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독립운동가 후손에게 듣는 이야기

독립투사 '박원희' 지사의 외손을 만나다

여성의식 향상과 민중계몽에 앞장선 '박원희' 여성독립운동가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혹한의 눈보라 속 / 펄럭이는 만장으로 슬픔을 감추고 떠난 임

세 살배기 어린 딸 / 어이 남기고 서둘러 가셨는가!

 

많이 배우고 잘난 여자들

일제에 빌붙어 동포를 팔아먹고 / 더러운 입 놀려 호의호식할 때

구국의 대열에 앞장서라 외치던 / 서른 해 짧은 생 마감하며 던진 화두

 

죽어서도 차마 놓지 못할 / 광복의 그 찬란한 꿈

고이 간직하고 떠나시라고 / 가시는 걸음걸음 흩뿌리던

하얀 눈송이 / 희고 순결하여라.

 

이는 여성독립운동가 박원희(朴元熙, 1898.3.10.~1928.1.5, 2000년 애족장) 지사의 불꽃 같은 삶을 노래한 필자의 시다.

 

남편 김사국(金思國, 1895.11.9.~1926.5.8, 2002년 애족장) 지사와 함께 부부독립운동가로 활약한 박원희 지사는 1925년 4월 29일, 무남독녀 딸 사건(史建)을 낳았다. 일제에 강탈된 나라의 국권을 회복하여 역사를 바로 세우라는 뜻에서 부부는 딸 이름을 사건(史建)이라 짓고 금지옥엽으로 키웠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독립운동 과정에서 옥고를 겪었던 부부는 고문 후유증으로 어린 딸이 3살 되던 해에 2년 차이로 숨을 거두는 바람에 딸 사건(史建)은 고아로 성장하게 되는 가슴 아픈 상황을 맞이했고 필자는 이를 시로 노래한 것이다.

 

 

 

지난 8월 22일(금) 낮 11시, 필자는 김사국ㆍ박원희 지사의 한점 혈육이었던 김사건(1925~2010) 여사의 따님인 김윤숙(72살) 씨를 만나러 파주시 새꽃마을을 찾았다. 약속 시간에 맞춰 벨을 누르자 맛있는 수박 등의 과일을 마련해놓고 부군인 양상규(파주 월롱면 영태성결교회 전 담임목사) 선생과 함께 반갑게 필자를 맞이해주었다. 마침 집에는 충남 당진에 사는 동생 김영숙(66살) 씨도 언니 집에 올라와서 필자를 기다리고 있어서 우리는 함께  외할머니(박원희 지사)이야기에 시간 가는 줄 올랐다.

 

“이 사진첩에 어머니(박원희 지사의 외동딸 김사건 여사) 사진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은 어머니 살아생전에 펴낸 책으로 얼굴도 모르는 외할머니(박원희 지사)를 그리워하며 쓴 글 등이 들어있습니다. 또 이 재봉틀은 외할머니가 일본 유학시절에 산 것으로 가난한 유학생의 생활비며 학비 조달에 요긴하게 쓰였던 물건이라고 들었습니다. ” 박원희 지사의 외손녀 김윤숙, 김영숙 씨는 외할머니가 독립운동하다가 서른 살의 나이로 돌아가신 이야기며, 세 살배기 딸이 배화여학교를 나온 신여성으로 성장하여 자신들의 어머니가 되었다는 이야기 등을 소상하게 들려주었다.

 

 

세 살배기 아기를 남기고 딸(박원희 지사)이 숨을 거두자, 친정어머니는 어린 손녀가 행여 마음에 상처라도 입을까 염려하여 지극 정성으로 길렀다. 그 세살짜리 사건(史建) 따님은 훌륭히 자라 김상태 선생과 결혼하여 모두 2남 5녀를 낳아 훌륭하게 길렀다. 올해 80살인 맏아드님 김영렬 선생은 평생을 교직으로 헌신했으며, 이날 필자와 만난 김윤숙, 김영숙 자매들도 모두 대학을 나온 수재들이었다. 특히 김영숙 씨는 미술교사로 지내면서 디자인학 박사 학위를 받는 등 박원희 외할머니 앞에 부끄럼 없는 삶을 살고자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는 말을 들으며 눈시울이 뜨거워졌다.

