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11월 20일(월) 낮 1시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전남 목포시)에서 「한ㆍ아세안 수중문화유산 보존처리 사례와 현황」이라는 주제로 학술 토론회를 연다. 이번 「한ㆍ아세안 수중문화유산 보존 학술토론회」는 우리나라와 아세안 국가의 수중문화유산 보존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각 국가의 보존처리 사례와 현황, 향후 방향 등 연구 성과를 논의하고, 자유롭게 토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행사는 모두 6개의 주제발표로 구성되며, 태국, 필리핀, 인도네시아의 수중문화유산 보존처리 현황과 앞으로의 방향성을 알아보는 ▲ 과거의 보존: 필리핀 수중문화유산 보존 현황(Rachelle A. Geline, 필리핀 국립박물관), ▲ 태국의 수중문화유산 보존과 노력(Wongsakorn Rahothan, 태국 미술문화부), ▲ 태국 고선박 파놈 수린(Phanom-Surin)선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분석연구(Natchaya Pattanasuttir at, 태국 미술문화부), ▲ 인도네시아 수중문화유산의 현재, 도전과 기회(Nia Naelul H. Ridwan,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순으로 발표가 진행된다. 이후, 에너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소장 최인화)와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오는 11월 17일부터 11월 28일까지 한양대학교 박물관(서울 성동구)에서 (사)한국건축역사학회ㆍ(사)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ㆍ한양대학교 박물관과 함께 「한국전통건축 : 장인의 힘, 연장의 힘」 특별전을 함께 연다. 이번 특별전은 전통건축 분야의 장인과 도구에 관한 연구 성과를 종합하고, 그 값어치를 보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특히, 일제강점기 등을 거치며 변형되는 등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전통건축 장인들의 도구 실물과 실제 사용 영상을 관람할 수 있으며, 외래 도구도 함께 전시하여 국내 도구와의 차이점도 확인할 수 있다.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전통건축 기술 연구’의 하나로 장인의 도구, 치목 기법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번 특별전을 통해 대목이 사용하였던 대패, 톱, 자, 먹통, 자귀 등 모두 51종 92건의 도구를 소개하며,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영상과 삽화, 책자 등도 함께 전시한다. * 대목: 전통 목조 건축의 기술을 가진 목수로서, 건축물의 기획ㆍ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안형순)은 11월 24일 낮 1시 30분부터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관(서울 용산구)에서 ‘탈춤 전승의 다변화와 향유의 확산’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지난해 12월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오른 것을 계기로 탈춤의 보존ㆍ전승 현황을 파악하고, 창조적 계승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이다. 학술대회는 2부로 구성되며, 모두 5명의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탈춤 관련 연구자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탈춤 전승현장에서 탈춤의 미래를 고민해 온 전문 연희자들이 전승 활성화를 위한 현장의 고민을 공유하고 논의하는 시간도 포함되어 있어 더욱 의미가 깊다. 제1부에서는 탈춤의 전승현황을 파악하고, 창작방법 등에서 다양한 변화를 찾기 위하여, ▲ 탈춤 전승현황 파악을 통한 전승 다변화 논의(김형근, 전북대학교)와 ▲ 선대 탈춤예인들의 ‘춤’ 연행방법을 기반으로 한 창작방법론 모색(박인수,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순으로 발표가 진행된다. 제2부에서는 전승현장의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한 탈춤 향유층의 확산 방안을 논의한다. ▲ 인류무형유산 등재 이후 탈춤 전승과 세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국가기관 처음으로 문화유산 연구 분야에 특화된 광여기 루미네선스(OSL)를 이용한 연대측정 시스템(이하 ‘OSL 연대측정 시스템’)을 도입하여 문화유산 전 재질에 대한 연대측정 연구의 종합적 기반을 구축하였다. * 광여기 루미네선스(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 시료가 빛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신호(루미네선스)를 이용한 연대측정 OSL 연대측정법은 고고시료나 유물에 포함된 광물(석영 또는 장석)에 축적된 방사선량을 통해 대상물질이 햇빛 또는 열에 마지막으로 노출된 이후 지난 시간을 밝힘으로써 연대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토기, 기와, 석재 등 무기질 문화유산의 제작연대 또는 축조시기를 밝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고고학, 지질학 연구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동안 국립문화재연구원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 OSL 연대측정 장비를 이미 보유하고 있는 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토기의 소성 온도와 루미네선스 신호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등 연구 성과를 거둔 바 있으나, 문화유산 분야에서도 해당 장비를 이용한 연구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직무대리 신성희)는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오는 11월 15일부터 12월 18일까지 세종이 왕세자 집무공간으로 건립했던 계조당의 복원을 기념하고, 그 역사적 값어치를 알리기 위해 경복궁 계조당에서 ‘왕세자의 공간, 경복궁 계조당’ 전시를 연다. * 운영 시간: 10:00∼16:00 (전시실 입장마감 15:30) / 경복궁 휴궁일(매주 화요일)은 관람 불가 계조당은 1443년(세종 25) 세종이 왕세자(훗날 문종)의 집무 공간으로 건립하였으며, 문종은 이 공간에서 정무를 보거나 외국 사신을 접견했다. 문종의 생전 뜻에 따라 1452년(단종 즉위년)에 철거되었으나, 1868년 경복궁 중건 때 다시 지어지면서 당시의 왕세자였던 순종이 사용했다.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완전히 철거되었던 것을 문화재청이 발굴조사를 거쳐 올해 9월 복원을 마쳤다. 경복궁 계조당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는 ▲ 조선의 왕세자 ▲ 계조당의 왕세자 ▲ 왕세자의 의장 ▲ 동궁과 계조당 등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으며, ▲ ‘조선의 왕세자’에서는 왕세자의 일상과 의례를 살펴볼 수 있다. 