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관계란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련을 맺거나 관련이 있다’라는 뜻을 가진다. 혹은 ‘어떤 방면이나 영역에 관련을 맺고 있다.’라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그래서 가장 친밀한 관계라고도 한다. 사람은 어머니의 뱃속부터 관계를 맺는다. 어머니의 뱃속에서 들리는 세상의 소리를 들으며 태아는 세상에 반응하고 세상에 나갈 준비를 한다. 태아는 세상의 소리에 반응하며 사회의 영향을 받는다. 이렇듯 인간은 사회 안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이루어가며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답게 존재한다. 그래서 인간답지 못한 행동을 한 범죄자들에게 자유롭게 관계를 맺지 못하는 장소로 사회와 단절시키는 듯하다. 정이와 댄스프로젝트의 대표이자 안무가인 정이와 교수는 지난 11월 1일~2일 포스트극장에서 발표한 ‘관계성(Relationscapes)’은 ‘관계(relation)’와 ‘풍경(scapes)’을 붙인 단어로 사용한 것이고,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고 형성하는 방식을 관계적이고 역동적인 관점에서 탐구한다는 의도로 사용했다. 그래서 ‘관계성’, ‘움직임’이라는 열쇠말을 가지고 몸, 사물, 자연, 시간과 공간 등이 상호 작용하고 공동 창조하는 모습
[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지난 2024년 8월 2일 금요일 저녁 8시 서강대 메리홀 대극장에서 정이와 안무가의 작품 ‘보이지 않는 벽’ 개인 발표회가 열렸다. 정이와 안무가는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출강하며 정이와 댄스프로젝트의 대표이자 조기숙 K_CB 수석 무용수이기도 하다. 어두움이 짙게 드리운 무대 위 신발 한 쌍이 고요한 침묵 속에서 등장한다. 조명을 따라 신발 한 쌍은 다가오는 듯 혹은 멀어지는 듯이 내게 말을 걸어오고 있었다. 우리는 누구나 벽을 가지고 살아간다. 자의 또는 타의에 따라 벽은 여러 다양한 모습으로 우리가 사는 삶 동안 나타난다. 정이와 안무가는 작품을 ‘벽을 마주하다 – 벽을 넘어가다’의 시작과 끝으로 구성하여 삶 속에서 보이지 않는 벽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장막마다 자기 방식의 움직임을 통해 말하고자 하였다. 무용수들의 움직임 속에서 필자는 지난날 마주한 보이지 않는 벽들이 떠올랐다. 내 삶에 마주했던 보이지 않는 벽들은 생애 주기별로 나타났었다. 진로를 향한 열정과 두려움, 사람들 간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이해적 충돌, 매 순간 결정해야 할 때마다 마주하는 옳고 그름의 정의들에서 때로는 외면하기도 하고 버티고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