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봄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어제 4월 20일 저녁 5시 서울 삼성동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국가무형문화유산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보유자 이재화 명인의 공개 행사가 열렸다. 1896년(고종 33)에 백낙준(白樂俊)이 처음으로 연주했던 ‘거문고산조’, 주로 남도소리의 시나위가락을 장단(長短)이라는 틀에 넣어서 거문고로 연주하는 기악 독주 음악이다. 거문고산조는 현재 한갑득류와 신쾌동류가 전승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한갑득류는 거문고산조 창시자 백낙준의 직계 제자인 박석기 명인에게서 한갑득(韓甲得: 1919~1987) 명인이 전승한 것이다. 한갑득 명인은 1978년 중요무형문화재 제16호 거문고산조 기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뛰어난 창작능력을 발휘한 <한갑득류 거문고산조>를 남겼다. 현재 국가무형유산 한갑득류 거문고산조 보유자인 이재화 명인은 1969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현 국립국악중ㆍ고등학교)에서 한갑득 명인과 사제의 연을 맺고 한갑득류 거문고산조를 오롯이 전수하여 이날 그 전승행사를 연 것이다. 맨 먼저 무대를 연 것은 이재화 명인의 제자들인 강유경ㆍ박경은ㆍ전진아ㆍ최영훈ㆍ박희정ㆍ이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소장 이상철)는 제4회 국립공원의 날(3월 3일)을 맞아 대국민 인식제고와 참여문화 확산을 위한 주간행사 하나로 국립공원 산사문화 사진 전시회를 4월 19일부터 4월 21일까지 법주사 사찰 일원에서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국립공원 산사문화 사진 전시회는 전국 국립공원 5대 절(화엄사, 백양사, 해인사, 불국사, 법주사)을 대상으로 3월 8일부터 4월 28일까지 주말 3일 동안 각 지역을 순회하며 진행한 것으로 현장 접점에서 탐방객 대상으로 산사의 아름다움과 국립공원의 값어치를 홍보하고자 기획되었다. 사진은 국립공원 사진공모전 수상작과 법주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사진 등 모두 30점이 전시되었으며 누리 소통망(SNS) 등을 통한 사전 홍보와 체험프로그램 운영으로 현장에서 탐방객들의 많은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 강성민 행정과장은 “이번 국립공원 산사문화 사진 전시회를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국립공원과 전통 절의 값어치에 대해 상호 공감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5월 2일부터 5월 4일까지 남산골한옥마을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는 2024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선정작 <새판소리, 마당을 나온 암탉: 판소리와 창극 공존의 모색> 공연이 펼쳐진다. 국내 창작동화 처음으로 밀리언셀러를 기록하고 프랑스, 그리스, 중국, 일본 등 세계 29개국에 번역ㆍ출판된 황선미 원작의 <마당을 나온 암탉>이 자기학(소리꾼, 연출가, 국립국악원 예술감독) 창작창ㆍ연출의 '새판소리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2019년 재탄생되었다. 제(制)와 바디 그리고 더늠에 대한 고찰'을 부제로 전승과 연행을 보여주었던 4인4색의 다채로웠던 마당은 판소리와 창극 공존의 모색'을 부제로 2024년 두 번째 소리판을 마련하였다. 두 소리광대가 소리를 나누어주고 받으며, 판소리가(歌)가 창극가(歌)로 나아가는 과정을 궁리해 본다. 