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최우성 작가의 《사진으로 본 한국의 108산사》 2권이 출간되었다. 이번 2권은 2018년 1권 출간 이래 7년 만이다. 1권 출간 때 다짐한 ‘2년에 1권씩 완성’이라는 약속이 지켜지지 않았던 것은 ‘코로나19’라는 세계적인 전염병으로 어디든 자유롭게 다닐 수 없었던 원인이 있었던 데다가 사진집 작업이 단순한 절 안팎의 풍경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최우성 작가는 말한다. “108곳의 절을 사진으로 찍어 사진집을 펴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예를 들면 온통 연등을 걸어놓아 대웅전 등 전각을 찍을 수 없어 연등이 내려진 뒤에 다시 찾아가기도 했고, 어떤 절은 눈이 흰눈이 쌓인 아름다운 모습을 찍고 싶어서 갔지만, 눈이 너무 많이 내려 안전상의 문제로 절 진입을 포기한 적도 있었다. 이렇게 전국에 있는 절 600~700곳의 풍경을 렌즈에 담았지만, 단순한 풍경의 기록이 아니라 각 절마다 특징을 잘 드러내는 한편, 부처님의 가피를 표현하고자 하는 충분한 계획과 끈질긴 노력이 뒤따라야 하는 것이라서 작업 기간이 길어졌다.” 숱한 절 순례를 하면서 사진을 찍어온 최우성 작가에게는 일반인들이 갖지 않은 특이점이 엿보이는 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절을 찾을 때마다 법당문에 새겨진 연꽃, 모란, 국화 등의 아름다운 꽃살문들, 법당 안 본존불 위에 설치된 화려하고 아름다운 닫집과 주변을 감싸고 있는 다양한 동물 모양과 비천상의 신비롭고 환상적인 모습, 불보살을 봉안한 수미단(부처님 좌대)에 새겨진 신비로운 동물 조각상, 법당 천장에 조각된 연꽃과 모란, 가릉빈가(극락조),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 등의 모습을 감상하는 버릇이 생겼습니다. 법당 안의 풍경뿐 만이 아니라 법당 처마 끝에 매달린 풍경(風磬), 서까래 하나하나에 그려진 단청, 대웅전 외벽을 가득 채우고 있는 다양한 벽화들, 더 나아가 시대를 초월하여 석공들의 내공이 느껴지는 불탑과 석등에 새겨진 예술성 등을 접하면서 불교 사진을 찍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사진으로 본 한국의 108 산사, 2권》(도서출판 얼레빗)을 펴낸 최우성 사진작가의 말이다. 그제 9일(수) 저녁 6시, 서울 경희궁 뷔페에서는 열린선원장이자 보국사 주지인 법현 스님과 설법연구원장 동출 스님, (사)한국불교사진협회 최금란 이사장 등 사진집 발간을 축하해 주기 위해 온 100여 명의 축하객들이 모여 1권에 이어 7년 만에 완성한 《사진으로 본 한국의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불교에서는 사람이 수행정진하여 부처님의 경지에 이르기 까지 4단계의 깨침이 있다고 한다. 그 깨달음의 4단계는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이라고 하는데 그 4단계의 깨침을 이룩한다면 비로서 부처의 경지에 이른다고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 당시에는 부처님도 '아라한'으로 불렸다고 한다. 살아있는 사람으로서 가장 높은 경지르 '아라한과'를 체득했다고 한다. 아라한은 보통 사람의 모습이나 그 깨달음의 경지가 높은 사람들 이기에 절에가면 아라한들을 별도로 모신 전각이 있는데, 이를 '나한전'('阿羅漢殿'의 줄임말)이라고 하여, 그런데 많은 절들은 수천명의 아라한 들을 다 모실 수가 없어서, 수천명의 아라한들 가운데 줄이고 줄여서 대부분 부처님 당시 가장 훌륭한 제자로 인정받던 16명의 아라한들을 모시고 있다. 그러나 아라한들을 모시는 특별한 절들은 500분의 아라한을 모신 절들이 가끔씩 있기도 하다. 이렇게 아라한은 인간으로서 으뜸 경지에 이른 수행자들로, 부처님처럼 근엄한 모습이 아니고, 바로 이땅에 살아가는 평범한 보통사람들의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그 신체적 묘사 또한 다양한 모습으로 더러는 수행자의 모습, 더러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경상남도 산청은 지리산이 동쪽으로 뻗어나간 줄기에 있는 고장이다. 경상도와 전라도를 품고있는 지리산은 넓은 품안에 푸른 산과 양지바른 명당터를 지니고 있어 어김없이 수행을 위한 절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 그런 절 가운데 오늘은 지리산 한 줄기인 대성산의 깎아지른 절벽에 터를 잡은 정취암(正趣庵)을 찾았다. 청취암이란 절이름은 중생계의 모든 이의 소원을 들어주는 관세음보살의 또 하나의 이름인 정취보살에서 따왔다. 