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정성조)는 2022년 5월 개방된 경복궁 후원(청와대) 권역의 역사적 값어치를 확인하고 체계적 보존ㆍ관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해 8월 말 ‘경복궁 후원 기초조사 연구’를 시작해 12월 말 끝낸 결과를 공개했다. * 용역기간: 2022.8.26.~12.23. 수행기관: (사)한국건축역사학회 등 경복궁 후원과 관련한 연구는 그동안 청와대 접근성의 한계적 특성으로 인해 회화, 문헌 등 기록을 중심으로 한 연구만 간헐적으로 이루어졌었기 때문에 이번 조사는 청와대 권역에 관한 새로운 학술연구의 길을 열었다는 데에서 의미가 크며다. 이번 ‘경복궁 후원 기초조사연구’는 조선시대 경복궁 중건 당시 조성된 후원을 중심으로 고려시대부터 청와대 개방 이전까지 시대적 변천과 역사적 값어치를 평가하기 위한 첫 학술조사연구이기도 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복궁 후원 영역에 대한 건축, 조경 등 분야별 현황 및 분석을 통해 문화ㆍ자연유산적 값어치에 대해 평가하고, 앞으로후 보존관리 방향 수립에 고려할 사항 등이 제시되었다. ▲ 현존 건축물과 식생 및 조경시설물 등의 연혁과 규모, 보존상태 등을 목록화하였고, ▲ 일제강점기 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부여군(군수 박정현)과 함께 부여 나성의 북쪽(북나성)에서 부소산성과 이어지는 구간의 성벽 현황과 축조양상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를 2021년부터 진행해왔는데 그 결과 북쪽 출입시설(북문터)과 상태가 양호한 약 60m의 성벽이 확인되었다. 특히 부여 나성에서는 처음으로 성벽 안쪽(토축부)의 평면조사를 하여, 10개의 구역으로 구분된 성토의 흔적(규모 약 3.5~18.3m)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성토(盛土): 주변의 흙을 이용해 일정 높이까지 쌓아 올린 다음 마감 높이에서 두들겨 일정한 성벽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토성을 축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 부여 나성은 사비도성 북쪽과 동쪽의 자연지형을 이용하여 부여 시가지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길이 6.6㎞의 성곽이다. 지난 2003년부터 올해까지 체계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성벽, 치, 문터, 건물터 등이 확인되어, 백제 사비도성의 경계와 방어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 치(雉): 성벽 일부를 돌출시켜 적의 접근을 조기에 관찰하고 성벽에 접근한 적을 정면이나 측면에서 공격할 수 있는 시설물 * 문지(門址): 문이 있던 자리 성벽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소장 최인화)는 사라져가는 전통 기술의 계승과 보존을 위하여 전통 건축 목공사를 담당하는 ‘대목(大木)’의 삶을 구술과 영상으로 풀어낸 보고서인 《근현대 대목(大木) 구술생애사》를 펴냈다. * 대목: 건축 공사에서 나무를 다루어 집을 짓는 장인 《근현대 대목(大木) 구술생애사》는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에서 2022년부터 수행 중인 「전북 전통 건축 대목수 기술 연구」의 하나로 우리 전통문화를 지키고 전승하는 데 일생을 바쳐온 장인이지만, 국가무형문화재 범주 밖에 있어 별다른 기록 없이 잊히고 있는 대목의 삶과 기술을 국민이 이해하고 그 가치에 공감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기획되었다. 보고서는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가 지난해 확보한 구술 및 영상채록 자료를 기초로 하여, 채록 대상 대목의 삶과 기ㆍ예능 체득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으며, 본래의 뜻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표준어와 지역어로 옮겨 적었다. 지역어의 경우 소리 나는 그대로 형태소를 밝혀 적는 형태음소 표기법으로 옮겨 적었다. 모두 2장으로 구성되며 ▲ 1장에는 국공립 박물관에 소장된 근현대 대목 사진 기록물, ▲ 2장에는 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전라북도 완주군ㆍ진안군에 있는 「임진왜란 웅치 전적」을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했다. 