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절에 가면 소리 나는 사물(四物)이 있습니다. 범종(梵鍾)ㆍ목어(木魚)ㆍ운판(雲版)ㆍ법고(法鼓)가 그것이지요. 법고는 대체로 소가죽으로 만듭니다. 북을 울리며 네다리로 걷는 축생들의 복을 비는 것이지요. 운판은 청동 재질의 구름 모양으로 만든 판입니다. 구름은 하늘에 있는 것이니 날짐승의 복을 빌기 위함입니다, 목어는 물고기 형상이니 물속 생물들의 복을 빌기 위함이고 마지막으로 범종은 현세를 사는 중생들의 복을 빌기 위한 물건이지요. 범종은 아침에는 33번 저녁에는 28번을 치는데 이는 아침에는 삼심삼천에 저녁에는 이십팔수에 종소리가 들리라는 의미이지요. 서양종과 동양종의 차이점은 크기에도 있지만 치는 방법의 다름에 있습니다. 서양종은 공이가 내부에 존재하지만, 동양종은 외부에 존재하지요. 세계에서 가장 큰 종은 러시아에 있는 짜르벨로 200톤이 넘습니다. 그 거대한 종의 공이도 내부에 존재합니다. 그러니 서양에서는 종이 클수록 치는 것이 어려웠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종은 평화의 댐에 있는 세계평화의 종입니다. 세계 각지의 전쟁과 분쟁지역에서 보내온 탄피를 녹여 만든 종으로 만 관의 무게지요. 곧 37.5톤입니다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까지가 가짜일까? 구분하기 참으로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이는 마치 조화가 더 생화 같아서 가짜를 진짜로 쉽게 믿어버리는 세상과 닮았습니다. 앱의 발달로 그래픽을 조작하여 진실을 왜곡시키는 일은 이미 고전이 되었고 첨단 과학으로 만들어졌다는 쳇지티피(GTP)도 거짓 정보와 거짓 영상을 만들어 유포시키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가짜의 정교함이 위조지폐를 닮아서 자세히 보고도 속내를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날마다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어느 것이 진실이고 가짜인지 ‘팩트 체크’라는 말처럼 누군가 전문가가 나서서 진실을 가려줘야 진실이 되는 것인지 그 팩트체크도 특정한 관점과 해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그것은 믿어도 되는 것인지 도무지 헷갈리는 세상에 직면해 있습니다. 앞으로 인공지능이 더욱더 발달할 것인데 그 인공지능이 만들어 내는 결과물은 믿어야 하는 것인지도 의문입니다. 유튜브 검색하면 빅데이터와 알고리즘이 내가 좋아할 만한 기사들만 물어다 뿌려줍니다. 그것이 편향적 인지 왜곡을 부추기고 있음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항상 깨어 있으라는 말을 듣고 살지만 눈만 뜨고 있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