판소리 〈춘향가>와 창극 <춘향전>이 공존하듯이, 새판소리 <마당을 나온 암탉>이 창극 <마당을 나온 암탉>으로 도약하는 여정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창극연출가 지기학은 국립민속국악원의 악장과 예술감독을 지냈으며, 소리꾼이자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은 오는 5월 10일(금)부터 5월 12일(일)까지 나라 밖 초청작 <에브리우먼(Everywoman)>을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다큐멘터리 연극’의 거장이자 현시대 가장 논쟁적인 연출가로 통하는 밀로 라우(Milo Rau)의 첫 번째 내한 작품이다. <에브리우먼>의 연출과 극본을 맡은 밀로 라우는 언론인이자 사회활동가로도 활동했으며, 2007년 ‘국제정치살인연구소(IIPM, International Institute of Political Murder)’ 창단 뒤 사회의 현실을 꼬집는 파격적인 주제와 신랄한 현실 고발을 담은 작품을 선보였다. 2009년 정치 연극 <차우세스쿠의 마지막 날들>이 아비뇽 페스티벌에 초청되며 연출가로서 이름을 알렸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벨기에 엔티겐트(NTGent) 극장의 예술감독을 지냈으며 현재는 오스트리아 빈 페스티벌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에브리우먼>은 현실과 공연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수많은 질문을 던지는 밀로 라우 특유의 연출기법이 잘 드러나는 작품인 동시에 전작들과 달리 인간의 숙명에 대해 보다 근원적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4월 27일과 28일 저녁 7시 서울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는 <필묵으로 펼쳐지는 한국춤>> 공연이 펼쳐진다. <필묵으로 펼쳐지는 한국춤>은 한국 전통 춤을 3D로 입체화한 21세기 선진형 체험 융복합 공연이다. 무대는 온통 꽃과 나비가 가득한 화폭으로 그려진다. 화폭 위 그림은 입체화되어 3D로 살아나 꽃에서는 향기가 진동하고 살아있는 나비가 무대 위 공중을 날아다닌다. 한 마디로 ‘춤과 회화, 무대 미술과 음악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색다르게 풀어내는 21세기 융복합 시대의 경향에 발맞춘 공연이다. 이번 체험형 3D공연을 통해 시간, 후각ㆍ청각을 모두 자극하는 감각적인 꿈의 공간으로 초대한다. 12년 동안 연속 매진된 작품이며 10돌을 맞이한 이후 2년 주기로 공연을 진행하고 있다. 입장료는 R석 70,000원, S석 50,000원이며, 아르코예술극장 누리집(https://theater.arko.or.kr/product/performance/258064)에서 예매할 수 있다. 공연에 관한 문의는 아르코예술극장 전화(02-3668-0007)로 하면 된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새봄을 맞아 상설전시실 중・근세관(고려실, 조선실, 대한제국실) 전시품 일부를 바꿨다. 국보 3점과 보물 3점을 포함한 전시품 44건 64점으로 고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이후 처음으로 소개되는 전시품도 선보인다. 고려실에서는 고려사경(高麗寫經) 4점을 집중적으로 전시하여 불교문화 꼭지를 강화하였다. 이 가운데 3점이 고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으로 <감지은니불공견색신변진언경(紺紙銀泥不空羂索神變眞言經)>과 <감지은니묘법연화경(紺紙銀泥妙法蓮華經)>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감지은니불공견색신변진언경>은 고려 충렬왕(忠烈王, 재위 1274~1308) 때 대장경을 손으로 직접 베껴 쓰는 사경(寫經) 사업을 왕명으로 추진하였음을 보여준다. 그 근거가 되는 충렬왕의 발원 글귀가 마지막 부분에 쓰여 있다.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은 금니(金泥)와 은니(銀泥)로 화려하게 꾸미는 고려사경의 표지 형식을 잘 보여준다. 가운데에 ‘묘법연화경 권제7’이라고 쓴 제목을 배치하고 배경에 보상화문(寶相華紋)과 당초문(唐草紋)을 가득 그려 넣어 꾸미는 방식이다.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g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은 국악 브런치 콘서트 <정오의 음악회>를 5월 9일(목) 낮 11시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2009년 시작한 <정오의 음악회>는 국립극장 대표 상설 공연으로, 국악관현악을 처음 접하는 관객도 편안하게 즐길 수 있도록 친절한 해설과 함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선보인다. 아나운서 이금희가 특유의 정감 있는 해설로 관객의 이해를 돕는다. 지휘에는 국립국악관현악단 신임 부지휘자 최동호가 나선다. 공연은 젊은 작곡가들에게 3분 안팎의 짧은 관현악곡을 위촉해 선보인 ‘3분 관현악’ 시리즈에서 탄생한 작품을 만나는 ‘정오의 3분’으로 시작한다. 5월을 여는 곡은 김창환 작곡가의 ‘취(吹)하고 타(打)하다’다. 