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볕이 뜨겁다 못해 따가운 한낮, 문득 바람의 결이 바뀌는가 싶더니 저만치 하늘 한쪽이 거무스름하게 바뀌어 가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쨍쨍하던 해가 가려지고 둘레가 어둑해지면서 흙냄새를 실은 바람이 불어올 때, 우리는 곧 굵은 빗방울이 쏟아지리란 것을 알아챕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럴 때 딱 어울리는 '매지구름'입니다. '매지구름'은 곧 비를 쏟아낼 듯한 낌새를 지닌 구름을 가리키는 고운 우리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먹구름'이나 '비구름'이라고 부르는 것과 비슷하지만, '매지구름'에는 조금 더 생생한 모습과 쓰임새가 담겨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비를 머금은 검은 조각구름"이라고 풀이합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비를 머금은 거무스름한 빛깔의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두 풀이를 모아보면, '매지구름'은 비를 잔뜩 품고 있어 빛깔이 검거나 거무스름하며, 때로는 조각조각 뭉쳐 있는 구름의 모습을 그립니다. 무엇보다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를 몰고 오는 구름과 아주 가까운 구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매지구름'은 왜 '매지구름'일까요? '구름'은 '구름'인데, '매지'는 무슨 뜻일까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이든 흐린 날이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곳을 떠다니는 구름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오늘도 맑은 하늘이지만 곳곳에 구름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하늘에 떴다가 우리 마음에도 살며시 떠오르는 말, '뜬구름'을 모셔왔습니다. 우리가 '뜬구름'이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고 있는지 찬찬히 들여다볼까요? 첫째 뜻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한 조각의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이 떠다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둘째 뜻은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세상사 뜬구름과 같다.(표준국어대사전) 그에게는 부귀영화와 공명도 모두 뜬구름으로 여겨졌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사전) 모두 '하늘에 떠가는 구름'이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과, '덧없고 허무한 일'이라는 마음속 느낌을 똑같이 담고 있지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말(한자에서 온 말)로 '부운(浮雲)'이나 '유운(流雲)'이 있지만, '뜬구름'만큼 그 모습과 느낌을 잘 나타내는 말도 드문 듯합니다. "뜬구름 잡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579돌 한글날을 맞아, 사단법인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는 '4358해 아름다운 토박이말 이름 뽑기'의 열매로 주식회사 '참빛'을 뽑았고 지난 17일 보람(패)를 달아주었다고 밝혔다. '참빛'은 '참된 빛'이라는 깊은 뜻을 담아 아이들과 아픈 사람들을 보듬는 따뜻한 마음이 담긴 이름이라는 점에서 높은 값을 받았다. '참빛'이라는 이름은 1988년, 최선미 대표가 아이들을 위한 유치원을 열면서 비롯되었다. 온 식구가 머리를 맞대고 지은 이름으로, '우리 아이들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참된 빛으로 자라도록 돕는 곳'이라는 소망을 담았다. 아이들이 뛰놀던 유치원은 '빛들의 놀이터'라는 또이름(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제 유치원은 문을 닫았지만, 그 이름에 담긴 따뜻한 얼은 '장애인표준사업장'인 주식회사 '참빛'으로 이어졌다. 최선미 대표는 "장애를 가진 분 한 분 한 분이 저마다의 빛을 내는 '참빛'이 되도록 돕고 싶었다"라며, 스무 분의 일꾼들과 함께 그들의 홀로서기와 자아실현을 돕는 뜻깊은 일터로 가꾸고 있다고 말했다. '참빛'의 토박이말 사랑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스마트농업으로 기른 푸성귀(채소)로 샐러드를 만들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해가 나긴 했지만 하늘엔 구름이 있습니다. 다른 곳에는 비가 오기도 할 거라고 하더라구요. 