통문화상, 총동문회장상, 국가유산진흥원장상, 한국유교문화진흥원장상, 문화유산국민신탁 이사장상, 유네스코 아태무형유산센터 사무총장상,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 이사장상,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이사장상, 부여군수상을 준다. * 학업 우수 졸업생(7명): ▲ 전통건축학과 김태연(문화체육관광부장관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회장 정갑영)는 2월 19일 저녁 7시 10분 tvN에서 ‘어린이를 지키는 약속, 블루 닷’을 방영한다고 19일 밝혔다. ‘어린이를 지키는 약속, 블루닷’은 어려움에 부닥친 지구촌 어린이를 돕고자 유니세프 한국위원회와 tvN이 공동 기획한 모금방송으로 이번 방송에는 가수 이문세가 출연해 직접 다녀온 에티오피아 아파르 지역의 어린이들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파르는 열악한 식수와 의료 환경으로 어린이들이 다양한 어려움에 부닥친 지역으로 이문세는 이곳에서 만난 어린이들 이야기를 노래와 함께 전하며 따뜻한 관심과 후원을 독려할 예정이다. 이문세는 물론 MC를 맡은 아나운서 한석준과 박선영, 패널로 함께한 가수 바다 등 출연진 전원은 어린이를 향한 진심 어린 애정을 전하며 모두 재능 기부로 출연해 프로그램에 뜻을 더하기도 했다. 후원 참여는 방송 당일인 2월 19일부터 유니세프 한국위원회 누리집(www.unicef.or.kr)과 방송을 통해 할 수 있으며 참여자들은 이문세의 친필 메시지가 담긴 엽서와 유니세프 로고가 담긴 환경 가방을 받을 수 있다. 유니세프(UNICEF, 유엔아동기금)는 유엔아동권리협약에 아동권리 증진에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서울시 초등돌봄시설 ‘우리동네키움센터’가 올해 새 학기 시작과 함께 더 커진 혜택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새 학기부터 달라지는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주요 내용은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 전 자치구 확대 ▴정기돌봄 연장신청 절차 폐지 및 자동연장 도입이다. 우리동네키움센터는 집·학교 10분 내 거리에 위치해 방과 후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초등돌봄시설로, ’18년 4개소를 시작으로 ’25년 1월 말 현재 266개소가 운영 중이다. 키움센터 정규 운영시간은 학기 중 13~20시까지이며, 방학 중에는 9~18시(융합형 8~20시)까지 운영한다. 우선, 출근길에 초등학생 자녀를 맡기고 가면 돌봄선생님이 간식‧숙제를 챙겨주고 등교 동행까지 해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가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된다.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는 이용 아동들에게 간식 지원 및 숙제 챙겨주기 등의 ‘돌봄지원’과 등교시간에 맞춰 돌봄교사와 함께 안전하게 학교까지 동행하는 ‘등교지원’을 제공한다.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는 양육자의 퇴사 고민이 가장 커지는 시기가 자녀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SNS 속 화려한 사람들 모습을 보며 스스로가 초라하고 외롭게 느껴진 적이 있는가? 정신건강의학과 원장인 저자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비교의 기준을 다양하게 가질 것을 제안한다. 예쁜 골프복을 입은 친구가 부럽다면, 골프 외에도 직업, 인간관계, 자존감, 건강 등 다른 기준으로 시선을 넓혀보면 박탈감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쓸데없는 걱정으로 준비된 체력이 소진되었습니다』에는 이메일을 보낼 때 긴장되고, 발표가 두렵고, 전화가 불안하고, 부탁이 어려운 등 사소한 일에 멘탈이 흔들리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저자는 이들에게 전문적이면서도 따뜻한 마음 해결책을 제시하며, 불안과 외로움은 자연스러운 감정이고 이를 어떻게 대처하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연애도 마찬가지다. 연애를 한다고 외로움이 사라지지 않으며, 자신의 외로움을 스스로 감당할 수 있을 때 성숙한 연애가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일상 속 크고 작은 외로움과 불안으로 마음이 무너진 사람들에게 한 권의 위로와 희망을 추천한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고도 아키츠키 히나순례(古都 秋月 雛めぐり)’, 후쿠오카현 아사쿠라시(朝倉市) 아키츠키(秋月) 마을에 도착하니 길거리 사방에 펄럭이는 히나마츠리(雛祭り)를 알리는 홍보용 깃발과 전단이 넘쳐난다. 