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시계가 없는 마을이 있다. 그렇다면 이 마을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인식하고 하루를 살아갈까? 분초를 다투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시계가 없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일 것이다. ‘일본의 안데르센’으로 불리는 오가와 미메이(小川未明, 1882-1961)의 작품 가운데 <시계가 없는 마을>이 있다. 그 마을에 시계가 생기면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혼란스런 일을 그린 이 책은 ‘없음’의 상태에서 ‘있음’의 상태가 결코 좋지만은 않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그런가하면 <불은 초와 인어>라는 단편소설에서는 인간과 함께 하고픈 "인어"의 기구한 삶과 인간의 잔인성을 적나라하게 그려 어린이 동화를 뛰어 넘어 어른들에게도 많은 감동을 주고 있다. 그래서 오가와미메이를 가리켜 어른 동화작가라고 하는지도 모른다. 사실 어린이들의 이야기라는 게 알고 보면 어른들에게도 적용되는 것이라서 동화가 반드시 어린이들의 전용물은 아닌 듯싶다. 오가와 미메이는 일본 와세다대학의 전신인 도쿄전문학교를 다니던 1904년, 22살 때에 첫 작품 <방랑아(漂浪児)>를 잡지 《신소설(新小説)》에 발표하면서 작가의 길을 걷는다. 이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2017년 무계원 풍류산방 감상회(12, 9)에 초대되어 <비단타령>을 불러준 서울시 휘몰이잡가 예능보유자 박상옥 명창과 휘모리잡가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비단타령>은 서울 경기지방에서 흔히 불러온 휘모리 잡가의 하나이다. 그런데 그 종류가 다양하여 통비단, 촉대단의 단(緞)을 포함하여 조황라, 외황라의 라(羅), 좌명주, 우명주의 주(紬), 여의갑사, 조갑사 등의 사(紗), 당목, 광목 등의 목(木), 한포, 칠승포 등의 포(布), 세반저, 세경저 등의 저(苧), 등등 다양하다. 이 노래는 가사도 어렵고, 곡조나 장단구조가 특이해서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휘몰이잡가>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휘몰아간다는 빠르기일 것이고, 잡가(雜歌)란 선비들의 점잖은 노래인 정가(正歌)에 대하여 격이 떨어지는 노래라는 점, 그러므로 <휘모리잡가>는 몹시 빠르게 몰아가는 잡가이며 사설은 해학이 넘치고 과장된 것이 대부분이란 점, 그래서 요사이 유행하는 음악 장르 가운데 랩과 흡사하다는 느낌을 주는 점 등을 말하였다. 박상옥 명창은 당일 휘모리잡가와 함께 <상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입춘에 장독 깨진다더니 입춘이 지났음에도 날씨가 좀처럼 풀릴 기미가 안 보인다. 삼한사온이란 말도 사라진지 오래고 날마다 영하 10도를 오르내리는 날씨이다 보니 봄이 더욱 그립다. 지난 4일(일)은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이었다. 한국에서는 입춘에 요란스럽게 치르는 행사는 없지만 일본에서는 절분(세츠분, 節分)이라 해서 사악한 귀신을 몰아내기 위한 콩 뿌리기(마메마키) 행사가 전국의 절이나 신사(神社)에서 있었다. 절분(세츠분, 節分)은 보통 입춘 전날을 말하는데 이 때는 새로운 계절이 돌아와 추운 겨울이 끝나고 사람들이 활동하기도 좋지만 귀신도 슬슬 활동하기 좋은 때라고 여겨서인지 이날 사악한 귀신을 물리치기 위한 콩 뿌리기(마메마키) 행사를 오래전부터 해오고 있다. “복은 들어오고 귀신은 물러가라(후쿠와 우치, 오니와 소토, 福は內、鬼は外)”라고 하면서 콩을 뿌리고 볶은 콩을 자기 나이 수만큼 먹으면 한 해 동안 아프지 않고 감기도 안 걸리며 모든 악귀에서 보호 받는다는 믿음을 가져왔다. 절분행사는 예전에 궁중에서 시작했는데 《연희식, 905년》에 보면 색색으로 물들인 흙으로 빚은 토우동자(土牛童子)를 궁궐 안에 있는 사방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2017년 무계원 풍류산방 중, 황숙경과 이기옥이 불러주는 정가와 송서, 경기좌창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우락은 일종의 연정(戀情)을 담고 있는 여창가곡의 대표적인 노래라는 점, 시조와 가곡은 그 분장법이 서로 다르고, 선비들이 부르던 감정 절제의 음악이란 점, 형식이 간결하고 유연한 선율과 장단의 질서가 느껴지는 성악이란 점을 말했다. 