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운하 명인, 70년 예인삶 담아내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박첨지] : 어흠 어흠, 아다 아닌 밤중 가운데 사람이 많이 모였구나. [산받이] : 아닌 밤중 가운데 사람이야 많건 적건 웬 영감이 남의 놀음처에 난가히 떠드시오. [박첨지] : 날더러 웬 영감이 난가히 떠드냐구. [산받이] : 그려. [박첨지] : 허 허 허 내가 웬 영감이 아니라. 내가 살기는 저 웃녁에 산다. [산받이] : 저 웃녁에 산다는 걸 보니 한양 근처에 사는가 보네. [박첨지] : 아따 그 사람 알기는 오뉴월 똥파리처럼 무던히 아는 척하는구려. 무대에서는 지운하 ‘인천남사당놀이보존회’ 이사장의 <박첨지 유람거리>가 펼쳐진다. 박첨지 인형을 들고나와 박첨지와 걸쭉한 그리고 배꼽 빠지는 재담을 들려주는 관객의 눈길을 꼼짝 못 하게 사로잡는다. 인형의 ‘목덜미’를 잡고 놀린다고 하여 ‘덜미’라고도 불리고, 박첨지놀음이나 꼭두각시놀음, 등의 말로도 불리고 있다. 어제저녁 5시 인천 부평구의 국악전용극장 ‘잔치마당’에서는 <유랑 예인의 하루, 춘몽(春夢)> 공연이 열렸다. 지운하 명인의 풍물 인생 70돌을 맞아 명인과 제자들의 한바탕 놀음판인 것이다. 흔히 사람이 70을 살면 노인이라
- 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 2025-08-10 1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