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김울림)은 개관 5돌 기림 특별전 ‘미륵사터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의 기록-’의 전시 기간을 연장하여 5월 25일(일)까지 운영한다. 이번 전시는 최근 보존 처리를 마친 동원 승방터 출토 치미와 문헌 기록에 전하는 거작(拒鵲 *새가 앉지 못하도록 치미의 날개 구멍에 꽂는 금속 막대)의 실제 사례를 처음 선보였다는 점에서 연구자들을 비롯하여 일반대중들의 호응을 이끌었다. 지난 1월 10일(금)에는 특별전 연계 학술대회 ‘익산 미륵사지 출토 치미 제작과 복원’을 열어 ‘익산 미륵사터 치미에 대한 고찰’, ‘미륵사터 출토 치미 복원과 과제’ 등의 연구 성과를 안팎에 공유하기도 하였다. 국립익산박물관은 더 많은 관람객에게 전시 관람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12주 연장 전시를 결정했다. 백제 가장 큰 절, 미륵사의 옛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이번 전시에 앞으로도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전시는 입장료는 없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김울림)은 전시를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수어 전시해설 영상’을 제공한다. 이번 수어 전시해설 영상은 문화체육관광부의‘2024년 전시정보 수어영상 제작 지원사업’에 뽑힘에 따라 제작되었다. 전시품 이해를 돕는 수어 해설 영상 영상은 상설전시실의 미륵사터 사리장엄구,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등 주요 문화유산을 비롯해 국내 유일의 유적 밀착형 국립박물관의 특성을 반영한 미륵사터 유적의 주요 설명과 수어 통역이 제공된다. 각 영상에는 화면 해설과 자막을 포함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정보무늬(QR코드) 전단을 통한 관람 편의성 증대 관람객들은 정보무늬가 포함된 전단을 활용해 슬기말틀(스마트폰)로 간편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설전시실 입구에 배포된 전단을 통해 모두 30개의 수어 영상을 시청할 수 있으며, 각 영상은 3~4분 안팎으로 쉬운 설명을 적용하였다. 내달부터는 박물관 누리집과 유튜브 채널을 통해서도 공개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국립익산박물관은 지난 4월 익산시장애인종합복지관과 발달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전시해설 프로그램 운영한 바 있으며, 모두를 위한 박물관 환경 조성을 위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지난 1월 22일부터 내년 3월 3일까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국립익산박물관’에서 <미륵사터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의 기록>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특별전 <미륵사터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의 기록>은 국립익산박물관의 중장기 학술조사연구 ‘미륵사터 재발견’ 사업의 하나로 선보이고 있다. 예부터 치미는 격이 높은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양 끝을 장식하는 기와로, 치문(鴟吻), 취두(鷲頭), 반우(反羽), 루미(樓尾)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한반도에서는 4세기 중후반에 축조된 고구려 안악1호 무덤 벽화 등에서 초보적인 형태의 치미가 확인된다. 7세기에 조성된 미륵사터에도 다양한 형태와 문양을 담은 치미가 출토되었다. 비록 완전한 모양이 아닌 조각으로 존재하지만, 이 유물들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축적된 역사의 흔적이다. 백제의 마지막 수도 익산, 무왕(武王, 재위 600~641)이 창건한 백제 가장 큰 규모의 절 미륵사, 하늘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절의 지붕을 장식했던 치미의 다종다양함을 볼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김울림)은 오는 11월 7일과 12월 5일에 특별전 ‘미륵사터 출토 치미 –제작ㆍ폐기ㆍ복원의 기록-’ 연계 강연을 한다. 이번 특별전은 국립익산박물관 중장기 학술조사연구 ‘미륵사터 재발견’ 사업의 하나로 마련되었으며, 미륵사터 출토 치미의 원형을 추적하기 위해 고고학적, 미술사적 검토와 과학적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치미 제작기법과 보존ㆍ수복 성과를 소개하는 전시다. 이번 강연은 <치미, 고대 건축의 의미>라는 제목으로 고대 건축물에서 치미가 어떤 상징과 특성을 지니는지 파악할 수 있는 시간이다. 