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순국선열추모 글로벌네트워크(대표 고명주)는 지난 6월 6일(금) 아침 10시 광복 80돌 기림 순국선열추모문화전을 중국의 수도인 북경 한국인회 강당에서 북경한국인회, 민주평통 북경협의회 등과 함께 열었다. 추모전의 목적은 북경소재 항일 애국자, 애국지를 기리며 항일의 역사와 문화교류 고양으로 한ㆍ중의 양국의 우호에 이바지하고자 마련하였다. 북경한인회 서만교 회장은 “오늘은 한국에서는 현충일이다. 이날 뜻깊은 추모전을 하게 되어 감사드리며 이곳 북경에서 활동하고 순국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기리는 작업은 누군가 해야 하는 일이고 그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북경추모단체와 인연으로 찾아온 추모전이기에 그 뜻이 더 깊다”라고 추모사를 시작하였다. 이어 이 추모전을 주최한 순국선열추모 글로벌네트워크 고명주 대표는 “광복 80돌에 수많은 역사와 독립운동의 혼이 서려 있는 북경에서 열리게 되어 참으로 뜻깊다 특히, 모든 임시정부 이동길을 다니고 추모시와 노래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게 되어 참으로 감사드리며 누군, 총을 쏘고 폭탄을 던지면 죽는 줄 알면서도 걸어간 우리 순국선열들의 길을 생각해 보면 한없이 미안하고 부족한 마음으로 오늘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순국선열추모 글로벌네트워크(대표 고명주)는 3.1일(토) 낮 3시 3.1만세운동과 광복 80돌 기림으로 제주도 제주시 삼양3동 한라마을도서관에서 김동호 관장의 진행으로 순국선열추모문화전을 시작했다. 이번 추모전은 주제를 “다시 새 광복으로”으로 제주 항일운동 터 기행과 추모전으로 진행되었다. 2월 29일은 순국선열추모 글로벌 네트 회원들과 <한라산 제주추모전(2020.3.1)을 한 1100고지에 들려 코로나-19로 집회가 어려운 시기에 한라산을 보며 사이버로 진행한 시간을 돌이켜 보았고 서귀포시 무오법정사로 이동하여 법정사 항일운동 기념관에서 김치옥 해설사로부터 법정사의 의미와 3대 항일운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그 뒤로 <법정사 제주추모전(2018.10.28.)>을 시행한 기념탑과 의열사 들려 참배를 하며 3,1만세운동 보다 5달 먼저 일어난 제주도 내 가장 큰 항일운동의 의미를 되새겨 보았다. 삼일절 당일 오전에는 조천만세운동을 기념하는 조천만세 광장에서 열리는 제106주년 3.1절 기념식 참석, 기념탑 참배와 항일운동 기념관에 들러 조천만세운동의 의미를 다시 이야기해 보았다. 순국선열추모전은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2024년 광복의 달인 8월 10일부터 20까지 평화의 국제도시인 인천 청라에서 <한라에서 백두까지 그리고 그 너머> 순국선열추모 문화전 34번째 행사가 순국선열추모 글로벌네트워크 주최 및 주관하에 한백글로벌 센터에서 애국보훈행사가 열렸다. 특히,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1년 앞둔 해를 맞이하여 순국선열 추모의 길을 돌이켜보고 행복하고 평화로운 통일된 나라를 소망하며 준비한 글로벌 추모전으로 주제도 <새 시작, 새 다짐>으로 정했다. 그리고 뜻깊은 8.15일에는 <한백 TV> 개국을 통해 그동안 순국과 호국의 길에서 만난 수많은 역사와 사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첫 방송녹화도 하였다. 개막식장은 10년 동안 전시된 추모전의 작품이 전시되었고 34회 동안 추모전 역사를 생생하게 볼 수 있는 영상이 제작되어 상영되었다. 대한민국 각 지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베트남 등 글로벌 지역에서 함께 인연으로 만난 분들의 영상이 제주도 이상은 회원님의 섹스폰 연주를 바탕으로 제작되어 처음 공개되었다. 제주 김동호 낭송가가 보내온 이근배 시인<금강산은 길을 묻지 않는다>, 세종의 송미숙 시인이 보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