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합천하면 먼저 떠오르는 절, 해인사가 있지만 예전에는 그에 못지 않은 많은 절들이 있었다. 그 가운데 오늘은 영암사터를 찾아본다. 합천 영암사는 절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황매산의 신령스러운 영험한 바위가 있고, 그 바위 아래 절을 지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오랫동안 가꾸어오던 절은 언제인지 모르게 퇴락하였고, 지금은 절안에 돌로된 기단과 석축과 삼층석탑과 귀한 모습의 쌍사자석등 등 돌로된 유물들만 남겨놓은 채 사라지고 말았다. 영암사의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고 있어 그 창건 연대도 알 수 없지만, 고려시대 국사로 추앙 받던 한 스님의 탑비의 탁본으로 적연국사라는 스님이 계셨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그 적연국사가 고려 현종 5년(1014) 83살로 입적하여 영암사 서본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현재 영암사에는 당시에 적연국사의 비를 세웠을 것으로 추정되는 귀부만 남고, 비신조차 남아있지 않지만, 적연국사의 부도가 영암사에서 1.5km 지점의 산 중턱에 현존하고 있어 비문의 내용을 그나마 알수 있다. 영암사터는 영암(영험스러운 바위)인 황매산 바위산 아래 자리잡고 있는데, 지형이 평탄치 못하여 금당을 세운 곳에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합천 영암사터 삼층석탑 - 이 달 균 탑을 마주서면 황매산이 우뚝하다 삼층탑은 아들 탑 황매산은 아비 탑 아들이 잘났다 하나 어찌 아비를 넘을까 삼층탑 뒤엔 작은 석등, 석등 뒤엔 가지런한 송림, 그 뒤엔 병풍 같은 황매산. 이 탑은 황매산에 널브러진 돌을 깎아 만들었으리라. 그러니 아들 탑이 틀림없다. 황매산은 기암괴석으로 이뤄진 산이다. 탑을 두고 허위허위 돌산 오르다 꼭대기에 닿으면 산꼭대기는 뜻밖에 평탄하다. 동남쪽 비탈을 흐르는 시냇물은 가회면에서 사정천에 흘러들며, 북쪽 비탈을 흐르는 시냇물은 황강의 물줄기인 옥계천을 이룬다. 북동쪽을 내려다보면 합천호가 보인다. 6월 합천호는 넘치듯 수량 가득하다. 배가 부르다.(시인 이달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