이렇게 날마다 다른 그림을 그려내는 하늘을 보며 마음에 쉼을 얻곤 합니다. 구름이 한두 조각 떠다니지만, 또 어떤 날은 크고 작은 구름이 한데 뭉쳐 큰 무리를 이루며 하늘을 덮을 듯 밀려올 때가 있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처럼 커다란 구름 모습을 나타내는 '떼구름'입니다. '떼구름'은 '떼'와 '구름'이 만난 말입니다. '떼'는 '무리'를 뜻하는 아주 살가운 우리말이지요. '양 떼', '오리 떼', '개미 떼'처럼 여럿이 모여 무리를 이룬 모습을 가리킬 때 씁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떼를 이룬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커다랗게 무리 지어 있는 구름. 또는 무리 지어 모여드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가지 풀이를 아울러 보면, '떼구름'은 낱낱이 흩어져 있지 않고 여럿이 한데 뭉쳐 있거나, 마치 큰 물결처럼 한꺼번에 몰려드는 구름 무리를 일컫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먹구름'이나 '비구름'이라고 부르는 구름들이 하늘을 뒤덮을 때, 그 모양새가 바로 '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하늘에는 구름들이 저마다 다른 이야기와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한 쪽에서는 해와 어울린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한쪽에는 곧 비를 뿌릴 듯 검은 낯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처럼 구름을 보며 그저 '희다', '검다' 또는 '비가 오겠다' 하고 생각하지만, 구름에도 저마다 다른 됨됨(성질)이 있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그 이름만 들어도 마음이 포근해지는 '따뜻한구름'입니다. '따뜻한구름'이라니, 왠지 햇볕을 받아 따끈해진 구름을 말하는 것 같지요? 그런 느낌도 담겨 있지만, 이 말은 날씨 갈말(기상 용어)로서 좀 더 깊은 뜻을 품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따뜻한구름'을 '온도가 평균 이상으로 높은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볼까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높은 하늘은 기온이 낮아 춥습니다. 그래서 많은 구름이 물방울뿐만 아니라 아주 작은 '얼음 알갱이(빙정)'들을 함께 품고 있지요. 하지만, '따뜻한구름'은 다릅니다. 이 구름은 구름을 이루는 모든 곳의 따뜻한 정도(온도)가 물이 어는 0도보다 높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곧 얼음 알갱이 하나 없이 오롯이 작은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고개를 들어 하늘을 바라볼 때, 날마다 다른 그림을 그리는 것이 구름입니다. 어떤 날은 솜사탕처럼 피어오르고, 어떤 날은 빗자루로 쓴 듯 흩어지기도 하죠. 오늘 우리가 함께 만날 토박이말은 하늘 낮은 곳에 뭉게뭉게 펼쳐지는 ‘두루마리구름’입니다. '두루마리구름'은 이름 그대로의 모습과 하늘의 됨새(상태)를 함께 알려주는 살가운 우리말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두루마리구름'을 두 가지 모습으로 풀이합니다. 첫째는 우리가 하늘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층층의 덩어리구름입니다. 하늘 낮은 곳(땅에서 2킬로미터 안팎)에 떠 있으면서, 두툼한 덩어리들이 층을 이루거나 줄지어 늘어선 모양을 하고 있지요. 주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는데, 낮에는 뭉게뭉게 피어올라 뭉게구름(적운)처럼 보이다가도 저녁이 되면 스르르 옅어지기도 한답니다. 우리가 흔히 한자말로 '층적운(層積雲)'이라고 부르는 구름의 고운 토박이말 이름입니다. 둘째는 그 이름처럼 생긴 모양을 가리킵니다. 꼭 둥글게 만 롤빵이나 털실을 꼬아 감아 놓은 ‘두루마리’ 같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때로는 아주 길고 둥근 막대기 모양으로 하늘을 가로지르는 구름을 볼 때가 있는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아침 바람이 어제와는 다르다는 것이 살갗으로 느껴집니다. 조금 있으면 시린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는 날이 오겠지요? 그런 날 잿빛 하늘이 낮게 내려앉아 금방이라도 무언가를 쏟아낼 듯 묵직한 낯빛(표정)을 하고 있을 때, 우리 마음속에는 조용한 설렘이 피어오르곤 합니다. 바로 흰 눈을 기다리는 마음 때문이겠지요. 이처럼 겨울 하늘의 느낌을 오롯이 품은 아름다운 토박이말이 있습니다. 바로 ‘눈구름’입니다. ‘눈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참 숨김없고 거짓없는 멋을 지닌 말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한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이 말에는 두 가지의 깊은 뜻이 담겨 있습니다. 