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6.1℃
  • 맑음강릉 18.0℃
  • 맑음서울 15.5℃
  • 맑음대전 17.0℃
  • 구름조금대구 16.3℃
  • 구름많음울산 16.8℃
  • 구름많음광주 17.2℃
  • 흐림부산 17.2℃
  • 맑음고창 16.2℃
  • 흐림제주 15.5℃
  • 맑음강화 15.1℃
  • 맑음보은 14.9℃
  • 맑음금산 15.7℃
  • 구름많음강진군 16.1℃
  • 구름조금경주시 17.0℃
  • 흐림거제 15.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범종ㆍ목어ㆍ운판ㆍ법고 곧 사물(四物)

잠을 잘 때도 눈을 감지 않는 물고기는 늘 깨어있으라는 이야기
[정운복의 아침시평 255]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절에 가면 소리 나는 사물(四物)이 있습니다.

범종(梵鍾)ㆍ목어(木魚)ㆍ운판(雲版)ㆍ법고(法鼓)가 그것이지요.

 

법고는 대체로 소가죽으로 만듭니다.

북을 울리며 네다리로 걷는 축생들의 복을 비는 것이지요.

운판은 청동 재질의 구름 모양으로 만든 판입니다.

구름은 하늘에 있는 것이니 날짐승의 복을 빌기 위함입니다,

 

목어는 물고기 형상이니

물속 생물들의 복을 빌기 위함이고

마지막으로 범종은 현세를 사는 중생들의 복을 빌기 위한 물건이지요.

범종은 아침에는 33번 저녁에는 28번을 치는데

이는 아침에는 삼심삼천에 저녁에는 이십팔수에 종소리가 들리라는 의미이지요.

 

 

서양종과 동양종의 차이점은 크기에도 있지만

치는 방법의 다름에 있습니다.

서양종은 공이가 내부에 존재하지만, 동양종은 외부에 존재하지요.

 

세계에서 가장 큰 종은 러시아에 있는 짜르벨로 200톤이 넘습니다.

그 거대한 종의 공이도 내부에 존재합니다.

그러니 서양에서는 종이 클수록 치는 것이 어려웠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종은 평화의 댐에 있는 세계평화의 종입니다. 세계 각지의 전쟁과 분쟁지역에서 보내온 탄피를 녹여 만든 종으로 만 관의 무게지요. 곧 37.5톤입니다. 현재 세계평화의 종은 9,999관으로 되어 있습니다. 비둘기의 날개 부분 1관을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고 있으니 미완성인 종이지요. 통일되는 날 종을 완성한다고 합니다.

 

이야기가 옆으로 샜습니다.

하여튼 불가에서는 소리가 중요합니다.

독경 소리, 염불 소리, 목탁 소리, 사물의 타종 소리.....

 

목탁이 물고기 모양이라는 것을 아시나요?

현재 변형된 모습으로 물고기를 연상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목탁은 목어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탁(鐸)은 원래 중국에서 사용했던 악기로 작은 종과 비슷하니

'목탁'이란 명칭은 '나무로 만든 탁'이란 뜻이지요.

 

물고기는 잠을 잘 때도 눈을 감지 않으니 늘 깨어있으라는 이야기일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