히나마츠리란 딸아이를 위한 잔칫날로 집안에 히나인형을 장식하는 것을 말한다. 일본에서는 딸아이가 태어나면 할머니나 어머니들이 ‘건강하고 예쁘게 크라’는 뜻에서 히나 인형을 선물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예부터 전통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풍습으로 혹시 딸에게 닥칠 나쁜 액운을 없애기 위해 시작한 인형 장식 풍습인데 이때 쓰는 인형이 히나인형(ひな人形)이다. 히나마츠리를 다른 말로 모모노셋쿠(桃の節句) 곧 ‘복숭아꽃 잔치’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복숭아꽃이 필 무렵의 행사를 뜻하는 것으로 예전에는 히나마츠리를 음력 3월 3일에 치렀지만, 지금은 다른 명절처럼 양력 3월 3일이 히나마츠리 날이다. 어제(18일), 아사쿠라시(朝倉市) 아키츠키(秋月) 마을을 찾은 것은 아키츠키박물관(秋月博物館)에 미리 요청한 자료 열람을 위해서였다. 낮 2시 약속을 지키기 위해 후쿠오카 시내 숙소에서 일찌감치 출발하여 열차를 3번 갈아타고 아키츠키마을에 도착한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눈 내리는 밤 숲 가에 멈춰 섰다 이게 누구의 동네인지 나는 알 것도 같다. 그는 모를 것이다. 내가 여기 멈춰 서서 눈 덮인 그 동네를 보고 있는 것을. 내 조랑말은 농가 하나 안 보이는 곳에 일년 중 가장 어두운 밤 숲과 얼어붙은 호수 사이에 이렇게 멈춰 서 있는 걸 이상히 여길 것이다. 무슨 착오라도 일으킨 게 아니냐는 듯 말은 흰 입김을 내뿜으며 주인의 결정을 기다린다. 그르릉 하는 엔진 소리 외에는 솔솔 부는 바람과 솜처럼 부드럽게 눈 내리는 소리뿐...... 내가 좋아하는 미국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의 시를 패러디해서 시 한 수 베껴보았다. 조랑말(pony)이란 표현을 자동차로 대치하면 그게 어느 눈 내리는 겨울 저녁 날 나의 추억이다. 이 시의 주인공은 내가 아니라 나의 자동차다. 그것을 몰고 밤길을 가다가 문득 차를 세우고 건너편 산자락과 마을을 보며 흰 눈에 덮이는 경치를 감상한 것인데 그때가 다시 생각이 난 것은 이제 이 자동차와 이별했기 때문이다. 12년 반 동안 쓰던 자동차다. 한 미국 자동차 판매사가 2012년 말 연말 할인행사에 맞춰 생각보다 저렴하게 차를 팔기에, 미국 사람들이 우리나라 자동차를 많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옛날 옛적 서생에서 고래 잡던 반구대와 서생포(돌) 구, 신석기 오래된 삶의 터(심) 자 떠나자 예쁜 고래 잡으러(빛) 바다 저 바다 신화의 동해로(달) ... 25. 2. 17.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부산에서 울산 가는 길옆, 바닷가 서생포는 20세기 중반까지 마지막 고래잡이 곧 포경 사업이 존속했던 곳이다. 멀지 않은 곳엔 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걸쳐 형성된 것으로 보는 반구대 암각화가 있어 원시시대와 현대를 잇는 놀라운 삶의 연속성을 말해 준다. 최근 이곳에 암각화박물관이 생겨 둘러봤다. (라석)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합작시(合作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로 서로 합작시(合作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수 무렵 여린 살 차가와 선뜻 다가서지 못해 동구 밖 서 있었습니다. 몇날 며칠 헤살대던 바람 지나는 마을마다 무작정 풋정 풀어놓고 입춘 지나 저끝 마라도로부터 북상해 갔습니다. 버들강아지 산수유 제가끔 제 몫으로 이 나라 산야에서 야무지게 봄물 오를쯤 이젠 옛이야기로 남은 허기진 유년의 봄날이 흑백 필름 거꾸로 돌아 모두 한꺼번에 살아옵니다. 우수 무렵 위는 김경실 시인의 시 <우수 무렵>입니다. 시인은 우수가 되니 “얼여린 살 차가와 선뜻 다가서지 못해 동구 밖 서 있었습니다.”라고 노래합니다. 오늘은 24절기 둘째인 우수(雨水)입니다. 우수는 말 그대로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뜻인데 이때가 되면 추운 북쪽지방의 대동강물도 풀린다고 했지요. 아직 추위가 남아있지만, 저 멀리 산모퉁이에는 마파람(남풍:南風)이 향긋한 봄내음을 안고 달려오고 있을 겁니다. 예부터 우수 때 나누는 인사에 "꽃샘잎샘에 집안이 두루 안녕하십니까?"라는 말이 있으며 "꽃샘잎샘 추위에 반늙은이(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도 있지요. 이 꽃샘추위를 한자말로는 꽃 피는 것을 샘하여 아양을 떤다는 뜻을 담은 말로 ‘화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