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8 (금)

  • 맑음동두천 11.9℃
  • 흐림강릉 2.7℃
  • 맑음서울 11.0℃
  • 구름조금대전 11.1℃
  • 구름많음대구 10.9℃
  • 구름많음울산 12.6℃
  • 구름많음광주 10.0℃
  • 흐림부산 14.1℃
  • 맑음고창 6.6℃
  • 구름많음제주 10.5℃
  • 맑음강화 9.9℃
  • 구름많음보은 8.1℃
  • 구름많음금산 10.2℃
  • 구름많음강진군 10.3℃
  • 구름많음경주시 13.1℃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정운복의 아침시평

전체기사 보기


균형 잡힌 시각

[정운복의 아침시평 247]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사막을 여행하는 사람에게는 물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지만 물에 빠져 죽어가고 있는 사람에겐 물은 저주의 대상입니다. 물은 같은 물이지만 어떤 상황, 어떤 사람에게는 축복이 되고, 또 다른 상황, 또 다른 사람에게는 저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것을 우린 상대성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삶의 대부분에 상대성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돈은 사람들에게 행복과 안정을 가져다주지만, 돈에 대한 탐욕은 파멸로 이어질 수 있고 지식은 세상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지만, 잘못된 지식은 오히려 사회를 혼란에 빠뜨릴 수 있으며 사랑은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지만, 질투와 소유욕은 고통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모든 것은 상대적인 값어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것이 좋고 나쁨을 단정적으로 판단하기란 쉽지 않지요. 우린 각자의 상황과 관점에 따라 세상을 다르게 해석하고, 그에 따라 값어치 판단을 내리기 때문입니다. 균형 잡힌 시각은 세상을 보는 또 다른 창입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시각은 마치 렌즈에 먼지가 낀 것처럼 세상을 왜곡하여 보여줍니다. 지나치게 낙관적이면 현실의 문제점을 간과할 수 있고 지나치게 비관적이면 희망을 잃게 될

은빛 조각, 상고대

[정운복의 아침시평 246]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겨울 산행의 백미는 상고대입니다. 앙상한 나뭇가지 위에 하얀 눈꽃이 소복이 내려앉은 풍경 아주 작은 나뭇가지 하나하나에도 속속들이 들러붙은 순백의 결정(結晶)은 한겨울에만 느낄 수 있는 멋진 조각품입니다. 상고대는 영하의 기온에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나뭇가지 등에 부딪혀 얼어붙어 만들어지는 아름다운 자연 현상입니다. 마치 겨울잠에 든 나무들이 꿈속에서 피워낸 순백의 꽃송이 같기도 하고, 은빛 눈송이가 만들어낸 조각 작품 같기도 합니다. 햇살에 반짝이는 상고대는 보는 이의 마음을 순수하게 정화하고, 겨울의 삭막함을 잊게 만드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상고대는 영하의 기온과 높은 습도, 그리고 바람이 빚어놓은 예술품입니다. 힘든 겨울 산행에서 어느 순간 눈앞에 펼쳐지는 상고대는 신비로움 그 자체입니다. 밤새 내린 서리가 나무를 하얗게 물들여 마치 동화 속 한 장면을 연출하고 햇살에 빛나는 상고대는 눈부신 아름다움을 자랑합니다. 자연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지요. 상고대의 아름다움을 보려면 고된 인내가 필요합니다. 새벽녘, 혹한의 추위를 견디며 산을 올라야만 만날 수 있는 풍경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게걸음과 다른 가재걸음

