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12월 28일을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로 기리자

[우리문화신문=김슬옹 교수]  세종은 47살 때인 음력 144312월에 훈민정음 28자를 창제하고 50살 때인 14469월 상한(1-10)훈민정음이란 책을 통해 새 문자를 백성들에게 알렸다. 1443년 음력 12월은 훈민정음 28자가 세상에 공개된, 그야말로 훈민정음 28자의 기적이 일어난 달이다. 그 기적은 세상에 57자의 단출한 기록으로 드러났다.

 

是月, 上親制諺文二十八字, 其字倣古篆, 分爲初中終聲, 合之然後乃成字, 凡干文字及本國俚語, 皆可得而書, 字雖簡要, 轉換無窮, 是謂 訓民正音세종 25(1443) 1230일자(세종실록 온라인판 영인본에 의함)

(번역)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를 본뜨고, 초성중성종성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한자에 관한 것과 우리말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글자는 비록 간단하고 간결하지마는 전환하는 것이 무궁하니, 이것을 훈민정음이라고 일렀다.


 

공교롭게도 북한은 창제한 날을 남한은 반포한 날을 기념일로 삼고 있다. 분단의 아이러니이지만 이제는 남북이 연계하여 창제한 날과 반포한 날을 함께 기려야 한다. 필자는 창제한 날은 문자 기념일로 반포한 날은 한글날로 기리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한 쪽에서는 반포한 날을 양력으로 환산한 109일을 한글날로 기념하고 있으므로 한글날 자체를 바꿀 필요는 없다. 그러나 훈민정음 창제일은 어떤 방식으로든 기려야 한다. 144312월에 이미 훈민정음 28자가 완벽하게 창제되었기 때문이다. 하층민을 배려하고 가장 보편적인 문자를 만든 날을 기념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기념한다는 것인가.

 

훈민정음은 영국의 존맨이 모든 알파벳의 꿈이라고 격찬한 말을 인용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문자에 대한 보편적 이상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09일은 한글날로 그대로 기리면서,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은 문자의 날로 기념했으면 한다. 반포날은 배달겨레 문자로서의 특수성을 살리고 창제날은 인류 문자의 보편성을 기리자는 것이다.

 

문제는 훈민정음 창제일을 특정 날짜로 잡을 수 없다는 점이다.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최초 기록은 세종실록 1230일 달별 기사로 앞에서 인용한 것처럼 이 달에 임금이 언문 28자를 지었는데 훈민정음이라 일컫다라고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12월 어느 날인지 알 수 없다. 그것이 당연할 것이다.

 

세종은 문자 창제를 비밀리에 해 오다가 어느 날 갑자기 새 문자 창제 사실을 만천하에 공적으로 알린 것이 아니라 집현전 일부 학자들을 중심으로 조심스럽게 알렸을 것이기 때문이다. 만일 특정한 날에 공식 발표를 하였다면 사관에 의해 정확한 날짜가 기록되었을 것이다. 달별 기사라는 사실은 그런 공식 절차를 거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일정한 기준을 세워 기념일을 세울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먼저 음력 12월의 특정 날을 정해 양력으로 환산하여 기념일을 정하는 방법이 있다. 북한에서는 음력 12월의 중간인 15일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115일을 훈민정음 창제 기념일로 삼고 있다. 이렇게 양력으로 환산하면 훈민정음 창제 연도가 1444년이 되어 1443년의 상징성이 사라지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세종실록 기록일이 음력이라 하여 현대 시각으로 양력으로 연도까지 바꿔 가며 기념일을 정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다.

 

12월 어느 날로 해야 하느냐가 문제인데, 그렇다면 훈민정음 28자의 의미를 살려 1228일을 기념일로 삼았으면 좋겠다. 문자의 상징성과 날짜가 일치해 기념일 효과가 더 클 것이고 연말의 신나는 분위기를 살려 문자 창제의 기쁨도 더 누릴 수 있다.

 

대한민국은 훈민정음 창제날을 한 번도 기념한 적이 없다. 북한도 들리는 말로는 제대로 행사를 치루지 않고 있다. 이제 창제날은 훈민정음의 보편적 가치를 기려 문자의 날로 승화시켜 국제적인 기념일로 삼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