대승불교 경전에 따르면, 중생들이 믿고 의지하는 가장 친근한 보살이 관세음보살인데, 그 관세음보살은 중생이 원하는 바가 다양하기 때문에, 중생의 근기에 따라 이를 제도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습으로 바꾸어 나타난다고 한다. 이를 응신(應身)한다고 하며, 관세음보살의 응신으로는 크게 33가지의 이름으로 표현한다. 그 대표적인 이름들로 천수천안보살, 십일면보살, 여의륜보살, 마두보살, 대세지보살, 준제보살, 군다리보살, 수월보살, 만월보살, 정취보살, 백의관음보살, 청경보살 등이 있다. 정취암은 이렇게 관세음보살의 여러 이름의 하나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런데 정취보살이란 "중생들을 올바르게 인도한다"는 뜻을 가진 관세음보살의 또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지리산 법계사는 한국에서는 해발 1,400m 로 가장 높은 고지대에 있는 절이다. 법계사는 지리산의 주봉인 천왕봉(해발 1,915m)의 동쪽 중턱에 있는 절로 그 창건은 신라 진흥왕 5년(544) 인도에서 온 연기조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연기조사는 인도의 스님으로 한국에 들어와 지리산 이곳 저곳 명당에 터를 잡아 절을 창건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절찰은 구례 화엄사다. 이렇게 세워진 유서 깊은 절인 법계사지만, 많은 전란과 조선시대 억불숭유 영향으로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특히 일제강점기를 막지나고 터진 한국전쟁의 말기에는 지리산으로 들어온 빨치산의 소굴이 되어 그 소탕작전 과정에서 법계사는 바위토굴을 제외하고는 모든 전각이 불타고 말았다. 이런 아픈 상처를 딛고 다시 전각들을 세워 오늘에 이른 것이다. 법계사에는 고려시대로 추정되는 부처님 진신사리탑이 있는데, 이 탑은 법계사의 중심지 커다란 바위 암반 위에 세워져 있다. 이 탑 바로 아래에는 불상이 없는 전각(적멸보궁)이 자리하고 있다. 보통 대웅전 등에는 불상을 모시지만, 부처님 진신사리가 모셔진 곳은 그 자체가 부처님을 상징하는 것이기에, 별도로 불상은 두지 않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녹우당(綠雨堂)은 해남에 있는 고산 윤선도(1587 ~ 1671)가 살던 고택이다. 녹우당을 처음 지은 사람은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8)으로 이 집은 16세기에 지어진 남도지방의 양반가옥이다. 당시 집들은 남자들이 주로 쓰는 공간으로 사랑채가 앞에 있고, 여자들이 주로 쓰는 공간 안채는 사랑채 뒷편에 있으며, 집안 옛 조상들의 신위를 모시는 사당은 집 맨 뒷편에 지었다. 녹우당의 현재모습은 효종의 스승이기도 하였던 윤선도에게 효종이 내려준 수원 집을 이곳으로 옮겨 지은 것이다. 집을 옮겨지은 때는 현종 9년(1666)으로 수원에 있던 집을 해체하여 목재를 뗏목에 싣고 서해바다를 돌고 돌아서 이곳에 왔다고 하니, 그 일 또한 쉽지 않은 일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지은 것이 녹우당 사랑채다. 녹우당 사랑채는 "ㅡ"(일자형)으로 "ㄷ" 자 형 안채 앞에 지음으로써 이 집은 :ㅁ"자형 집이 되었다. 녹우당 출입은 남자들은 주로 사랑채 마당 정면에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맨 바깥 행랑채 옆에 낸 동쪽 솟을 대문으로 들어가는데, 대문을 들어서서 사랑마당에서 오른쪽으로 돌아 보면 "ㅡ"자로 길게 펼쳐진 사랑채가 있는 것이다
부용동 계곡, 크고 작은 자연암반이 계곡에 놓여있다.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1587년에 태어나 5살 어린시절, 임진왜란을 겪으며 자란 윤선도는 조선 후기 음악가, 시인, 풍수사, 의사로 한시대를 풍미한 정치인이기도 하였다. 윤선도는 본관이 해남인으로 정치인으로 고위 관직에도 올라 효종이 죽은 뒤 발생한 예송논쟁의 중심인물로 송시열의 반대편에 서서 논쟁에 가담하였다. 그 과정에서 서인의 맹공에 오랜세월 유배생활을 하였다. 그런데 윤선도는 소현세자, 봉림대군(후에 효종)과 현종의 세자시절 이들의 사부였던 덕에 사형은 면하고 유배생활만 하게되었다. 윤선도는 병자호란 중 임금이 남한산성에서 내려와 항복 화의했다는 소식을 듣고, 이를 욕되게 생각하고 평생 은거를 결심하고 제주도로 향하였다. 그런데 제주로 가던 중 보길도에 이르러 지금의 부용동 계곡의 아름다운 자연에 매료되어 제주로 가는 것을 포기하고 이곳에 머물게 되었다. 