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0 (월)

  • 흐림동두천 16.7℃
  • 구름많음강릉 13.6℃
  • 구름많음서울 17.8℃
  • 구름많음대전 13.6℃
  • 맑음대구 15.2℃
  • 맑음울산 14.6℃
  • 구름많음광주 15.5℃
  • 맑음부산 17.3℃
  • 구름조금고창 ℃
  • 구름많음제주 18.7℃
  • 흐림강화 16.2℃
  • 구름조금보은 12.7℃
  • 흐림금산 10.2℃
  • 구름많음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2.7℃
  • 구름조금거제 14.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90. 근심이나 걱정을 날려 보낼 태평소 가락

 

 

 

 

 

한국의 관악기 가운데 가장 높고 큰 소리를 내는 악기가 곧 태평소(太平簫)이다. 소리가 크고 높아서 실내음악에는 적합지 않고 야외 음악에 주로 쓰인다. 그래서 종묘제례악의 헌가음악이나 옛 군악인 대취타에 편성되고, 풍물이나 절에서 재를 올리거나 작법(춤)에 또는 시나위 음악에도 쓰이고 있다. 태평소를 호적, 쇠납, 소이나, 쇄나, 날라리 등으로도 불렀다.

태평소 역시 소리를 내는 서(舌, reed)와 관으로 구분되는데, 소리를 내는 서의 크기는 피리에 비해 매우 작아서 2cm정도이며, 관은 윗부분은 좁고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넓어지며 나무 관 끝부분에 나팔꽃 모양의 동팔랑을 달아서 소리가 널리 퍼지도록 하였다. 전체 길이는 35cm 정도로 세로 부는 관악기의 하나이며 관은 오메, 산유자, 화류 등 성질이 강한 나무 관에 구멍은 뒤에 1공, 앞에 7공이 있어 모두 8공이다.

연주법은 피리와 거의 같으나, 피리에 비해 서가 작기 때문에 서가 모두 입 속으로 들어가는 점과 같은 음자리에서 한 음계 위아래 음을 피리처럼 자연스럽게 만들어 내지 못하는 점은 다르다고 하겠다.

≪악학궤범≫에 당악기로 소개되어 있고, 율은 향피리와 같다고 소개하고 있으나, 음공 배열은 오히려 당피리와 비슷하여 뒷공이 제2공이 되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태평소는 우리나라의 토종악기는 아니고 고려시대 중국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보이는데, 그 수입된 연대는 분명치 않다. 소이나, 쇠나 등의 이명이 있는 점으로 보아 아마도 멀리 서역의 악기가 중국을 통해 우리나라로 유입된 것으로 짐작된다.

태평소가 쓰이는 음악은 비교적 규모가 큰 합주음악이거나 야외에서 행해지는 의식과 관련된 음악이다. 태평소가 쓰이는 음악으로는 우선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종묘제례악”이다.

종묘제례음악은 조선조 임금의 신위를 모시고 제사를 올릴 때 쓰이는 음악으로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제1호이면서 세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오른 음악이다. 조선시대의 기악연주와 노래·춤이 어우러진 멋과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는 대표적인 음악에 이 태평소가 쓰임으로 해서 더더욱 그 웅장함을 더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종묘제례악 모든 음악에 태평소가 쓰이는 것은 아니다. 종묘의 음악은 임금의 내면, 즉 문덕을 칭송하는 등가음악과 무공(武功)을 칭송하는 헌가음악으로 구분되는데, 태평소는 무공을 칭송하는 정대업(定大業) 의 11악곡 중에서 제1곡인 <소무>와 제6곡의 <분웅>, 그리고 11번의 마지막곡인 <영관> 등에 쓰이고 있다. 합주음악을 마무리하고 마지막 부분을 태평소가 여미는데, 종묘의 안팎을 뒤덮는 구슬프고 애처로운 태평소가락이 매우 인상적이다.

다음으로 옛 군중(軍中)의 음악이었던 “대취타”에도 태평소는 주된 악기로 편성되어 왔다. 원래 대취타라는 음악은 옛날부터 전장터 혹은 전쟁에서의 개선할 때에 연주되던 음악으로 여기에 편성되는 악기들은 대부분이 치고(打) 부는(吹) 타악기들이 중심이었다. 치는 타악기들로는 용고와 징, 자바라 등이 있고, 부는 관악들로는 한음 한음을 길게 뻗어가는 나발이나 나각, 그리고 유일한 가락 악기로 태평소가 편성되는 것이다. 태평소의 크고 시원한 음빛깔이야말로 대취타를 특징 있는 군악으로 기억하게 만들고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농악(풍물)에서도 태평소는 빠질 수 없는 악기이다. 농악대(풍물패)는 대체로 기를 드는 기수, 악기를 연주하는 잽이, 그리고 여러 배역으로 분장하여 춤추는 잡색으로 편성되고 있으며 잽이는 리듬을 이끌고 있는 꽹과리와 장구, 그리고 징이나 북, 소고(벅구) 등의 타악기가 중심이 되며 선율악기로는 태평소가 곁들여 진다. 농악대의 출현을 알리는 태평소의 드높은 가락이 하늘 높이 울려 퍼지면 벌써 동네사람들의 마음은 바빠진다.

그밖에도 불교와 관련하여 절에서 행해지는 음악과 춤에 태평소가락은 절대적이며, 민간신앙인 무속과 관련하여 시나위 합주에 태평소 가락은 신을 부르는 인간의 소리로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천간이 ‘계’이고, 지지가 ‘사’인 올 2013년 새해를 맞이하여 독자 여러분의 근심이나 걱정은 태평소 가락에 하늘 높이 날려 보내고, 따뜻하고 훈훈한 마음으로 이웃과 함께 새해를 맞으시길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