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경기도 화성시, 발안 3.1독립만세항쟁의 선구자인 탄운 이정근 의사 순국 100주기 추모제가 어제(30일) 향남읍에 있는 탄운 이정근 의사 창의탑에서 열렸다. 일기예보에는 오전부터 비가 내린다고 해서 걱정을 했는데 10시 30분부터 열린 추모제 시각에 맞춰 거짓말처럼 비가 개어 무사히 추모제를 마칠 수 있었다.
사단법인 탄운 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회장 김겸)가 주관한 어제 추모제에는 광복회 경기도지회 안소헌 지회장을 비롯한 지역유지, 탄운장학금 수여자와 학부모 등 200여명이 참석하여 탄운 선생 순국 100주기의 의미를 되새겼다.


탄운 이정근(灘雲, 李正根 1863-1919) 의사(義士)는 1919년 3월 31일, 화성 발안 장날 만세시위에서 제자들과 지역민들을 포함한 1천여 명을 이끌고 만세시위에 앞장서다 일경의 총검에 복부를 난자당하는 만행으로 그 자리에서 순국의 길을 걸었다. 탄운 이정근 의사는 복부에서 흐르는 피를 손에 움켜쥐어 일경의 얼굴에 뿌리며 숨이 끊어질 때까지 ‘조국의 독립’을 외치다 장렬히 순국하신 분이다.
탄운 선생은 33세 때, 대한제국 궁내부 주사직에 임명되었으나 치욕적인 을사늑약을 당해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팔탄, 우정, 장안, 정남, 봉담, 남양 등 7개 면을 중심으로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인재육성 교육에 전념했다. 뿐만 아니라 탄운 선생은 당시 전국적으로 불리던 그 유명한 ‘독립가’를 손수 지은 분이다.
터졌구나 터졌구나 / 독립성이 터졌구나 /15년을 참고참다 / 이제서야 터졌구나
피도 대한 뼈도 대한 / 살아 대한 죽어 대한 / 잊지마라 잊지마라 (2절 줄임)
–탄운 이정근 의사 지음 ‘3.1독립가’ -


이날 추모제는 탄운 이정근 의사에게 올리는 추모제례로 초헌례(유족대표 이호원), 아헌례(광복회지회장 안소헌), 종헌례(탄운이정근의사기념사업회 회장 김겸)의 예를 갖춘 제례를 중심으로 이어졌으며 이어 헌화, 분향의 시간을 가졌다.
어제 추모제가 열린 창의탑은 선생의 강인한 독립정신과 온후한 인품을 기리고자 1971년 3월 31일 선생이 순국한지 52년 되는 해에 한글학자 한갑수, 김석원 장군, 최덕신 천도교령, 도지사, 국회의원과 지역유지 등 33인이 발기하여 건립한 민족정기의 상징탑이다.
탄운 이정근 의사 추모제에 이어 곧바로 제16회 탄운장학금 수여식이 있었다. 탄운장학금은 탄운 이정근 의사의 숭고한 독립정신을 계승하고자 2004년 3월 설립한 장학회로 화성시 6개 읍면(향남 ,팔탄,양감, 우정, 장안면) 고등학교 재학생(1인당 100만원)과 대학 입학생(1인당 150만원)에게 수여하는 장학금으로 올해(2019, 제16회)까지 모두 174명이 수여되었다. 올해는 이푸르메(서울대 인문계열 입학), 최민지(수원과학대 항공관광 입학) 등 대학 신입생 10명과, 한상인(향남고) 등 고등학생 4명에게 장학금이 수여되었다.



장학금을 수여받은 이푸르메(서울대 입학) 학생은 “탄운 이정근 의사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되새기고 열심히 학문에 전념하여 나라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고 했다. 또한 최민지 (수원과학대 입학) 학생은 “이번 장학금 수여자로 뽑혀 기쁘다. 앞으로 더욱 열심히 공부하여 제 꿈을 이뤄 나가고자한다. 그것이 탄운 이정근 의사의 나라사랑 정신을 이어가는 길이라고 믿는다”고 했다.
100년 전, 살신성인 정신으로 일제침략에 항거하던 탄운 이정근 의사의 숭고한 나라사랑 정신은 탄운 이정근 의사 장학금을 받은 눈빛이 초롱초롱한 젊은이들에게 이어지고 있어 추모제에 참석한 참석자들의 마음을 푸근하게 해주었다.
*탄운 이정근 의사 창의탑에는 탄운 선생의 발자취를 볼 수 있는 '3.1독립가 노래비' 등 이 세워져 있어 선생의 숭고한 나라사랑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삼천병마로 283-6번지
*문의 : 070 - 4154 - 6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