[정운복의 아침시평 245]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옛날엔 종다리(대오리나 싸리 따위로 엮어 만든 작은 바구니) 들고 앞 개울만 나가도 가재가 지천으로 있었습니다. 요즘엔 전기의 영향인지 아니면 1급수가 적어서 그런지 가재를 보기가 쉽지 않습니다. 엊그제 두륜산 중턱에서 가재를 보았으니 유년 시절의 기억이 소환되어 무척이나 반가웠습니다. “가재는 게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생긴 것이 비슷하니 같은 편이라는 뜻이겠지요. 하지만 게걸음과 가재걸음은 차이가 큽니다. 게는 오직 옆으로만 걸어 다닙니다. 어미 게가 나처럼 똑바로 걸으라고 시범을 보일지라도 그 똑바름이라는 것이 옆으로 걷는 것이지요. 그에 비하여 가재는 앞으로 어슬렁어슬렁 걸어 다닙니다. 그러다가 위험에 직면하면 꼬리를 이용하여 쏜살같이 뒤로 물러나 자신을 보호합니다. 가재가 뒤로 가는 모습은 역행하고 퇴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생존을 위한 최적의 선택입니다. 어쩌면 가재걸음이 아니라 가재의 회피 행동이라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요즘 아이들에게 가재를 설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그저 인터넷서핑이나 사진 자료를 통하여 설명해 주는 것이 대부분인데 가재의 생활상을 제대로 알려주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가재도 아가미가

세 사람만 우기면 없는 호랑이도 만드는 세상

산사의 풍경처럼 늘 깨어 있으라 [정운복의 아침시평 244]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전국시대 위(魏)나라의 방총(龐蔥)이라는 고위 관리가 태자와 함께 조나라 서울 한단에 인질로 끌려가게 되었습니다. 떠나기 하루 전 방총이 임금을 찾아가서 묻습니다. "지금 어떤 사람이 시장 한복판에 호랑이가 나왔다고 하면 믿으시겠습니까?" "아니요. 믿을 수 없소" "그러면 두 사람이 호랑이를 보았다고 이야기하면 믿으시겠습니까?" "글쎄요 의심스럽기는 하지만 믿을 수는 없을 것 같소." "그럼 세 사람이 호랑이를 보았다고 이야기하면 믿으시겠습니까?" "그렇다면 믿지 않을 수 없소." 방총은 시장에 호랑이가 나온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이야기지만 세 사람이 말하면 이처럼 그럴듯해 보인다고 임금에게 말하지요. 그리고 자신이 조나라에 가면 세 명보다 많은 사람이 자신을 험담하게 될 것이지만 신경 쓰지 말아 달라고 부탁합니다. 임금은 알았다고 대답했습니다. 방총이 조나라로 간 다음 날부터 임금에게 방총을 험담하는 사람이 나타났고 훗날 태자는 인질에서 풀려나 위나라로 돌아왔지만, 방총은 결국 임금의 의심을 받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방총의 위처럼 비유로 말했음에도 자신을 스스로 구해내지 못한 것이지요. ‘증삼살인(曾參殺人)’이라는 고사도

천하의 세 가지 위험

재능 없이 높은 자리에 오르면 조직의 붕괴를 초래해 [정운복의 아침시평 243]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중국 전한의 회남왕 유안이 지은 회남자에는 '천하유삼위(天下有三危)'가 나옵니다. 곧 천하에는 세 가지 위험이 있다는 말씀이지요. 소덕이다총 일위야(少德而多寵 一危也) 재하이위고 이위야(才下而位高 二危也) 신무대공이유후록 삼위야(身無大功而有厚祿 三危也) "덕이 적은데도 총애를 많이 받는 것이 첫 번째 위험이고 재능이 없으면서도 지위가 높은 것이 두 번째 위험이고 자신에게 큰 공적이 없는 데도 높은 자리와 봉록을 받는 것이 세 번째 위험이다." 덕이 부족한 사람이 권력을 쥐면, 그 권력은 개인의 이익을 위해 남용되기 쉽습니다. 역사적으로 덕이 부족한 군주들은 백성을 착취하고, 나라를 혼란에 빠뜨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로, 능력보다는 인맥이나 배경으로 높은 자리에 오른 사람들은 공공의 이익보다는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부정부패를 저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재능이 없으면서도 높은 자리에 오른 사람은 그 자리에 걸맞은 소임을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조직 전체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결국에는 조직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도력이 요구되는 자리에서 능력이 부족한 사람이 자리를 차지하면, 조