 

 

‘일찍이 조선 사회운동의 선구자로 살과 뼈를 깎아 넣었던(조선일보, 1928.01.07 기사 가운데)’ 박원희 지사는 1920년대에 활동한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여성으로 1915년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부설 사범과를 졸업하였다. 그 뒤 철원공립보통학교에서의 교사 생활 3년을 마치고 오라버니의 조선노동공제회 활동을 지켜보면서 민족운동에 관심을 가졌으며 훗날 남편이 되는 김사국 지사와 만나 사회주의 사상을 통한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1921년 7월, 김사국 지사와 결혼한 박원희 지사는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고학하면서 노동자의 처지를 인식하고 구태의연한 전통과 관습에 젖어있는 조선 여성들의 현실을 직시하게 된다. 귀국 뒤에는 여성운동에 뛰어들어 남편인 김사국이 주도한 서울청년회계의 청년당대회(靑年黨大會)에 참여하였다. 한편, 1923년 남편과 함께 간도 용정(龍井)에 동양학원을 설립하여 민족교육을 실시하는 등 만주와 조선을 오가며 끊임없이 조국 광복을 위한 폭넓은 독립운동에 뛰어들었다.

 

 

박원희 지사는 1924년 5월 서울에서 첫 사회주의 여성단체인 여성동우회(女性同友會)를 창립하여 여성의 권익향상과 계몽운동에 투신하였다. 이어 1925년에는 경성여자청년회(京城女子靑年會)를 조직하고 집행위원에 선임되었다. 또한 1927년 4월에는 중앙여자청년동맹(中央女子靑年同盟)의 집행위원에 선임되어 ‘청소년 남녀의 인신매매 금지, 만 18살 이하 남녀의 조혼폐지, 청소년 남녀직공의 8시간 이상 노동 야업 폐지, 무산 아동과 산모의 무료요양소 설립’ 등을 위한 활동을 지속하였다.

 

이 시기는 남편 김사국 지사를 여의고 어린 딸을 혼자 키우던 때로 박원희 지사는 자신의 몸을 돌볼 새도 없이 조국광복을 위해 동분서주하다 아기가 세 살 되던 해인 1928년 1월 5일, 서른의 나이로 순국의 길을 걸었으니 그 안타까움이 더욱더 크다.

 

이날 김윤숙 씨 집 방문은 《망우리공원 인물열전》(2022)을 펴낸 정종배 시인과 함께했다. 김사국ㆍ박원희 부부의 주검은 망우리 공원묘지에 잠들어 계시다가 2002년 10월 31일, 대전국립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1012)으로 이장하여 안장하였다.

 

여기 어둠과 절망의 시절을 / 뜨거운 가슴으로 맞섰던 / 선각의 부부 잠들었노라 / 빛나는 지성과 푸른 신념으로/ 조국광복에 영육을 바친 / 눈부신 지아비와 / 겨레의 몽매 일깨우며/ 여성운동의 횃불을 밝혔던 / 올곧은 지어미 / 그대여 / 삼가 옷깃을 여미고/ 귀 기울일지라/ 이곳에/ 선열의 아름다운 숨결/ 아직 살아 있나니.                                                          - 수일고 정국한 선생이 지은 묘비 시-

 

 

김사국ㆍ박원희 부부가 잠들어 계신 대전현충원을 찾아간 9월 6일(토)은 기상청으로부터 남부 및 충청권에 엄청난 폭우가 예상된다는 보도가 있어 걱정했으나 제2묘역을 찾아 참배할 무렵에는 흰 구름이 두둥실 떠 있는 전형적인 푸른 가을 하늘이 드러났다. 남편(김사국)은 31살, 아내(박원희)는 30살에 각각 순국의 길을 걸었다. 이들의 ‘조국 독립을 위한 살과 뼈를 깎아 부은 불꽃 같은 삶’은 영원히 한국 독립운동사에 새겨질 것을 확신하며 부부의 영면을 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