또 이번 강연은 지역민 대상으로 이루어지며, 11월 7일에는 김유식 원장(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 고대 치미의 특징과 변천을 주제로 강연한다. 강의 시작 전 특별전을 직접 기획한 전시기획자의 해설이 있을 예정이다. 12월 5일은 이병호(동국대학교 문화재학과) 교수가 ‘동아시아 치미’를 주제로 강연을 펼친다. 특별전 ‘미륵사지 출토 치미 –제작, 폐기, 복원의 기록-’연계 강연 신청은 현재 국립익산박물관 누리집(http://iksan.museum.go.kr)에서 접수할 수 있다. (성인 80명)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김울림)은 오늘 10월 22일(화)부터 2025년 3월 3일(월)까지 개관 5돌을 기려 특별전 ‘미륵사터 출토 치미 - 제작, 폐기, 복원의 기록’을 연다. 이번 전시는 국립익산박물관 중장기 학술조사연구 ‘미륵사지 재발견’ 사업의 하나로 마련되었으며, 미륵사터 출토 치미의 원형을 추적하기 위해 고고학적, 미술사적 검토와 과학적 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치미 제작기법 및 보존ㆍ수복 성과를 소개한다. 예부터 치미는 건축물의 지붕 용마루 두 끝을 장식하는 기와로, 치(문鴟)吻, 취두(鷲頭)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한반도에서는 4세기 중후반에 축조된 고구려 안악1호 무덤 벽화 등에서 초보적인 형태의 치미가 확인되며, 7세기에 조성된 미륵사터에도 다양한 형태와 무늬를 담은 치미 편이 900여 점 출토되어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비록 완전한 모양이 아닌 조각으로 전하지만, 백제 가장 큰 절 미륵사의 옛 모습을 추정할 수 있는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평가된다. 이번 전시는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타임캡슐과도 같은 치미의 제작, 폐기, 복원의 과정을 살펴본다. 전시는 모두 3부로 구성되었다. <1부 과학기술과 보존ㆍ수복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백제시대 공예품의 정수(精髓)라고 알려진 보물 「익산 미륵사터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를 국가지정문화재(국보)로 지정하고, 「대방광불화엄경소 권88」, 「손소 적개공신교서」, 「이봉창 의사 선서문」 등 고려․조선 시대 전적, 근대 등록문화재 6건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였다. 국보 「익산 미륵사터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는 2009년 익산 미륵사터 서탑 심주석(心柱石, 탑 구조의 중심을 이루는 기둥)의 사리공(舍利孔, 불탑 안에 사리를 넣을 크기로 뚫은 구멍)에서 나온 유물로서, 639년(백제 무왕 40년) 절대연대를 기록한 금제 사리봉영기(金製 舍利奉迎記)와 함께 금동사리외호(金銅舍利外壺)와 금제 사리내호(金製 舍利內壺), 각종 구슬과 공양품을 담았던 청동합(靑銅合)을 포함해 모두 9점이다. * 사리장엄구(舍利莊嚴具): 사리를 불탑에 안치할 때 사용하는 용기나 함께 봉안되는 공양물(供養物) 등을 통틀어서 가리키는 말. 의식에 맞추어 사리를 봉안하는 데 필요한 기구(器具)를 빠짐없이 갖추어 둔 것이라는 뜻에서 ‘사리갖춤’이라고도 함 사리장엄구 가운데 금제 사리봉영기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최흥선)은 어린이들의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세계유산 미륵사터와 연계한 유적밀착형 가족 교육 <구석구석 미륵사터 탐험대>와 백제왕궁박물관과 함께 하는 교육 <서동과 고도익산 한바퀴>를 운영한다. <구석구석 미륵사지 탐험대>는 7월 23일(토)부터 8월 13일(토)까지 수, 목, 토 3회 09:40~11:40에 운영한다. 이 교육은 초등학교 어린이 동반 가족을 대상으로 국립익산박물관 어린이박물관과 상설전시실, 미륵사지를 탐험하며 임무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이다. 모든 임무를 해결하면 <찾아라! 무왕의 꿈> 보드게임과 메모리게임 꾸러미를 받아 집에서도 미륵사터에 대해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다. <서동과 고도익산 한 바퀴>는 국립익산박물관과 백제왕궁박물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8월 17일(수)부터 8월 20일(토) 14:00~17:00에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두 박물관 전시실을 탐험하며 미륵사터, 왕궁리 유적, 쌍릉, 제석사터 등에 대해 알아보고 고도익산에 대해 이해하는 프로그램이다. 두 박물관에서 모든 임무를 해결하면 특별한 혜택이 주어진다. <구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