우리 스스로 오랑캐라고 자처하다니

비례부동, 명나라 의종의 친필을 새긴 것 [정운복의 아침시평 242]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우리나라 지형의 특징은 동고서저(東高西低)입니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큰 강은 서쪽인 서해로 흘러갑니다. 그런데 중국은 우리와 반대여서 서고동저(西高東低) 지형입니다. 황하나 양자강이 모두 동쪽으로 흘러 황해로 들어가지요. ‘만절필동(萬折必東)’은 충북 괴산군 화양구곡에 새겨져 있기도 하고 가평 조종천의 만동묘에 새겨져 있기도 합니다. "만 번 꺾여도 반드시 동쪽으로 흐른다."라는 의미의 글은 우리나라와는 상관없는 중국과 관련된 글귀이지요. 어쩌면 ‘사필귀정(事必歸正)’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중국에 대한 사대(事大)의 의미가 큽니다. 우리나라의 서쪽에서 물이 동류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그런데 지형상 사행천으로 굽이굽이 흐르다 보면 잠시 동쪽으로 흐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곳이 중국과 닮았다고 여겨서 중국 황제를 기리는 만동묘를 세웠습니다. 만동묘는 중국의 만력제와 마지막 황제인 의종을 모시는 사당입니다. 그런데 만동묘를 오르는 마지막 계단은 중국 황제를 상징하는 9층으로 만들어졌고 경사를 70도 안팎으로 가파르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이는 조선의 백성이 천자를 뵈러 올라가면서 똑바로 서서 올라갈 수 없도록 만든 의도가

가난한 사람들의 무기

국민이 주인입니다 [정운복의 아침시평 241]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요즘 주말 광화문을 봅니다. 촛불 대신에 응원봉을 들고 축제같은 시위문화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자신의 의견을 비폭력적으로 축제같은 모습으로 표출하고 있는 것이지요. 펜은 칼보다 강하고 촛불은 총구보다 강합니다. 역사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의 무기는 중요합니다. 원래 무기는 강자의 상징이지만. 역사 속에서 가난한 사람들의 무기는 끊임없이 등장합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억압받는 자들의 저항 도구입니다. 역사 속 혁명과 저항의 현장에서 가난한 사람들은 돌멩이, 낫, 맨손까지도 무기로 사용하며 권력에 맞서왔지요. 이번 계엄령이 포고된 12월 3일 국회의사당 근처에서 맨몸으로 군인들의 장갑차를 막은 시민을 봅니다. 이는 단순한 물리적인 힘의 표출뿐 아니라, 희망을 잃지 않고 정의를 향해 나아가는 강렬한 의지의 표현입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더욱 다양한 형태의 가난한 이의 무기가 등장합니다. 그 살벌한 계엄의 현장에서도 슬기말틀(스마트폰)을 이용한 현장중계로 가난하고 힘없는 대중이 지식과 정보를 무기 삼아 사회 변화를 끌어냅니다. 인터넷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하니까요.

아름다움 속에 숨겨진 위험

[정운복의 아침시평 240]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들꽃은 자연이 선물하는 아름다운 예술 작품입니다. 하지만 아름다운 외모 뒤에 독을 숨기고 있는 들꽃도 있습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들꽃 가운데는 만지거나 섭취했을 때 인체에 해로운 독성을 지닌 종류가 적지 않습니다. 식물은 왜 독을 가지게 되었을까요? 식물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진화시켜 왔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독성 물질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독은 초식동물이나 곤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여 번식을 위한 생존 전략으로 사용됩니다. 9월의 산에는 보라색의 아름다운 꽃이 있습니다. 각시투구꽃이 그것인데요, 이름만큼이나 아름다운 자태를 가진 꽃입니다. 투구를 쓴 듯한 독특한 꽃 모양이 매력적이죠. 하지만 이 아름다운 꽃은 강력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 조심해야 할 식물 가운데 하나입니다. 주로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며 '죽음의 꽃'이라고도 불립니다. 각시투구꽃의 독성은 주로 뿌리에 있습니다. 그것을 '초오'라고 하기도 하고 까마귀의 머리와 비슷하여 '오두'라고 하기도 합니다. 오래전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이 독을 화살촉에 발라 이용하기도 하였지요. 초오(草烏)는 신경계를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