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이든 흐린 날이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면 그곳을 떠다니는 구름이 있을 때가 많습니다. 오늘도 맑은 하늘이지만 곳곳에 구름이 있습니다. 오늘은 그렇게 하늘에 떴다가 우리 마음에도 살며시 떠오르는 말, '뜬구름'을 모셔왔습니다.
우리가 '뜬구름'이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뜻을 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고 있는지 찬찬히 들여다볼까요?
첫째 뜻은 '하늘에 떠다니는 구름'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하늘에 떠다니는 한 조각의 뜬구름. 《표준국어대사전》
뜬구름이 떠다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둘째 뜻은 '덧없는 세상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다음과 같은 보기월이 있습니다.
세상사 뜬구름과 같다.(표준국어대사전)
그에게는 부귀영화와 공명도 모두 뜬구름으로 여겨졌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사전) 모두 '하늘에 떠가는 구름'이라는 눈에 보이는 모습과, '덧없고 허무한 일'이라는 마음속 느낌을 똑같이 담고 있지요.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말(한자에서 온 말)로 '부운(浮雲)'이나 '유운(流雲)'이 있지만, '뜬구름'만큼 그 모습과 느낌을 잘 나타내는 말도 드문 듯합니다.
"뜬구름 잡는 소리 하고 있네!"
'뜬구름'이 들어간 아주 널리 쓰이는 익은말(관용어)이 있지요. 바로 '뜬구름(을) 잡다'입니다.
이는 '막연하거나 허황된 것을 좇다'라는 뜻입니다. 하늘의 구름을 잡으려 애쓰는 모습을 떠올리면 그 뜻이 바로 와닿습니다.
소설가 윤흥길 님의 <완장>에서는 이 말을 이렇게 풀어냈습니다.
뜬구름을 잡겠다고 어려서부터 객지로만 떠돌며 보낸 지난 세월의 덧없음이 불현듯 그의 가슴을 때렸다.
우리 나날살이(일상생활)에서도 이렇게 쓸 수 있습니다.
자꾸 그렇게 뜬구름 잡는 계획만 세우지 말고, 지금 할 수 있는 작은 일부터 해보는 게 어때?
그 사람 말은 믿기 힘들어. 가만히 들어보면 다 뜬구름 잡는 소리뿐이야.
오늘은 '뜬구름'이라는 말과 함께했습니다.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바라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차분해지기도 하지만, 마음속 '뜬구름'은 우리를 헛헛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어쩌면 우리는 모두 무언가 손에 잡히지 않는 '뜬구름' 같은 꿈을 하나씩은 품고 사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오늘 만난 이 토박이말을 여러분의 나날살이에 곱게 부려 써 주세요. 그리고 곁에 있는 분들에게도 "오늘 '뜬구름'이라는 말, 참 예쁘지 않아?" 하고 슬며시 건네주시면 어떨까요? 우리말의 깊은 맛을 함께 나누는 기쁨이 뜬구름처럼 뭉게뭉게 피어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