이곳에 머물며 부용동이라 이름짓고 낙서재라는 정자를 짓고, 산과 바다를 벗삼아 조용히 살고자 하였으나, 인조의 피난 행렬에 호종하지 않았다는 모함에 탄핵받아 경상북도 영덕으로 유배되었다. 유배가 끝난 뒤 다시 보길도로 돌아와 부용동의 자연에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백두대간에서 태백산을 돌아 흘러내린 산줄기가 봉화지역에 이르러 뻭빽한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12개의 봉우리 한 가운데 연꽃처럼 피어나 자리잡은 봉화군 청량산 청량사는 무더위가 한참인 삼복더위에도 더위를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차갑고 서늘한 기운이 늘 서려있는 1,400년의 창건설화를 간직한 한국의 천년고찰이다. 청량사의 유래는 신라 원효스님이 문무왕 3년(663)에 창건하였다고 전하며, 고려말 송광사에서 배출한 16국사 가운데 마지막 국사인 법장 고봉선사가 중창한 절이기도 하다. 청량산 청량사는 도로 사정이 좋아진 지금에도 절아래 도로에서 30여 분 이상 땀을 흘리며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야만 다을 수 있는 첩첩 산중의 절로 예전에는 정말로 평생 한 번 오기도 어려운 곳에 있어 깨달음을 구하는 스님이나, 간절한 소원을 하나쯤 이루고자하는 신도가 아니면 쉽게 찾아올 수 없는 절이었다. 이렇게 산간 오지에 있는 청량사지만, 조선시대 이전에는 법당을 비롯하여 33개의 부속건물들로 빼곡한 큰 절이었으며, 주변 봉우리 마다에는 암자가 있어 스님들의 독경소리가 청량산에 늘 메아리치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이르러 불교가 탄압받게 되자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7월이 되면 여름의 한복판으로 접어들어 신록이 가장 무성하다. 이때가 되면 열대지방에서 온 연꽃이 제철을 만나 아름답게 꽃피는 계절이다. 연꽃은 불교에서는 진리의 상징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꽃이다. 연꽃은 뿌리는 더러운 진흙속에서 자라지만, 잎과 꽃은 물밖에서 피어나면서도 물에 젖지 않는다. 이것은 더러운 세상속에서 살아가지만 세상에 물들지 않고 항상 맑은 본성을 가지고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하는 삶을 살아가라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연꽃은 일반 꽃과는 달리 꽃과 함께 열매가 동시에 맺혀 깨달음과 중생구제는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으로 그 의미를 두고 있다. 또한 연꽃은 우주의 창조와 생성의 의미를 지닌 꽃으로 여겨 옛부터 불교에서는 서방정토에 다시 태어날 때 연꽃 속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뜻으로 연화화생(蓮華花生)하기를 염원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부처님이 앉아있는 좌대를 대부분 연화좌대로 만들어 꾸미기도 한다. 이처럼 불교의 꽃인 연꽃은 여름이면 모든 절에서 볼 수 있도록 심어두는데 특히 서울 경기지역에서 가장 화려하게 연못을 잘 가꾼 절로는 남양주시 봉선사가 있다. 봉선사는 광릉(조선 세조의 능) 바로 옆에 있어서, 조선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경주 남산은 신라땅에 세운 불국토로 널리 알려져 있다. 신라시대에는 527년 법흥왕 때 불교가 공인받은 뒤 도읍지인 경주에서 볼 때, 남쪽에 높이 솟은 남산의 골짜기마다 수많은 불상과 탑과 절을 세웠다. 신라인들은 인도나 중국의 바위벽 속에 세워진 석굴사원들을 보고, 신라땅에도 석굴사원을 세우고자 하였으나, 인도나 중국의 돌들과는 그 강도가 너무도 달라서 암벽을 쪼아내서 굴을 파내고 그 안에 부처님을 새기는 일은 하지 못하였다. 대신 토함산의 정상 부분에 동쪽을 향하여 석굴 형식의 절을 지었으니, 이것이 바로 석굴암이다. 토함산 석굴암은 정밀한 설계에 따라, 마치 돌로 된 건물을 짓듯이 세운 건축물이며 그안에 모셔진 불상과 보살상들은 불모(불상을 조각하는 사람)들이 으뜸 정성으로 조성한 조각상이다. 한편 경주 남산 계곡에는 남쪽을 향해 있는 커다란 화강암이 있는 데 이 바위 안에 한 분의 석불좌상을 모셨다. 이 불상은 석굴암의 부처님처럼 크지도 않고 정형화된 모습은 아니지만, 토굴 속에 결가부좌로 앉은 채 혼자 수행하는, 그리고 무한의 깨침을 얻은 뒤 선정(禪定, 참선하여 마음의 내면을 닦아 삼매경에 이름)에 들어있는 모습으로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