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난 1월 24일부터 오는 6월 30일까지 서울 서울 마포구 양화로12길 8-7 미디어 아트 갤러리 ‘언더독뮤지엄’에서는 <인간, A.I를 만나다(Harmony of Minds. Update)> 전시를 열고 있다. 예술은 시대마다 새로운 예술가들의 새로운 시도를 통해 끊 임없이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그 지평을 확장해 왔다. 특히 당대 패러다임을 전복하는 과감한 예술적 실험일수록 거친 반발과 저항에 부딪히고 주류로부터 배격받고 폄하되며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이전의 예술과 구분되는 새로운 예술 사조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실례로 과거 프랑스의 인상주의가 그러하고, 마르셀 뒤샹의 레디메이드가 그러하였다. 본디 예술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계속해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치열한 논쟁을 거듭하며 새로운 사조를 출현시켜 왔다. 이처럼 끊임없이 눈앞의 알껍데기를 깨고 또 다른 알 밖의 세계로 나가려는 열망의 발로야말로 예술의 본령이라 할 수 있겠다. 그리고 현재 우리는 그간의 예술적 발전을 기반으로 또다시 새로운 예술적 세계로의 진입 지점에 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선두에 바로 인공지능(A.I)이라는 기술의 혁신이 있다. 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새해 벽두부터 인공지능(AI)이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현재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인공지능을 맹신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인공지능도 실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끔 인공지능은 뻔뻔하게 엉뚱한 답변을 내놓는데, 이를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이라고 한다. 이는 인공지능 모델, 특히 딥러닝(DL) 기반 모델이 현실에 기반하지 않은 정보나 데이터를 생성해 허구적이고 비논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완벽해 보이는 인공지능이 왜 오류를 일으키는지, 그리고 그로 인한 위험은 무엇이며,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자. 챗GPT가 국내에 소개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화제가 된 사건이 있었다. 한 사용자가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세종대왕의 맥북프로 던짐 사건에 대해 알려달라”는 다소 황당한 질문을 던지자, 챗GPT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의 초고를 작성하던 중 어떤 일로 문서 작성이 중단되었고, 이에 세종대왕이 담당자에게 분노해 맥북 프로와 함께 그를 방으로 던졌다”라는 답변을 내놓았다. 세종대왕이 맥북을, 그것도 에어가 아닌 프로를 최환이라는 관료에게 던졌다는 챗GP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 멈춰있는 사진 속 독립운동가에게 인공지능(AI)으로 광복을 전해드렸더니 이런 영상이?(유투브, 하일광)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우린 인공지능이라는 거대한 불도저 앞에서 학생들에게 삽을 잘 다루는 기술을 가르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아주 놀라운 세계가 눈앞에 있습니다. 이전에 경험해 보지도 못했고 상상하지도 못한 신세계지요. 그 중심엔 AI로 불리는 인공지능이 있습니다. 누가 가르쳐주지 않아도 스스로 학습하고 지식을 체계화시키며 미술가조차도 감탄하게 만드는 그림을 그리고 음악을 만들며 심지어 동영상까지 제작합니다. 10초만 나의 음성을 들려주어도 내 목소리를 똑같이 흉내 내고 ‘Deep Fake’는 우리 얼굴을 임의의 영상에 덧씌웁니다. 무엇이 진실이고 무엇이 거짓인지 알 수 없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자동차가 스스로 굴러다니는 것은 이미 옛일이 되어버렸고 어떠한 상황에서도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똑똑한 기계가 출현해 있습니다. 지금도 드론은 사람을 죽이는 데 쓰여 전쟁의 ‘국면전환자(게임 체인저)’ 역할하고 있으니 전투 로봇을 만들지 못할 이유도 없습니다. 총을 맞아도 끄떡없고, 물속이나 불 속에서도 임무 수행이 가능하며 추위나 더위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배고픔을 호소하지도 않으며 24시간 초집중을 하고, 자동차처럼 빠르며 야간 투시 능력이 있고 온갖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요즘엔 하루하루를 기대 만방으로 살아가고 있다. ‘7학년이 넘었는데 뭐를 기대한단 말인가’라고 물을 것이지만 만능 인공지능(AI) 비서가 온다고 하니 그 비서를 기다리는 재미가 있는 것이다. 그 비서를 옆에 두고 이것저것 물어가면서 대화를 하고 싶다. 기왕이면 그 비서가 인체의 형상, 특히나 이쁜 여성의 형상에다가 목소리도 이쁘면 더 즐겁겠다. 지난달 중순에 구글이 ‘프로젝트 아스트라’라는 것을 발표하면서 일상생활 구석구석에 도움이 되는 유니버설 비서를 만든다고 발표한 것에서 촉발이 되어 가장 멋진 비서를 만드는 경쟁이 업계에 시작된 상황이니 우리 같은 사람은 이제 기다리지 않을 수 없다. 카메라를 켜서 AI에게 주변 환경을 보여주고 그 상황을 놓고 대화를 할 수 있는 ‘제미나이 라이브(Gemini Live)’ 기능이 이미 선보였다고 한다. 우리들은 기억력이 제한되어 있어 경치를 보고는 잊어버리고 사람들의 얼굴을 보고도 잊어버리는 수가 많은데 이 구글 비서는 우리보다 훨씬 똑똑할 것이니 그 모든 경치를 기억하고 또 사람들 얼굴을 기억해서 우리가 기억나지 않을 때 금방 누군지 알려줄 것이다, 이런 로봇 비서가 올여름 출시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