조선왕실에서 왕세자를 책봉할 때 거행했던 책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11월 18일(토) 아침 10시부터 저녁 5시까지 익산 미륵사터(전북 익산시)에서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증강현실(AR)로 복원된 미륵사 중문(中門)을 ‘스마트글래스(투시 기능과 컴퓨터를 탑재한 안경 형태의 장치)’를 통해 만나볼 수 있는 「익산 미륵사 중문 콘텐츠 시연회」를 진행한다. 이번 시연회는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증강현실로 복원한 미륵사 중문 콘텐츠 체험 서비스를 2024년부터 익산시와 함께 본격 운영하기에 앞서, 국민에게 사전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사용 소감을 청취하고자 마련된다. 앞서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20년 경주 황룡사 중문과 남회랑 권역을 증강현실로 디지털 복원하였으며, 경주시는 2021년부터 황룡사지 방문객들이 해당 콘텐츠를 태블릿 컴퓨터를 이용하여 체험할 수 있도록 운영해 왔다. 이번에 새로 선보일 미륵사 중문 증강현실 체험 서비스에는 기존 황룡사 콘텐츠 체험객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안경처럼 눈에 직접 착용할 수 있는 ‘스마트글래스’ 장비를 추가함으로써 더욱 생생하고 편리한 체험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기존 태블릿 컴퓨터를 통해 체험하는 방식 말고 ‘스마트글래스’를 착용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앞서 지난 9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아래 공진원)은 가상현실 기반의 운영체계 제페토(ZEPETO)에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을 새롭게 열었다. 문체부와 공진원은 지난해부터 ‘2023 전통생활문화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및 확산’ 사업의 하나로, 사용자 참여유도형 가상현실 공간 ‘K-Kings’를 선보이고 있다. ‘K-Kings’는 조선의 임금과 임금이 되고 싶은 젊은 세대가 만나는 공간으로,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제페토에서는 창덕궁의 ‘정조의 산책길’과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이 순차적으로 운영 중이며, 덕수궁을 중심으로 한 공간도 선보일 예정이다.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 과학과 밀접한 임금의 삶 엿볼 수 있어 훈민정음을 창제한 조선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은 조선의 과학 발전을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경복궁 공간의 주제가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인 까닭이다.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은 세종대왕이 생활하던 경복궁의 근정전과 집현전을 철저한 고증을 거쳐 구현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곡성 함허정 일원」을 국가지정유산 명승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은 신라시대 고찰로 알려진 관룡사와 그 뒤쪽에 병풍처럼 둘러싸인 기암괴석의 산봉우리 등 산세가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반야의 세계로 향하는 용이 이끄는 배라는 뜻의 ‘반야용선(般若龍船)’을 재현한 듯한 불상인 용선대(龍船臺)와 관룡사의 많은 불교 문화유산이 자연과 서로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경관적 값어치를 지녔다. * 반야: 불교의 근본교리 가운데 하나로 인간이 진실한 생명을 깨달았을 때 나타나는 근원적인 지혜 명승으로 같이 예고된 「곡성 함허정 일원」의 함허정은 조선 중기 문사(文士) 제호정(齊湖亭) 심광형(沈光亨, 1510-1550)이 섬진강(순자강) 일대 구릉지에 건립한 정자다. 함허정 일대는 풍수상 거북이가 용궁을 향해 입수하는 형국으로, 거북이의 등 위에 함허정(涵虛亭)이 자리하고 절벽 아래의 깊은 웅덩이인 용소(龍沼)와 구암조대(龜巖釣臺)라 불리는 하중암도가 있으며, 거꾸로 ‘용(龍)’자를 새긴 용암(龍巖) 관련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 조대(釣臺) : 낚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오는 11월 13일(월)부터 18일(토)까지 6일 동안 국립아시아문화전당(광주광역시)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중문화유산 학술회의(APCONF) 사무국과 공동으로 「제5회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중문화유산 학술회의(컨퍼런스)(Asia-Pacific Regional Conference on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APCONF)」를 열기로 하고, 14일 아침 10시 20분에 개막식을 한다. 이번 행사는 3년 주기로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중문화유산 연구자들이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현안을 논의하는 대표적인 국제 학술회의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열린다. 지난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수중문화유산 조사ㆍ연구를 전담해 온 전문기관이자 아시아 대표 수중고고학 기관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그간 축적한 조사ㆍ연구 역량과 성과를 알리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문가들 사이 교류마당을 마련하는 자리다. 35개 나라에서 250여 명의 수중문화유산 연구자들이 참석하는 이번 학술 회의(컨퍼런스)에서는 유엔에서 제시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양 과학의 10개년 계획’을 의제로 6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조상순)는 한성백제박물관(관장 김지연)과 함께 오는 10일(금) 아침 9시 30분 한성백제박물관(서울 송파구) 강당에서 「강(鐵)철백제, 철 생산의 중심지 충주」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함께 연다. 충주지역은 현재까지 지표ㆍ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제철 관련 유적이 96곳에 이를 정도로, 다른 지역에 견줘 집중하여 분포되어 있다. 특히, 충주 칠금동유적은 삼국시대 백제 제철 유적지로서, 서울로 통하는 내륙과 수운의 요충지에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충주 칠금동유적에서 새롭게 밝혀진 제련로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 충주 칠금동 유적: 2016년부터 최근까지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해 학술발굴조사가 진행됨. 2,200㎡의 좁은 면적에 30기가 넘는 제련로와 제철생산 부속시설 등이 확인되어 높은 유구 밀집도를 보이는 백제 제철 유적지임. * 제련로(製鍊爐): 철광석에서 철과 불순물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인 제련이 이루어지는 제철로 학술대회는 6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주제 발표는 칠금동 제