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 명창, '유성화'를 부르고 깜짝 ‘한량무’를 추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어제 11월 4일 낮 3시 서울 인사동 남인사마당에서는 (사)전통문화예술진흥원(이사장 유창)이 주최하고, 종로구가 후원하는 <2023 종로음악이야기>가 열렸다. 동국대학교 김세종 교수가 사회를 본 공연은 문굿으로 시작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 그리고 다시 봄으로 이어지며 세상을 노래했다. 우선 문 여는 공연에서 눈에 띈 것은 한채호 등 11명의 초등학생이 나와 송서 <천자문>과 <소년이노학난성>을 소리한 것이었다. 그 어린 학생들이 낭랑한 목소리로 천자문을 외움에 관객들은 크게 손뼉을 쳤다. 선비의 낭랑한 글 읽는 소리’는 갓난아이의 울음소리, 다듬이소리와 함께 “세상에서 가장 듣기 좋은 소리의 하나”라고 했지만, 여기 아이들이 힘찬 목소리로 <천자문>을 외우는 소리는 그 모든 것을 뛰어넘는 소리가 아니던가? 이후 산타령과 양승미류 진쇠춤 군무로 봄을 표현하고 여름을 묘사하는 공연으로 서울시무형문화재 장대장타령 예능 보유자 최영숙과 김혜영 명인이 나서 장대장타령을 불렀으며, 윤선아 외 7인의 쟁강춤과 남성 소리꾼 김형근ㆍ김태수ㆍ김재휘의 장기타령이 이어졌다. 특히 “한수
- 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 2023-11-05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