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풋풋한 사랑 이야기로 황순윈님의 <소나기>만 한 작품도 없습니다. 소년은 개울가에서 소녀를 발견하지요. 징검다리를 차지하고 물장난하는 소녀를 소년은 먼발치에서 지켜봅니다. 그때 소녀는 소년에게 "바보"라고 하며 조약돌을 던지고 갈대밭 사이로 사라집니다. 이 조약돌은 소년의 주머니에서 소녀를 그리는 정표가 됩니다. 2010년엔 드라마 <추노>가 방영되었지요. 노비 신분이었던 언년이(이다해)는 양반가 도련님 이대길(장혁)의 사랑을 받았습니다. 추운 겨울날 고생하는 언년이를 위해 대길이는 불에 달궈진 따뜻한 조약돌을 건넵니다. 언년이는 그 조약돌을 신줏단지처럼 지니고 다닙니다. 신분을 넘어선 사랑은 조약돌처럼 단단했지만, 운명은 그 둘을 받아들이지 않았죠. 저는 8년 연애 뒤에 결혼하였습니다. 연애 3년 차 생일 때 아내는 목각으로 된 목이 긴 신발 한쪽을 나에게 선물로 주었습니다. 뭐 크게 소용되는 물건도 아니어서 책꽂이 한 귀퉁이에서 먼지를 뒤집어쓰고 5년을 보냈습니다. 결혼하고 살림을 합치던 날, 아내의 짐 속에서 나머지 한 쪽 신발을 발견하고는 그제야 그 선물의 의미를 알았습니다. 뒤에 목각 신발 한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사막을 여행하는 사람에게는 물이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이지만 물에 빠져 죽어가고 있는 사람에겐 물은 저주의 대상입니다. 물은 같은 물이지만 어떤 상황, 어떤 사람에게는 축복이 되고, 또 다른 상황, 또 다른 사람에게는 저주가 될 수 있다는 것이지요. 이것을 우린 상대성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삶의 대부분에 상대성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돈은 사람들에게 행복과 안정을 가져다주지만, 돈에 대한 탐욕은 파멸로 이어질 수 있고 지식은 세상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지만, 잘못된 지식은 오히려 사회를 혼란에 빠뜨릴 수 있으며 사랑은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지만, 질투와 소유욕은 고통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모든 것은 상대적인 값어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것이 좋고 나쁨을 단정적으로 판단하기란 쉽지 않지요. 우린 각자의 상황과 관점에 따라 세상을 다르게 해석하고, 그에 따라 값어치 판단을 내리기 때문입니다. 균형 잡힌 시각은 세상을 보는 또 다른 창입니다. 한쪽으로 치우친 시각은 마치 렌즈에 먼지가 낀 것처럼 세상을 왜곡하여 보여줍니다. 지나치게 낙관적이면 현실의 문제점을 간과할 수 있고 지나치게 비관적이면 희망을 잃게 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취우(驟雨, 소나기) - 추사 김정희 樹樹薰風葉欲齊(수수훈풍엽욕제) 나무 사이에 더운 바람 불어 잎들이 나란한데 正濃黑雨數峯西(정농흑우수봉서) 몇몇 봉우리 서쪽에 비 품은 구름 새까맣네 小蛙一種靑於艾(소와일종청어애) 쑥빛보다 더 파란 한 마리 청개구리 跳上蕉梢效鵲啼(도상초초효작제) 파초 잎에 뛰어올라 까치 울음 흉내 내네 추사 김정희가 쓴 글 가운데는 한여름 소나기가 내린 정경을 노래한 <취우(驟雨)>란 제목의 한시도 있다. ‘취우(驟雨)’는 소나기를 말하는데 요즘처럼 한여름을 불볕더위가 극성을 부릴 때 사람들이 기다린다. 지루하게 오래 내려 기청제를 지내야 하는 장맛비와는 달리 후두둑 내리기 시작하여 시원하게 쏟아붓고는 저 멀리 예쁜 무지개를 하늘에 걸어 놓고 언제 그랬냐는 듯 사그라진다. <취우>를 읽으면 멀리 산봉우리 서쪽에는 비를 품은 새까만 구름이 몰려오는데, 파란 한 마리 청개구리가 파초 잎에 뛰어올라 까치 울음 흉내 내고 있다고 노래한다. 시는 이렇게 시각(視覺)과 청각(聽覺)이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어 1930년대 모더니즘 계열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평가되는 김광균의 “와사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