「임진왜란 웅치 전적」은 임진왜란 초기(1592년 7월) 전라도를 침략한 왜군에 맞서 관군과 의병이 민관 합동으로 호남을 지켜낸 ‘웅치 전투’가 발생한 곳으로 호남 방어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으며, 초기의 열세를 극복하고 조선군이 결국 승전하게 되는 국난 극복의 전적지로 평가된다. * 국난: 나라가 존립하기 어려울 정도로 위태로운 나라 전체의 어려움 ‘웅치’는 완주군과 진안군 사이 고갯길 이름으로 웅치 일대의 옛길은 전주와 전라도 동부지방인 진안 등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로 이용되었다. 《선조실록》 등 여러 문헌에 기록된 ‘웅치’는 ‘웅현’, ‘웅령’으로도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는 ‘곰티’ 또는 ‘곰치’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조경남의 《난중잡록》에는 전투가 일어난 지리적 위치가 구체적으로 기록되어 있다. 《난중잡록(亂中雜錄)》(조경남) 1권, 선조 25년 상, 6월 23일 이후 전주 전 만호 황박이 모집한 군사 200명을 모아 웅현에 복병했는데 웅현은 바로 전주와 진안의 경계였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한글편지자 훈민정음 반포의 실상을 알려주는 「나신걸(羅臣傑) 한글편지」를 비롯해 「창녕 관룡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觀龍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시왕상(十王像) 일괄」, 「서울 청룡사 비로자나불 삼신괘불도(靑龍寺 毘盧遮那佛 三身掛佛圖)」 등 조선 시대 불상과 불화를 포함한 모두 3건에 대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나신걸 한글편지」는 조선 초기 군관(軍官) 나신걸(羅臣傑, 1461~1524)이 아내 신창맹씨(新昌孟氏)에게 한글로 써서 보낸 편지 2장이다. 2011년 대전시 유성구 금고동에 있던 조선 시대 신창맹씨 묘안 피장자의 머리맡에서 여러 번 접힌 상태로 발견되었다. * 나신걸은 조상대대로 무관직(武官職)을 역임한 집안 출신으로, 편지를 썼을 당시 그는 함경도에서 하급 군관으로 근무하고 있었음. 그의 부인 신창맹씨의 무덤에서 출토된 유물은 저고리, 바지 등 의복 28점, 한글편지를 포함해 13점의 유물 등 모두 41점 이상에 달함 편지를 썼을 때는 내용 가운데 1470~1498년 동안 쓰인 함경도의 옛 지명인 ‘영안도(永安道)’라는 말이 보이는 점, 나신걸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2019년부터 올해까지 4년 동안 진행된 경기지역의 조선시대 수군진 조사ㆍ연구 성과를 담은 《조선시대 수군진조사Ⅴ: 경기지역》 보고서를 펴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해양문화유산 종합학술조사연구사업의 하나로 2007년부터 지역별 조선시대 수군진에 대한 조사연구 성과를 정리한 《조선시대 수군진조사》 연작(시리즈)을 발간해왔다. 이번에 펴내는 「경기지역」편은 「전라우수영」(2012), 「전라좌수영」(2014), 「경상우수영」(2016), 「경상좌수영」(2018) 편에 이은 다섯 번째 보고서다. 경기지역의 수군진은 방어체계의 재편이 많아 다른 지역에 견줘 설치와 이동이 잦았다. 이를 고려하여 이번 보고서에는 경기지역 가운데서도 이미 조사가 끝난 강화도*와 근대에 설치된 일부 수군진을 뺀 10개의 수군진*을 골라 수록하였다. * 강화도에 대해서는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조선의 보장지처, 강화 그리고 진ㆍ보※돈대 Ⅰ(2020)·Ⅱ(2021)를 참조하였다. * 10개 수군진: ①교동량ㆍ월곶진ㆍ삼도수군통어영, ②주문진, ③정포진, ④덕포진, ⑤장봉진, ⑥영종진, ⑦제물량, ⑧덕적진, ⑨초지량, ⑩화량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순천 선암사 일주문」 등 8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한다. 이번에 지정되는 문화재들은 절 일주문(一柱門) 4건, 절 문루(門樓)와 불전(佛殿), 누정건축(樓亭建築), 승탑(僧塔) 등 각 1건이며,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각 2건, 대구광역시와 경기도, 전라북도, 경상남도 각 1건이다. 특히 이번에 4건이 지정되는 절 일주문은 절이 시작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정문으로 기둥만 일렬로 서있는 독특한 형식의 문이다. 문화재청은 지난해부터 전국의 50여 건의 절 일주문을 조사하고 전문가 검토와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번에 4건의 일주문을 보물로 지정하게 되었다. 전라남도 순천시의 「순천 선암사 일주문(順天 仙巖寺 一柱門)」은 조계문(曹溪門)으로도 불리며 1540년 중창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일주문 앞쪽에는 ‘조계산선암사(曹溪山仙巖寺)’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선암사 일주문은 단칸 맞배지붕과 다포식 공포로 되어있으며, 기둥 구조는 기둥과 창방(기둥 윗부분에서 기둥과 기둥을 가로 질러 연결하는 부재)으로 단순하게 구성됐다. 