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분별과 시비를 모두 버리고 천지간 자유로웠던 '영허대사'

선사들의 시 감상 5

[우리문화신문= 전수희 기자]


눈으로 보는 것이 없어야 분별이 없고

귀는 소리 없음 들어야 시비가 끊겨

분별과 시비를 모두 버려버려야

마음 부터에 스스로 귀의 함을 보라


비 개자 꽃들이 일제히 피고

봄 깊자 우는 새들의 울음

맑은 바람 밝은 달밤

또렷또렷 맑긋맑긋한 마음


한 벌의 가사 걸쳐 풍진에 맡겼으니

청정의 선정공부도 참이 못되네

범의 굴, 마귀 집 어디나 즐거워

천지를 소요하는 한가로운 사람 되네


이는 영허대사(暎虛大師, 1541~1609)의 시다. 영허대사의 시는 《영허집》4권에 실려 있으며 54편의 시가 전한다. 사대부 가문에 태어나 15살에 과거 시험에서 떨어진 뒤 19살에 출가하여 능가산 실상사를 거쳐, 금강산, 묘항산 등에서 수행 정진 하였다.


《영허집》은 영허대사 사후 시와 산문, 소설 등을 행장(行狀)과 덧붙여 그의 제자들이 1635년에 간행한 문집이다. 모두 4권 1책으로, 오언절구(五言絶句) 5편, 칠언절구(七言絶句) 16편, 오언율시(五言律詩) 29편, 칠언율시(七言律詩) 14편, 부(賦) 1편, 가(歌) 1편, 소설[傳] 1편, 유산록(遊山錄) 3편, 행장(行狀)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목판본 2본이 전한다.



조선 중기의 학자 김지수(金地粹, 1585~1636)가 서문을 썼는데 그는 영허의 시를 가리켜 “원만하고 밝으며, 고요하고 산뜻하다. 매우 차갑거나 가파르거나 작지 아니하고, 푸른 산봉우리에 기운이 넘치는 듯하고, 요체를 익힌 성정 또한 매우 어지럽지가 않도다. 근본에 있어서나 말에 있어서나 선비에 부합함이 참으로 많도다”고 평하고 있다.


영허대사는 조선 중기 부용대사(芙蓉大師, 1485~1571)의 법통을 이은 서산대사(西山大師, 1520~ 1604)등에게서 배우고 익혔는데 부용대사는 유·불·도에 회통하고 삼장교학에 조예가 깊어 승속을 가리지 않았다.



한편 부용대사의 제자인 서산대사는 간화선(看話禪)을 본령의 수행 방식으로 삼으면서도 염불수행을 부정하지 않고 정토신앙까지도 선(禪)의 테두리 안에서 받아들인 고승으로 영허대사의 스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