또 송서 <삼설기>는 책 읽기로 가락을 넣어 청아하고 음악적으로 읽어 나가는 장르이며 그 내용은 3인의 선비가 죽어 염라대왕 앞에 가서 소원을 말하는데, 1선비는 높은 벼슬, 2선비는 부자를 원하였으나, 3선비는 명당에 집 짓고, 책 읽고 거문고를 벗 삼아 고기 낚고 약초를 심으며 백곡이 풍등하고, 자손이 번성하여 병 없이 오래오래 살았으면 좋겠다는 소원을 빌자, 염라대왕이 나도 못하는 것을 원한다고 야단을 치는 내용이란 점을 이야기 하였다. 제2회(12월 2) 감상회에는 김수연과 강경아의 춘향가 중, 초앞 대목을 감상했는데, 춘향으로부터 안수해(雁隨海), 접수화(蝶隨花), 해수혈(蟹髓穴) 곧 기러기가 바다를 쫒고, 나비는 꽃을 찾으며 게가 구멍을 찾는다는 말은 어찌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야나기하라 야스코 (楊原泰子, 72살) 씨를 처음 만난 것은 2011년 초로 기억된다. 그해 나는 인사동 <갤러리 올>에서 “불굴의 여성독립운동가 시화전 33인전”을 열었는데 그때 야나기하라 씨도 시화전을 보러 왔었다. 여성독립운동가를 알리는 국내 최초의 시화전은 내가 쓴 시에 이무성 한국화가가 그림을 그린 족자 형태로 마침 3・1절을 맞이하여 열었던 것이라 언론과 시민들의 반향이 뜨거웠었다. 그 역사적인 자리에 야나기하라 씨도 함께 했던 것이다. 사실 야나기하라 씨는 한국의 여성독립운동가에 관심을 갖고 있었다기보다는 민족시인 윤동주에게 관심이 큰 분이었다. 아니 관심이 컸다라고 말하기 보다는 일본에서 윤동주 연구가로 둘째가라면 서러울 만큼 독보적인 분이라고 하는 게 맞다. 현재 ‘시인 윤동주를 기념하는 릿쿄 모임(詩人尹東柱を記念する立教の会)’ 대표인 야나기하라 씨의 윤동주 사랑은 남다르다. “‘시인 윤동주를 기념하는 릿쿄의 모임’을 만든 것은 윤동주 시인을 추모함과 동시에 일제에 의한 조선 침략 역사의 진실을 많은 일본인에게 알리기 위한 것입니다. 윤동주 시인처럼 순수하고 맑은 영혼의 청년이 왜 일본땅에서 옥사해야했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연변의 조선족 전통민요협회 성립 2돌 기념공연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협회의 발전과 공연의 성공을 기원하는 뜻에서 유지숙의 염불소리인 <반메기 비나리>로 시작되었는데, 자연스럽게 울려 나오는 발성이며 음색이 정겹고, 부드러웠다는 이야기, 한국 항두계놀이 측에서 준비한 순서는 <영천아리랑> <온성아리랑>, <신 서도 아리랑> 등의 아리랑 계열의 노래와 서도좌창 <초한가>, 그리고 <개성난봉가>와 <양산도>, <정선아리랑>과 같은 민요 등으로 객석에서 함께 따라 부를 정도로 대단한 반응을 보였다는 이야기를 했다. 중국 조선족 동포들의 출연자는 60여명이 넘었으며 장새납의 김용일 교수를 비롯한 기악 반주팀의 연주로 전통민요, 신민요의 독창이 중심을 이루었다는 이야기, 전문 성악인의 노래는 대부분 힘찬 발성과, 아름다운 목소리로 열띤 호응을 받았고, 신 별주부전의 <난감하네>라든가, 남도민요 <새타령> 등은 남도의 창법과 분위기를 잘 살렸다는 이야기가 뎥들여졌다. 이와함께 연변지역 동호인들 그룹이 부른 <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고령화 시대를 맞아 일본도 한국처럼 일부 지방도시의 인구 감소는 심각한 수준이다. 그런데 유달리 젊은 엄마들이 선호하는 곳이 있어 화제다. 아이치현 북서부에 자리한 나가쿠테시(長久手市)가 그곳이다. 나가쿠테시는 나고야시(名古屋市) 북서부에 자리하고 있는 중소도시지만 젊은 층이 꾸준히 유입되어 일부 초등학교는 6~7개 반을 편성할 만큼 인구가 늘고 있다. 젊은 세대의 유입에 성공한 도시로 인정받고 있는 나가쿠테시는 40년 째 인구가 줄지 않고 오히려 늘고 있다. 대관절 그 비결은 무엇일까? 첫 번째가 이케아 같은 대형 쇼핑센터가 여럿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일본에서 9번째로 큰 이케아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인구 유입의 필수는 쇼핑 시설이라는 것을 여실히 증명해주고 있다. 두 번째는 이 도시의 반경 1시간 이내에 도요타 등 자동차 공장을 비롯한 생산시설이 자리하고 있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아빠의 일터가 멀지 않은 곳에 가족이 살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대도시보다 싸면서 쾌적한 주택이 구비되어 있는 점이다. 