불고(吹), 친다(打)는 의미로 궁중 의식이나 잔치, 왕의 행차나 군대 행진 등에서 연주되던 궁중 ‘연례악(宴禮樂)’ 가운데 하나인 ‘취타’에 사용된 선율을 다채롭게 변주한 곡이다. 대취타의 문법을 중요한 창작 동기로 쓴 다양한 변주를 통해 ‘취타’의 핵심 선율과 장단을 새롭게 느껴볼 수 있다. ‘정오의 협연’에서는 정확한 소리 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봄을 맞이해 심화전 “옛 그림 속 꽃과 나비”(4.15.-7.28.)를 연다. 상설전시관 서화실에서 꽃과 나비가 그려진 조선시대 그림 15건을 전시해 옛사람들의 꽃과 나비에 대한 시선과 다양한 표현 방법을 소개한다. 행복과 교훈을 전해주는 나비 조선시대 나비 그림의 의미를 알아본다. 옛사람들은 나비가 장수를 상징하는 벌레라고 생각하여 나비 그림을 애호했다. 또한 나비 그림을 보면서 중국 고대 철학자 장자(莊子)의 나비 꿈 고사를 떠올리며 물아일체(物我一體, 객관과 주관이 하나됨)의 경지를 되새겼다.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가 그린 부채 그림 <나비>에 쓰인 “장자의 꿈속에 나비가 어찌하여 부채 위에 떠올랐느냐(栩栩然漆園春夢 胡爲乎幻出便圖)”라는 시구에서 이러한 생각을 확인할 수 있다. 조선 문인의 꽃 키우기 조선 문인들은 집에 꽃밭을 만들어 꽃을 심고 가꾸는 일을 즐겼다. 꽃을 키우는 일은 마음을 닦고 덕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 감상의 대상으로 꽃을 여기면서, 진기한 꽃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고, 아울러 꽃 그림에 대한 수요도 높아졌다. 특히 19세기 문인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오는 4월 23일 저녁 7시 한국문화의집(KOUS)에서는 우리 조상들의 소리와 춤, 풍류를 기리며, 잊혀 가는 민속예술의 소중한 값어치를 재조명하는 특별한 무대를 마련하였다. 이번 공연은 풀뿌리문화연구소(대표/강신구)가 주최하고 대한무용협회와 한국전통춤협회가 후원하는 “한국예인열전-기록편”이다. “한국예인열전-기록편”은 우리 소리와 춤, 풍류의 소중한 값어치를 일깨우고 비움과 쉼, 그리고 채움의 자세를 담고자 기획되었다. 멋과 흥을 지닌 참신하고 여유로운 예인들의 한 자락, 한뜻을 모두의 가슴에 담아, ‘마음으로 듣는 우리 소리, 예(禮)와 도(道)를 갖춘 우리 춤”을 통해 고유문화와 예술이 물드는 아름다운 풍토의 기회를 만들려고 한다. 이번 공연은 장으로 구성돼 있다. 먼저 1장 ’여민동락(與民同樂)‘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제92호 태평무 이수자 김향숙 아리랑국악연구소장의 강선영류 태평무, 파란천사무용단장 박금희 재일무용가 ‘무희’ 대표의 이매방류 살풀이춤, 경기도무형문화재 제8호 강강술래 승무ㆍ살풀이 이수자 홍병철의 연지도가무(한량무),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이수자 박국자의 열반환상(涅槃幻想), 국가무형문화재97호 살풀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는 4월 22일 월요일 저녁 7시 30분에는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롯데콘서트홀’에서는 파이프오르간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경험할 수 있는 무대, ‘카로스 타악기 앙상블’과 함께하는 <김희성 파이프 오르간 독주회>가 열린다. 파이프 오르간은 악기의 제왕이라 불릴 만큼 다양한 음색과 음악적 표현이 가능한 악기로, 오르간 독주부터 합주, 오케스트라 협연까지 할 수 있지만,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제한성 때문에 대중들에게는 거리가 느껴지는 악기기도 하다. 이화여대 교수로 재직중인 오르가니스트 김희성은 1995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의 독주회 이후 그림, 영상, 현대무용, 재즈, 합창단, 오케스트라, 타악기 앙상블 등과 함께 하는 무대를 선보이며, 관객에게 다가가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해왔다. 이번 공연에서는 삶에서 겪게 되는 기쁨과 슬픔, 탄생과 죽음, 시련과 회복 등의 과정 이후 남은 위로와 감사를 주제로 공연을 구성하였다. 현존하는 오르간곡 가운데 가장 유명하고 익숙한 작품인 J.S. 바흐의 ‘토카타와 푸가 BW 565’로 시작되는데, 이 곡의 피날레는 새로운 세상을 힘차게 여는 느낌. 마치 사람들에게 아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