첫째는 ‘눈과 구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입니다. 하늘에 흩어진 구름과 그 사이로 흩날리는 눈송이를 하나의 그림으로 그려낼 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마치 그림이(화가)가 흰 물감을 흩뿌려 놓은 듯한 겨울 바람빛(풍경)이 눈앞에 펼쳐지는 듯합니다. 둘째는 우리에게 더 낯익은 쓰임새로, ‘눈을 내리거나 머금은 구름’을 뜻합니다. 금방이라도 펑펑 함박눈을 쏟아낼 것처럼 잔뜩 물기를 머금어 짙은 회색빛을 띠는 구름을 떠올리면 꼭 맞습니다. 하늘에는 눈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도 하늘에는 여러 가지 구름이 보입니다. 이런 구름 보신 적 있으시죠? 파란 그림종이(도화지) 위에 누군가 하얀 솜뭉치를 툭툭 던져 놓은 듯, 크고 둥글둥글한 구름이 흩어져 있는 모습을 보면 저도 모르게 마음이 포근해지곤 하는 구름말입니다. 마치 드넓은 하늘 풀밭에 하얀 양들이 한가로이 풀을 뜯는 것 같아 보여 '양떼구름'이라는 살가운 이름으로 더 자주 불리는 구름이지요. 오늘은 바로 이 아름다운 구름을 가리키는, 소리마저 예쁜 토박이말 '높쌘구름'을 알려 드립니다. '높쌘구름'은 말 그대로 '높은 하늘에 있는 쌘 구름'이라는 뜻을 품고 있습니다. 여기서 '쌘'이라는 말이 조금 낯설게 들리실 수도 있겠습니다. '쌘'은 '쌓이다'의 준말 '쌔다'의 매김꼴(관형형)으로 무엇인가가 덩어리로 뭉쳐 쌓여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인듯 합니다. '높은 하늘에 둥글둥글 크게 덩어리진 구름'이라는 뜻을 그림처럼 보여주는 말이라고 하겠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높쌘구름'을 '높은 하늘에 크고 둥글둥글하게 덩어리진 구름. 보통 2~7km 높이에 나타나며 권적운에 비하여 하나하나의 구름 덩어리가 크다.'라고 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놀구름'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어쩐지 마음을 간질이는 소리 같기도 하고, 어릴 적 동무를 놀리 듯 부르는 이름 같기도 한데요. 어떤 구름을 가리키는 말일까요? '놀구름'은 '붉게 노을이 진 구름'을 뜻하는 토박이말입니다. 해가 뜨거나 질 무렵, 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노을'의 준말인 '놀'과 '구름'을 더해 만든 말이지요. 뜻을 알고 나니 참 살갑고 예쁜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으신가요? 우리는 흔히 '노을 진 구름' 또는 '붉은 구름'이라고 풀어서 말하곤 하지만,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이처럼 아름다운 이름을 붙여주셨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놀구름'을 '붉게 노을이 진 구름'이라고 가든하게 풀이해 놓고 보기월도 하나 없지만, 그 이름이 품은 바람빛(풍경)은 그리 가볍지 않습니다. 하루의 일을 마친 해가 땅거미 너머로 몸을 숨기기 앞, 누리에 마지막으로 건네는 따스한 인사처럼 하늘에 번지는 붉은빛. 그 빛을 고스란히 머금어 함께 붉어지는 구름이 바로 '놀구름'입니다. 때로는 붉은 빛으로, 때로는 누런 빛으로, 또 때로는 보랏여러 가지 빛이 섞인 야릇한 빛깔로 하늘을 수놓는 모습은 그야말로 하늘이 그린 한 쪽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가을 오란비(장마)가 참 길다 싶습니다. 아침에는 그동안 내린 비보다 많은 비가 모여 내리듯 내렸습니다. 오늘은 하늘 가득 짙은 구름이 뒤덮고 있지만 여느 때 가만히 하늘을 올려다보면 구름은 참으로 많은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뭉게뭉게 피어나는 솜뭉치 같다가도, 어느새 길고 가는 붓으로 그린 듯한 모습으로 바뀌기도 하지요.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 ‘나비구름’은 그 많은 구름의 모습 가운데 가장 가볍고 어여쁜 모습을 담아낸 이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나비구름’을 '날아가는 나비의 날개처럼 펼쳐진 구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새털구름이 얇고 넓게 퍼져 있거나, 조각구름 두어 낱이 마치 나비의 날개처럼 마주보고 떠 있는 모습을 떠올리면 됩니다. 바람을 타고 하늘하늘 날아가는 나비처럼, 곧바로 날갯짓을 하며 저 멀리 날아가 버릴 것 같은 가볍고 아름다운 구름이 바로 ‘나비구름’입니다. 이처럼 어여쁜 말이니 말꽃지음이(문학 작가)의 눈에 들지 않았을 리 없습니다. 김남조 님의 가락글(시) 「겨울 바다」에 이 말이 애틋하게 담겨 있습니다. 미지의 새, / 보고 싶던 새들은 죽고 없었네. / (…) / 나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