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근본을 놓치고 소리만 따르는 것을 경계한 ‘소요당 대사’

선사들의 시 감상 3

[우리문화신문= 전수희 기자]


벌여놓은 모든 물상 다 허깨비

긴 허공 지나는 사이 자취 안남겨

허공이 몸 갈무리할 자리 못되니

바람결에 비 젖은 소나무 보게


백 천의 경전 손가락 같아서

손가락 따라 하늘의 달을 보네

달 지고 손가락 있어 한일도 없으니

배고프면 밥 먹고 피곤하면 잔다


이는 서산대사의 제자 소요(당) 대사(1562~1649)가 지은 시다. 소요당의 속 씨는 오 씨이고 담양사람이다. 13살에 백양산에 갔다가 세속 밖의 경지를 보고는 출가의 길을 걸은 소요당 대사는 나이 20살에 서산대사를 찾아 묘향산에 갔다가 서산대사로부터 게송 하나를 받는다.


그림자 없는 나무 베어다

물 속 거품 다 태워버린다

우습구나 소를 타고 있는 이가

소 등에서 다시 소를 찾네




 게송의 뜻을 수많은 제자들이 이해 못하고 있을 때 소요당은 서산대사의 이 게송이 ‘삶이 없음(無生)’ 임을 깨닫는다. 소요당은 서산대사의 가르침으로 비로소 ‘마음’을 보았고 본성에 내 맡길 수 있어 툭 트인 몸으로 이리저리 노닐며 구름처럼 모여드는 대중을 교화했다고 전한다.





소요당 대사는 경전에 얽매여 있는 것을 경계하였는데 온갖 경전은 길잡이일 뿐 그 자체가 길이 아니라고 했다. 그것은 마치 손가락의 방향에 따라 달을 찾는 것과 같아서 손가락에 매달려 있으면 달을 못 보듯이 경전에 매달려 있으면 법체의 원형은 끝내 찾기 어렵다고 했다.


사람이 배고프면 밥을 생각하듯이 일상적인 일이 법의 근원이련만 사람들이 잘 모르고 엉뚱한 곳에서 법(法)을 찾으려하는 것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근본을 놓치고 소리만 따라 몇 겁을 지냈다

온갖 법은 원래가 원융 회통한 것을

멀리 생각난다 옛날 관음보살께서

듣고 또 들어 오묘히 공한 이치 듣게 한 것을.


소요당 대사의 시는 200여편이 전하는데 "맑고 훤하고 담박한 것이 마치 허공을 지나는 구름 같으며 달이 냇물에 비친것 같다"는 평을 받는다. 소요당 대사는  지리산 연곡사에 머물렀는데, 연곡사는 1598410일, 왜적이 사찰에 들어와 살육을 자행하고 불을 질러 소실된 것을 조선 인조 5(1627)에 중건한 것으로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