일본의 좁고 노후화된 집을 탈피한 세련되고 살고 싶은 디자인의 단독주택 단지에다가 다닥다닥 붙여 짓지 않은 쾌적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연변에 조선족민요 협회가 조직되고, 성립 2주년을 맞아 기념식과 함께 기념공연에 관련된 이야기를 하였다. 공연은 2017년 12월 8일, 연변대학 예술학원 종합 실천극장에서 <어울림의 향연>이라는 이름을 달고 성황리에 막을 열었다는 이야기, 연변 예술계의 원로 음악인이나, 예술단, 대학교원, 등 그 지역의 문화예술인들이 대거 참석하였다는 이야기, 한국 측에서는 <항두계놀이 보존회> 유지숙 명창 외 8명이 초청을 받고 참석하였으며 연변TV 방송에서 녹화를 할 정도로 관심도가 높았다는 이야기를 했다. 최성룡 회장은 조선민족의 얼과 영혼이 새겨져 있는 전통민요를 중국 전역, 나아가서는 지구촌 방방곡곡에 널리 알리고 전승시키는 노력을 하겠다는 포부를 밝혔고, 필자는 ‘남한과 북한, 그리고 연변의 민요가 사설이나 창법, 장단, 시김새 등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하는 학술적 연구도 병행해야 한다는 점과 조선족 민요를 중국의 비물질 문화재로서 지정하는 긍정적 검토를 기대한다고 이야기를 했다. 또한 연변예술학원의 리훈 학장도 동 협회가 지난 2년간 거둔 성과들이 전반 조선족 음악예술사회에 가져다 준 의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사람이 전기를 만들었다 / 전기가 편리함을 낳았다 편리함이 비만을 불렀다 / 그런가? 전기를 줄이자 사람이 전기를 늘렸다 / 전기가 CO2를 늘렸다 CO2가 재해를 늘렸다 / 그런가? 전기를 줄이자 하지만, 전기를 줄이면 편리함이 사라진다 편리함이 사라지면 시간이 줄어든다 시간이 줄어들면 돈이 줄어든다 돈이 줄어들면 행복이 줄어든다 과연 그럴까? - 야후제팬, “비전화공방(非電化工房)” 누리집- 한국에서는 좀 생소한 “비전화공방(非電化工房)”이라는 것이 일본에서는 꽤 알려졌다. 풀이하면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물건(도구)’라고 해야 얼른 이해가 쉬울 것이다. 비전화공방(非電化工房)이란 전기를 절약하는 것과는 다르다. 이것은 애시당초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사용하자는 것으로 이러한 주장에 대해 슬슬 일본 사회에서 호응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비전화공방(非電化工房)의 선구자는 아무래도 후지무라 야스유키 (藤村靖之, 1944~) 씨를 들 수 있다. 일본의 발명가인 그는 오사카 대학에서 공학박사 학위를 받은 사람으로 공기청정기 등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가능한 많은 발명품을 만들어 낸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일본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국 연변의 <조선족 전통민요협회>의 성립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였다. 전통민요의 확산운동을 위해 협회를 조직하였고, 동 협회가 성립 2주년을 맞이하면서 “어울림의 향연”이라는 이름으로 기념음악회를 열었다는 이야기, 동 협회는 민요의 기본적인 이론 연구와 함께 올바른 전승이나 보존, 보급 차원을 넘어서 본격적인 확산운동을 시작했다는 이야를 했다. 또 연변의 음악환경이 다양하게 변화하게 된 원동력은 음악문화의 소중함을 깨달은 조선족 동포들과, 원로 성악가 전화자 교수, 이를 따르는 젊은 제자들이 포진되어 있어 가능했다는 이야기, 이러한 민요의 확산화 사업을 위해서는 유능한 제자들의 양성이 급선무였는데, 대학에서 학생들을 양성하는 한편, 한국의 유학을 독려한 것이 큰 힘이 되었다는 이야기, 조선족 민요협회를 조직함에 있어서도 유학파 젊은 제자들이 앞장을 서서 가능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동 협회의 성립 기념식과 기념공연에 관한 이야기를 이어가기로 한다. 공연은 2017년 12월 8일, 연변대학 예술학원 종합 실천극장에서 “어울림의 향연”이라는 이름을 달고 성황리에 막을 열었다. 이 자리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