선암사 일주문의 초창 기록은 확인할 수 없으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명승 지정 별서정원에 대한 역사성 검토를 마쳤다. 지난해 예천 선몽대 일원을 비롯한 11곳에 이어 올해에는 담양 명옥헌 원림 등 9곳 정원의 만든 이와 소유자, 정원의 변화과정, 정원 이름의 유래 등을 고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정원의 지정값어치와 역사성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을 새롭게 밝혀냈다. 먼저,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광주 환벽당 원림 3곳에 대해 정원이 만들어진 시기와 초기 형태를 구체적으로 밝혀냈다. ▲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은 중종 21년(1526) 충재(沖齋) 권벌(權橃, 1478~1548)이 바위 위에 지은 청암정(靑巖亭)과 그의 아들인 청암(靑巖) 권동보(權東輔, 1518~1592)가 부친의 뜻을 이어받아 석천계곡에 지은 석천정(石泉亭)으로 이루어져 있다.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이 위치한 유곡(酉谷)마을은 1380년 권벌의 선조가 처음 개척한 곳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권벌이 중종 15년(1520) 터를 잡은 곳임을 확인하였다. ▲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은 화림재(花林齋) 전시서(全時敍)가 숨어 살며 억새로 만든 정자를 1872년 재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문화재지킴이 협약기업인 온라인 게임 개발사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한국대표 조혁진)의 후원으로 작년 6월부터 시작한 ‘왕실 노부(鹵簿) 유물 보존처리’ 사업을 이달 끝냈다. 지난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진행된 1차 노부류 보존처리 사업(25점)에 이어 두 번째 진행된 민관협력 사업이다. ‘노부’는 고려ㆍ조선시대 임금의 행차 시 갖추던 의장품으로 임금의 위엄을 상징한다. 이번 보존처리 대상 유물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노부류 가운데 보존의 시급성과 역사성ㆍ희소성ㆍ활용성 등을 고려해 주작당(朱雀幢), 용봉단선(龍峯團扇) 등 15점을 뽑았다. 노부는 왕실의 주요 행사에 사용되었기 때문에 의궤에 기록이 잘 남아있어 의궤의 기록을 토대로 유물의 직물과 물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하여 유물의 상태와 특징을 자세히 조사하였다. 보존처리에는 복합재질로 이루어진 노부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직물ㆍ종이ㆍ나무ㆍ금속 등 재질별 보존처리 전문가가 다수 참여하여 완성도를 높였고,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재료와 기법은 안정성과 타당성을 고려해 유사 보존처리 사례 조사와 예비실험을 거쳐 검증된 방법을 적용하였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한성백제박물관(유병하 관장)이 수년간 여러 기증자에게서 기증받은 소중한 문화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소장품목록 제13권(2016~2020년 기증유물)을 발간하였다. 한성백제박물관은 개관 10주년을 기념하고, 기증자 예우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1인에게서 기증받은 문화재를 촬영하고 목록화하여 시민과 대중에게 널리 알리고자 한다. 이번 기증자료 소개는 소장품목록 제3권(2011~2015년 기증유물)에 이은 두 번째 작업으로서 다양한 우리나라 삼국의 토기ㆍ도자기ㆍ고분벽화 모사도 및 서적 등 320건 428점의 자료 이미지와 정보를 담고 있다. 내용은 2016년~2020년 동안 11인이 기증한 다양한 자료를 기증 수량과 연도별로 분류하여 순서대로 정리하여 구성하였다. 해당 기간 중에 이재열 기증자의 백제토기를 비롯한 토기류가 155점으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며, 순서대로 진경요ㆍ김영엽ㆍ최정해ㆍ김리나ㆍ이상윤ㆍ성기인ㆍ(민관기ㆍ김규옥)ㆍ유경지 및 김남주 기증자료들을 수록하였다. 한성백제박물관은 그동안 각 분야 문화재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해당 자료의 가치를 세밀하게 검증하였고, 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기증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