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은 깊어 가는 가을, 혼인의 계절을 맞아 광복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서울시민의 혼인문화 변천을 이야기하는「서울 가족 삼대의 결혼이야기」 기획전시를 11월 8일(금)부터 내년 3월 30일까지 서울생활사박물관에서 연다. 서울생활사박물관은 서울역사박물관의 분관으로, 서울 동북권역의 대표 문화기관이며, 광복 이후부터 현재까지 평범한 서울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재미있게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해마다 상ㆍ하반기에 서울 사람들의 기억과 감성을 담은 다양한 생활사 주제의 기획전시를 연다. 이번 전시에서는 1888년 정동교회에서 아펜젤러 선교사의 주례로 처음 신식 혼례식이 치러진 이후, 지금, 이 순간에도 전통과 외래 요소가 결합하여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서울시민의 혼인문화를 소개한다. 전시는 2023년 서울생활사조사연구 『서울시민의 결혼문화』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기획하였으며, <1부. 만남에서 결혼 준비까지 : 인생의 동반자를 찾아서>, <2부. 결혼식 : 인생 최고의 이벤트>, <3부. 새로운 출발 : 꿈에서 현실로>의 세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1부. 만남에서 결혼 준비까지 :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공원공단 다도해해상국립공원서부사무소(소장 문광선)는 “5월 22일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결혼식을 올리지 못한 취약계층 부부를 대상으로 선상혼인식(국립공원302호)을 진행하였다”라고 밝혔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서부사무소는 친환경 선상혼인식을 통해 취약계층 부부에게 예식장소ㆍ예복 대여, 혼인사진 촬영 등을 전액 무상으로 제공하였으며, 들어간 비용은 ESG경영기업인 HD현대1%나눔재단의 기업후원금으로 운영되었다. 목포대교와 고하도를 배경으로 진행된 선상혼인식은 사회적기업 혼인 업체인 ㈜신부넷과 협력하여 꽃 뿌리기 등 일회용 없는 친환경 혼인식으로 진행되었고, 손톱 관리(네일아트) 전문가인 김경옥 님은 금번 선상혼인식의 재능기부자로 참여하여 신부에게 손톱 관리를 무상으로 지원하였다. 예식이 끝난 뒤엔 답례품으로 지역특산물(재사용 용기로 포장된 국산 천일염)을 제공하였고, 국립공원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취약계층 부부와 하객들에게 아름다운 국립공원 자연경관을 돌아보며 잊지 못할 추억을 선물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서부사무소 성윤제 탐방시설과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친환경 선상혼인식을 함께해 기쁘고 앞으로도 ESG경영 실천과 환경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아침마다 산책하는 집 뒤의 북한산 둘레길에는 좁은 골짜기에 큰비가 올 때 물 흐름을 줄여주는 작은 연못이 조성돼 있는데 아침마다 여기를 지나면서 우리 부부는 늘 연못을 꼭 보며 지나간다. 4월이 지나고 5월이 되어 근처의 풀과 나무들은 다 푸르른 생명의 옷을 입고 되살아났는데 한가지 안되는 것이 이곳에 자주 올라와 놀던 오리들이다. 전에는 암놈, 수놈 두 마리가 늘 정겹게 있다가 여름이 지나면 새끼들이 태어나서 같이 자라곤 했는데 이상하게 올해는 한참을 오리들이 안 오다가, 겨우 수컷만 한 마리만 오더니, 곧 두 마리가 오기는 하는데 두 마리 다 수컷이다. 이제 무슨 일일까? 온갖 추측을 다 해본다. 두 마리 다 암컷과 이혼했나? 홀아비가 되었나? 그럴 리는 없지만 혹시 동성애(?)를 하는가? 전에 새싹이 나기 전에 연못 비탈진 곳에서 알을 까서 새끼들과 함께 내려와 노는 오리 가족이 다시 생각이 나지만 올해는 정말 독신(솔로) 혹은 더블 솔로인 오리만 보인다. 오리들에게도 우리 한국사회에 몰아닥친 가정의 위기가 닥친 것인가? 새끼도 없고 암컷도 없이 수컷 둘만이 있는 연못은, 주위의 식물들이 신록으로 생명의 기쁨을 누린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